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北宋 초기 論書詩에 나타난 顔眞卿 書에 대한 비평 (A Review of Yan Zhenqing’s Calligraphy Shown in Nonseosi(論書詩:discussible poetry) in the Early Northern Song)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12
20P 미리보기
北宋 초기 論書詩에 나타난 顔眞卿 書에 대한 비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7권 / 7호 / 75 ~ 94페이지
    · 저자명 : 이기범

    초록

    이 논문은 두 가지 관점에서 작성되었다. 그 첫 번째는, 대체적으로 여러 서론서에서 안진경을 성당(盛唐)을 대표하였던 서예가로 기술하고 있는데, 과연 이것이 옳은 문제인가 하는 점이다. 둘째는 북송시대 안진경의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 졌으며, 그것은 논서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의 문제였다.
    먼저 첫 번째 문제는, 안진경이 살았던 동시대와 이후의 서론과 논서시를 살펴봄으로써 파악할 수 있었다. 안진경은 적어도 그가 살았던 성당과 중당(中唐)의 시대 서론서(書論書)에는 훌륭한 서예가로써 거론된 것이 없고, 그에 관한 논서시(論書詩)도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그의 글씨가 전혀 당시 사람들로부터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를 성당 혹은 중당을 대표하는 서예가로 대표성을 부여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후대에 의하여 평가되어진 그 시대의 가장 뛰어난 서예가였다.
    두 번째는,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소식, 황정견, 미불의 서론을 중심으로 안진경의 서예에 대한 수용을 살폈다. 그 수용이란 서론에 ‘인품(人品)’을 수용하는 것이었고, 또 안진경의 ‘신의(新意)’를 수용하는 것으로, 이것은 그들이 주장하는 ‘상의(尙意)’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수용들은 소식에 이르러 시작된 것이 아니라 북송 초기 매요신(梅堯臣) 등 여러 학자들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안진경에 대한 평가는 소식에 이르러 서예사에 왕희지 다음가는 사람으로 확고해졌지만, 그의 이론은 사실상 대부분 북송 초기 학자들의 이론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prepared from two perspectives. Firstly, Yan Zhenqing is being described as a calligrapher who had stood for the high Tang(盛唐) generally in many introducing books. It is a point on which is it a right problem indeed? Secondly, it was a problem on how the acceptance of Yan Zhenqing(顔眞卿) was made in the northern Song period and on how it is reflected in Nonseosi(論書詩:discussible poetry).
    Above all, the first problem could be grasped by examining the introduction and Nonseosi in the same age and after this when Yan Zhenqing had lived. It could be known that Yan Zhenqing was never mentioned as an excellent calligrapher in the introducing book in the period of the high Tang and the mid-Tang(中唐) that he had lived at least, and that Nonseosi(論書詩) on him isn't left. This shows that his handwriting was not an object of concern from the contemporary people at all. Thus, it is thought to be problematic to give him representative nature as a calligrapher who stands for the high Tang and the mid-Tang. He was the most superior calligrapher in the period who was evaluated by future generations.
    Secondly, the existing researches figured out the acceptance on Yan Zhenqing’s calligraphy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Sosik(蘇軾), Hwangjeonggyeon(黃庭堅), Mibul(米芾). Its acceptance was what accepts ‘character(人品)’ in the introduction and is also what accepts Yan Zhenqing’s ‘loyalty(新意).’ This came to be shown as ‘Sangui(尙意)’ on which they insist. By the way, these acceptances are not those that were begun with reaching Sosik(蘇軾), but is a point that has been gradually formed through many scholars such as Maeyoshin(梅堯臣) in the early northern Song. The evaluation on Yan Zhenqing came to be positive as a person who is next to Wang Xizhi in the calligraphy history with reaching Sosik(蘇軾). But his theory was what mostly accepted scholars’ theory literally in the early northern Song in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