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 유학자 변경붕(邊景鵬, 1756-1823)의 성리학적 인식 탐구 (Philosophical Inquiry on the Neo-Confucianism of Confucian Byon Kyong Bung (1756-1823) in Jeju)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11
30P 미리보기
제주 유학자 변경붕(邊景鵬, 1756-1823)의 성리학적 인식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7호 / 211 ~ 240페이지
    · 저자명 : 이창일

    초록

    이 논문은 조선 시대 후기 변경붕의 유학 철학사상이 지닌 특징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변경붕은 당시 성리학이 지도 원리로 자리 잡지 못한 제주 지역에 도입된 성리학의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가 된다. 하지만 변경붕의 철학사상을 연구하는 데 주된 장애는 그가 자신의 철학사상을 본격적으로 저술한 것이 거의 없거나 현전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다만 그의 『문집』에 기호학파의 글이 많이 채록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그의 철학적 입장은 기호학파를 계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통해서는 변경붕의 독자적인 철학사상을 발견하기 어렵다. 당시 성리학의 발전 단계가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불과했던 외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그의 『문집』에는 실존적 체험을 성리학에 입각하여 성찰한 내용이 존재한다. 기호학파에 대한 글이 공식적이고 외면적인 철학사상이라면 이는 사적이고 개인적인 내면의 철학사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실존적인 문제 가운데 삶과 죽음에 대한 체험과 그것의 의미를 추구했으며, 종교적 의례의 영험이나 꿈의 조짐과 예지와 같은 사안에 대해서 깊은 성찰을 한 인물로 보인다.
    변경붕은 초자연적인 현상을 성리학의 합리적인 질서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것이 바로 그가 성리학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이라고 평가된다. 그는 다른 성리학자들과는 달리 제주의 문화를 폄하하거나 교화의 대상으로 삼는 타자의 인식을 보여준 적이 없었다. 그의 철학사상은 자신의 실존적 상황을 성리학의 관점을 가지고 성찰한 이해를 토대로 형성된 것이었으며, 이는 당시 제주의 토속 문화에 대한 사색을 통해서 합리적인 자각을 해나가는 성리학 이해의 한 전범을 보여주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yon Kyong Bung’s Confucian philoso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on Kyong Bung was recognized as a famous Neo-Confucian in the Jeju area, where Neo-Confucianism was not established as a leading principle at the time. In this sense, the philosophical idea of Byon Kyong Bung is an indicator which may measures the level of Neo-Confucianism introduced in Jeju. However, the main obstacle to studying the philosophical ideas of Byon Kyong Bung is the fact that he has written little or no full-fledged philosophical ideas. Yet since many of Kiho School’s writings are recorded in his Literary Works, it can be seen that his philosophical position inherits Kiho School. But through thi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independent philosophical idea of Byon Kyong Bung. Despite the external conditions in which Neo-Confucianism’s development stage was still at a rudimentary level at the time, his Literary Works have his own reflections of the existential experience based on Neo-Confucianism. These are articles that reveal the inner side of Byon Kyong Bung, and if the articles about Kiho School are an official and outward philosophical idea, that could be seen as a private and personal inner philosophical idea. He seems to have pursued the experience of life and death and its meaning among the existential problems, and deeply reflected on issues such as the spiritual experience of religious rituals, signs of dreams, and foresight.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nt of his inner thoughts, the main categories of Neo-Confucianism, Guishen(spirits) and Ming(destiny), were set up to examine his philosophical ideas. Byon Kyong Bung shows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o-called supernatural phenomenon as a rational order of Neo-Confucianism, which is his effort to establish his identity as a Neo-Confucian. Unlike other Neo-Confucians or Neo-Confucian officials, he has never shown the perception of others who disparage the culture of Jeju or make it an object of edification. His philosophical ideas were form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his existential situation from Neo-Confucianism’s perspective, and this shows an example of Neo-Confucianism’s understanding, which gradually became reasonable while contemplating the native culture of Jeju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