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도 이천 安興寺와 利川鄕校의 역사와 인물 (The History and Leading Figures of Anhung Buddhist Temple and Ichun Hyang-gy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1.06
38P 미리보기
경기도 이천 安興寺와 利川鄕校의 역사와 인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19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경기도 이천 안흥사와 이천향교의 역사와 인물에 대해살펴본 글이다. 안흥사는 경기도 이천(利涉大川)의 안흥동과 갈산동의 경계에 있던 절이다. 통일신라 말 내지 고려 초기에 세워져 고려시대 내내 흥성하다가 고려 말엽 내지 조선 초기에 폐사된 사찰로 추정된다. 이 절터에는 통일신라 말 내지 고려 초기에 세워진5층 쌍탑이 있었다. 안흥사는 이들 고층 석탑 조성의 상황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는 상당한 사격을 지닌 거찰이었음이 분명하다. 이곳에는 고려 초기 불교계를 주도하였던 고승들과 관련된 인물이주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이래 조선시대에 걸쳐 경기 남부지역의 정치 문화적 기반은 대개 경기 북부 지역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 왔다. 특히 고려초기 이래 개성과 한양을 아우르고 있는 경기 북부는 양주의 도봉원(영국사, 법안선 惠炬)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고, 경기 남부는 여주의 고달원(고달사, 봉림산문 璨幽)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 서산 보원사(화엄학 坦文)와 문경 희양원(봉암사, 희양산문 兢讓)은 고려 태조 이래 광종에게 큰 영향을 준 사찰들이었다. 안흥사 또한 당시 고려 불교계의 주축이었던 화엄학과 선학 및법안선풍을 주도한 고승들과 일정한 관계 속에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천에는 여러 인물들이 있지만 역사성을 남긴 인물로는 서신일(徐 神逸), 서필(徐弼), 서희(徐熙, 942~998), 서눌(徐訥), 서원(徐遠), 서공(徐 公)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서필은 신라시대 서신일의 아들인데 광종(光宗) 때 활동하였다. 그는 광종 때에 벼슬이 내의령(內議令)에 이르고 정민(貞敏)이란 시호를 받았으며 개국공신으로서 성종 13년(994)에 광종의 묘정에 유신성(劉新城)과 함께 배향되었다. 또 서희는 조선후기에 이관의(李寬義)와 김안국(金安國)과 함께 설봉서원에배향되었다. 불교 성소였던 안흥사터를 고려 창왕 때(1389) 유교 성소로 탈바꿈시킨 현감 이우(李堣)는 이곳에 안흥정사를 지어 학생들을 모으고 강학을 시작하였다. 조선 태조 때(1401) 감무 변인달(邊仁 達)은 이곳 서북부 1리에 이천향교를 지었다. 전의(全義) 이세관(李世 珤)은 이천에 애련정을 지어 한양 주변의 지식인들을 불러와 이곳을 살롱(The Salon)으로 만들었다.
    경기 남부의 이천 안흥사가 안흥정사(安興精舍)를 거쳐 이천향교가된 이래 이 공간은 지금 유교의 성소로 기억되고 있다. 이곳의 당간지주석이 사라지고 오층 석탑이 경복궁과 일본의 오쿠라 슈고칸(大 倉集古館) 정원으로 반출된 이후 이곳이 더 이상 불교의 성소임을환기시켜 내지 못하고 있다. 1998년 서울대학교 박물관과 2004년중앙문화재연구원이 이곳을 발굴 조사할 때 ‘안흥사’(安興寺)라고 새겨진 기와 명문(銘文)이 출토되어 여기가 절터임을 확인해 줄 뿐이다. 시절 인연이 도래하여 용산 국립박물관에 반출되어 있는 석탑뿐만 아니라 일본으로 반출된 석탑 모두가 안흥사지로 되돌아와 안흥사의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염원해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Anhung Buddhist Temple and Ichun Hyang-gyo, at Ichon, Gyeong-gi province and the leading figures associated with it. Anhung Buddhist Temple was located in the city of Ichon on the border of Anhung-dong and Gilsan-dong. It is assumed that the temple was established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or early Goryo dynasties, prospered for hundreds of years, and was then abandoned during the late Goryo or early Chosun dynasties. It had twin five story stupas that are assumed to have been built in the late Unified Silla or early Goryo dynasties. Because of their size, this temple is considered to be a mega-sized temple and to have been relatively important. It is also believed that it must have had high priests residing in it, who were influential in the Buddhist circle during the early Goryo dynasty.Considering the political-cultural situation at the time, it is assumed that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Gyeong-gi province would have been closely related. It is also assumed that Dobongwon Temple (also known as Young-Gook Temple, represented by Bubansun Hyegeo) was dominant in the north, and Godalwon (also known as Godalsa Temple, represented by Chanyoo of Bonglim-Sanmum) took the lead in the south.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Seosan Bowon Temple (represented by Tanmoon of the Huayan school) and Hui-yang-won in Moon-gyong (also known as Bong-am Temple, represented by Gung-Yang of Hunyang-Sanmoon) were temples that were greatly influenced by King Gwang-Jong, after the founding of Goryo by King Tae-Jo. Anhung Buddhist Temple would have had good connections with the high priests of the Huayan, Seon, and Buban Seon schools, who led the Buddhist circle of Goryo.
    Some of the famous leading figures in the history of Ichon include Shinil Seo, Pil Seo, Hee Seo, Nool Seo, Won Seo, and Gong Seo. Pil Seo was a son of Shinil Seo. He lived during the Silla dynasty and was active in the era of King Gwang-Jong. He rose to the government position of Nae-Ui-Ryong and was given the posthumous name of Jungmin after being enshrined in King Gwang-Jong’s shrine as a meritorious retainer at the founding of the dynasty in 994 (the 13th year of King Sung-Jong) with Shinsung Yoo. Hee Seo was enshrined in the Seol-Bong school with Gwan-Ui Lee and An-Gook Kim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Hyungam of the municipal government, Woo Lee, turned the site of the Anhung Buddhist Temple into a Confucian shrine and named it the Anhung school. Soon afterwards, he gathered students and started to lecture in 1389, during the era of King Chang of Goryo. In 1401 (theera of King Taejo of Chosun), Gamboo In-Dal Byun founded Ichon Hyang-Gyo at the same site, the 1st Ri of the north western region. Junee Se-Gwan Lee built Ae-Ryun-Jung and converted it into a Salon, a place where intellectuals who lived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could meet and converse.
    From the moment the Anhung Buddhist Temple became Ichon Hyang-Gyo, it was recognized as a sacred place for Confucians. The supporting rocks for the temple flag pole had disappeared, and the stupas were relocated to other sites; one of the five-story stupas was sent to the Gyong-Bok Palace, and the other to the garden of Okura-Shugokan in Japan. Since that time, there has been nothing to remind us that the place was previously a Buddhist sanctuary. It was only verified as a Buddhist temple site when roof tiles with the inscription of the Anhung Buddhist Temple were excavated in 1998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and in 2004 by the Central Heritage Administration. I hope Anhung Temple can be restored by having everything returned to the original si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