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15세기 전반 경기도 永平縣의 백자제작 배경과 특징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of Manufacturing a White Porcelain in Yeongpyeonghyeon(永平縣) of Gyeonggi Province in the First Half of the 15th Century in Jose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06
25P 미리보기
조선 15세기 전반 경기도 永平縣의 백자제작 배경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4호 / 267 ~ 291페이지
    · 저자명 : 박정민

    초록

    이 논문은 새롭게 등장한 ‘永平’명백자의 소개를 통해 기존에 언급되지 않았던 조선 전기 백자 제작지와 그 지방관의 관계 및 지명이 백자에 표시되는 원인에 대한 접근이다.
    ‘永平’명백자의 제작지는 경기도 永平縣이다. 15세기 전반의 영평현은 조선의 여러 국왕의 강무장으로서 왕실과 깊은 연관성을 맺고 있었다. 조선 전기 국왕은 강무나 사냥으로 지방에 머무를 때 沙器所를 유숙지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당시 영평현은 왕실의 사냥터로 인식될 정도의 넓은 숲과 산들이 자리했으므로 瓷器를 굽기 위한 땔감을 확보하기 용이했다. 당시 영평현은 주변에 백토를 구할 수 있었고 用水의 확보도 용이했다.
    영평현의 백자제작과 관련된 배경을 살피는 과정에서 조선 초기 주요백자 생산지의 지방관을 두루 역임한 閔恭이라는 인물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민공은 영평현감을 거쳐 남원부사와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하며 그가 남원부사와 경상도관찰사를 거치는 기간은 두 부임지의 백자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기간과 일치한다. 이와 함께 민공과 인척관계에 있던 다른 여흥민씨들이 지방관으로 머물렀던 경기도 광주와 강원도 양구 역시 조선 초기 백자를 생산했다.
    이 논문이 주목하는 경기도 영평현을 시작으로 경기도 광주, 강원도 양구, 전라도 남원, 경상도 고령과 상주 등의 백자 생산은 여흥민씨 지방관들과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흥민씨 지방관들은 太宗 이후 외척의 숙청으로 위축된 가문의 입지를 회복하고자 조선 왕실이 선호했던 백자의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다.
    또한 ‘永平’명백자와 같이 地名만이 표시된 백자는 선행연구에서 접근된 바와 같이 해당 군현에서 소속된 道를 거치지 않고 도성으로 직접 瓷器를 납입할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지명이 그릇에 표시되는 배경에 대한 유추는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에서 생산된 지명이 표시된 분청자와의 연관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he approach to a site of making a white porcelain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ich had not been conventionally mentioned, and to a cause for being indicated the relationship of its local governor and a place name in a white porcelain, through introducing ‘Yeongpyeong(永平)’ inscripted white porcelain that appeared newly.
    The making site of ‘Yeongpyeong(永平)’ inscripted white porcelain is Yeongpyeonghyeon(永平縣) in Gyeonggi Province. Yeongpyeonghyeon in the first half of the 15th century was having deep correlation with royal family as a Gangmu field(講武場) of many kings in Joseon. There was a case that kings utilize Sagiso(沙器所) as the accommodation that will be used when staying in a region due to hunting. In those days, Yeongpyeonghyeon(永平縣) was situated extensive forests and mountains enough to be recognized as a hunting ground of royal family, thereby having been easy to secure firewood for baking porcelain(瓷器). At that time, Yeongpyeonghyeon(永平縣) was available for obtaining white clay around and even for securing fuel and water.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background related to manufacturing a white porcelain in Yeongpyeonghyeon, the existence of a figure called Mingong(閔恭) can be grasped who was in charge widely of a local governor in the major white-porcelain manufacturing sit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for Mingong(閔恭), the period that he passes through Namwon-busa(府使) and Gyeongsangdo governor while serving as Namwon-busa(府使) and Gyeongsangdo governor after going through Yeongpyeonghyeon-gam(永平縣監) is consistent with the one that the production of a white porcelain in two places had been made actively. Along with this, Gwangju in Gyeonggi Province and Yangu in Gangwon Province where other Yeo Heung Min family members related by marriage to Mingong had stayed as a local governor also produced a white porcelain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production of a white porcelain in Gwangju of Gyeonggi Province, Yangu of Gangwondo Province, Namwon of Jeollado Province, and Goryeong & Sangju of Gyeongsangdo Province beginning from Yeongpyeonghyeon(永平縣) in Gyeonggi Province to which this study pays attention is judged to likely have kept deep correlation with a local governors from the Yeo Heung Min family. The local governors from the Yeo Heung Min family would strive to enhance the production of a white porcelain that royal family in Joseon had preferred in order to maintain the family that had been shrunken by purging the maternal relatives following king Taejong.
    Also, the white porcelain, which is marked only a place name like ‘Yeongpyeong(永平)’ inscripted white porcelain, is grasped to correspond to a case of directly delivering a porcelain to a capital city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vince to which the corresponding Gun and Hyeon(郡縣) belong. The inference on the background that a place name is indicated in a bowl is confirmed even through correlation with Buncheong porcelains that are displayed a place name of having been produced in regions of Jeollado Province and Chungcheongdo Prov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