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 경론에 보이는 ‘不空’의 다양한 의미 - 특히 『화엄경』에서 (Diverse Meanings of “Non‐Empty” Implied in Buddhist Scriptures and Treatise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Huayen ji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03
22P 미리보기
불교 경론에 보이는 ‘不空’의 다양한 의미 - 특히 『화엄경』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32호 / 229 ~ 250페이지
    · 저자명 : 조연숙

    초록

    『아함경』에서 ‘不空’이라 한역된 원어는 aritta(버려지지 않은), asuñña(비어 있지 않은), amogha(헛되지 않은) 등이다. 중관에서는 공(空)의 상대(相待)인 ‘不空’이 절대 부정되는 반면, 유식에서는 허망분별로 인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살짝 보이다가 여래장 사상이 도입되면서 긍정적인 이미지로 전환하는데, 그것이 중국불교에서는 절대 긍정으로 바뀌어서, ‘空即不空’으로 상의상즉(相依相卽)이 된다.
    『화엄경』에서는 ‘不空’이라 한역된 원어가 aśūnya, aśūnyatā, amogha, amoghatā로, 그 의미가 어리석지 않은 지혜와 자비가 충만한 여래장의 뜻으로 무한히 펼쳐져서, ‘不空’이란 꽃이 활짝 핀다. 이렇게 ‘不空’은 문맥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지만, 중국불교의 전형적인 논인 『대승기신론』에서는 정법(淨法)이 만족되면 ‘不空’이라 하는데, 『대승기신론』은 체(體)가 ‘空’이고, 용(用)이 ‘不空’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어 낱말은 그 의미가 함축되어 있어서, 한국어로 한 낱말로 통일시켜 번역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 글자(文, vyañjana) 그대로 뜻(義, artha)이리라 추정한다면, ‘四依’ 중 ‘依義不依語’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말이나 글은 자성(自性)처럼 정해지지 않아서, 어떤 개념에도 집착하지 않을 때 불설은 살아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hinese word “bukong” 不空 appearing in the Āgama texts is a rendering of Pāli words such as aritta (not discarded), asuñña (not empty), amogha (not vain). Whereas the Madhyamika texts never affirm the term “non‐empty” as a counterpart of the concept “emtpy,” the Yogācāra texts overlay it with a slightly negative connotation as a false imagination. However, Tathāgatagarbha thought affirms that term positively, and Chinese strands of Buddhism further adopt it as an absolute affirmation by identifying emptiness with non‐emptiness, thereby turning the concept of “mutual dependence” or “counterpart” into that of mutual identification.
    In the Huayan jing, the concepts such as aśūnya, aśūnyatā, amogha, amoghatā are equally rendered as “bukong,” and this term thus comes to have a wide range of meanings including “non‐empty,” “without any errors,” “beneficial,” “not deluded,” or fully endowed with wisdom and compassion,” and so on, which are attributes of tathāgatagarbha. Therefore, we see that the Huayan jing has such diverse meaning in the word “bukong” in according to the context. In the case of the typical Chinese Buddhist text Dasheng qixin lun, “bukong” indicates the state in which the pure dharmas are fulfilled. It seems that this text regards the essence as empty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to be non‐empty.
    Since Chinese Buddhist terms have a wide range of implications, it is difficult to render them in a unitary Korean words. If we identify a given text (文, vyañjana) with its meaning (義, artha), it will go against the Buddha’s admonition “rely on meanings, not to rely on words”. As words and texts do not have a fixed self-nature, only when we do not adhere to any concept will the Buddha-vacana have is full-fledged mean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