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경유(申景裕:1581~1633년) 조복(朝服)의 후수(後綬) 연구 (A study on the Husu for Jobok of Shin Gyung-yoo)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05
26P 미리보기
신경유(申景裕:1581~1633년) 조복(朝服)의 후수(後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수록지 정보 : 한국복식 / 47호 / 87 ~ 112페이지
    · 저자명 : 장정윤, 박윤미, 최연우

    초록

    본 연구는 조선과 명의 문헌에 규정된 관원의 후수 제도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된 17세기무관 신경유 조복 후수의 유물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두 차례의 유물 실견이 이루어졌다. 비록직물 표면의 상태가 좋지 않아 완전한 형태를 복원하는 데에까지 이르지는 못했지만, 선행연구보다 한 발더 진전된 연구성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종 16년(1416) 3월 제정된 조선의 조복제도는 『홍무예제』와 당시 시행되고 있던 조선의 제복제도를 종합한 것이다. 『홍무예제』에 수록된 제도는 홍무24년(1391) 제정된 것이다. 태종 16년(1416) 마련된 조복제도는 명의 제도에 비해 이등체강 원칙을 적용한 것이지만, 세부내용에서는 이 원칙이 적용되지 않은 면도 나타난다. 품급에 따라 운학, 반조, 연작, 계칙을 표현하는 조선전기의 이 제도는 문헌에서 대한제국까지 변화없이 이어지지만, 조선후기 실제 사용된 후수는 제도와 달리 운학을 표현했고, 17세기 권우 조복 후수의 경우는 노사(鷺鷥)문양이다. 신경유 후수는 정2품 관원의후수인데, 겉감은 총 5종의 조직이 혼합된 문직물이고, 안감은 3매 능직의 무문능이다. 무늬는 가로줄 등 몇가지가 있는데 주 무늬 부분에는 일부 구름으로 추정되는 무늬가 있으나 무늬 전체를 완전히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무늬는 지위사와 별도로 굵은 문위사(supplentary weft)를 넣어 이중직(double weave)으로 짰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Husu(back decoration) of the 17th century military officer Shin Gyung-yoo’s Jobok (relics of the Ceremonial Attires) which is kept in Seokjusun Memorial Museum of Dankook University and compares the Husu system of ceremonial attires for government officials stipulated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Husu is worn on the back when wearing Jobok. The surface of the Husu of Shin Gyung-yoo was in a poor condition and only parts of the pattern could be examined.
    The Jobok system for government officials enacted in March of King Taejong’s 16th year combines the Hongmuyeje and system in place at the time. The system in Hongmuyeje was established in the 24th year of Hongmu. The Jobok system established in the 16th year of Taejong applied the principle of two-rank downgrading compared to the system of the Ming Dynasty. However, this principle did not apply to some detailed parts. The Jobok syst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xpress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officials rank such as clouds with cranes, eagles, mapgies and mergansers and this system continued on, in literature, to the Korean Empire without any change. However, only clouds with cranes were actually used on Husu for Job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ase of 17th century Kwon Woo’s ceremonial attire, white heron patterns were used.
    The Husu of Shin Gyung-yoo, who was a 2nd rank official, is made of polychrome woven silk mixed with five types of weaving techniques on the outside and the lining was a three-fold 2.1 twill. As for the patterns, a few patterns including horizontal lines were examined. A part of the main pattern could be assumed as cloud patterns. However not all the patterns could be identified. The patterns were woven with supplementary weft in a double wea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