•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통도사 선묘(線描) 화엄경변상도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An Iconological Study on Line Drawing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Sutra in Tongdo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7.06
36P 미리보기
조선 후기 통도사 선묘(線描) 화엄경변상도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10권 / 10호 / 69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조선 후기 통도사 선묘 화엄경변상도는 한국불교사상과 불교미술사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선 『화엄경』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언어 즉, 미술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불교도로 하여금 화엄사상에 대한 이해와 경전의 가르침에 따라 실천적 신앙으로 이끌어가는 역할과 작용을 하였다.
    우리나라의 『華嚴經』 관련 불화의 제작은 대부분 영・호남 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들 지역은 18세기부터 호남지역의 송광사・선암사・쌍계사와 영남지역의 통도사와 같은 대찰을 중심으로 화엄경변상도가 집중적으로 제작되는 경향을 보인다. 19세기 초반에 조성된 통도사의 화엄경변상도는 한국화엄사상의 전래부터 조선 후기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축적된 도상의 특징을 담고 있다. 이 불화의 화기를 판독한 결과, 1811년으로 해석되므로 조선 후기 선묘불화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화승은 천수, 관보, 승활, 지한, 성의 등이 통도사 화엄경변상도 제작에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도사 화엄경변상도의 봉안처는 선승들의 수도처인 보광전에 봉안되었다가 현재는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화엄경변상도는 이전 시기의 화엄경변상도와 비교했을 때 새로운 도상의 출현과 7처9회의 구성, 필선, 문양장식 등에서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어 도상 및 양식적인 면에서 좋은 비교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불교미술사가 지닌 독자성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영어초록

    Tongdosa line drawing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of late Joseon has remarkable characteristics in Korean Buddhist thought and Buddhist art history. First, the contents of the Avatamsaka Sutra are expressed in a visual language, that is, the fine ar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This served Buddhists the role of leading to practical faith in accordanc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Avatamsaka philosophy and the teachings of the scriptures.
    Most of production of the the Avatamsaka Sutra‐related Buddhist paintings in Korea are concentrated in Yeongnam and Honam regions.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tends to be intensively built around large temples such as Songgwangsa, Seonamsa, Ssanggyesa in Honam region and Tongdosa in Yeongnam region from the 18th century.
    From the decipherment of this Buddhist painting year, it is interpreted as 1811, and it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earliest line drawing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19th centur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inter monks such as Cheongsu, Gwanbo, Seunghwal, Jihan, and Seongui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ongdosa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In addition, the enshrinement place of Tongdosa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was enshrined in Bogwangjeon, the place where the Zen Buddhist monks lead an ascetic life, and is now on display at the Seongbo Museum in Tongdosa, Yangsan. This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has distinctive features in the appearance of new iconography and Chilcheoguhoe's composition, lines, patterns compared with the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in the previous period. It is not only a good comparison in iconography and style, but it is meaningful as well in that the identity and value of Korean Buddhist art history can be f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