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용운 시의 역설과 그 의미 - 유식학과 금강경을 중심으로- (The paradox and the meaning of Han-Yongwun’s poe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한용운 시의 역설과 그 의미 - 유식학과 금강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53호 / 75 ~ 106페이지
    · 저자명 : 남정희

    초록

    역설이란 진술 자체가 모순이면서 그 속에 진리가 숨어 있는 진술을 일컫는다. 이 글에서는 한용운 시의 역설이 언어 층위와 인식 층위에서 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 밝혔다. 즉 한용운이 역설을 즐겨 쓴 것은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묘오(妙悟)를 말하기 위해 길들여진 시각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였고, 사유로써는 도저히 해득할수 없는 진리를 체험하기 위하여 사유 과정을 정지시키고자 치밀하게 의도된 진술을 함으로써 언어로 소통하지만 언어를 초월하려는 의도였다.
    인식층위에서 보이는 역설은 부조리하고 모순된 세계에서도 진리를 발견하고 살아내기 위한 노력의 소산이며, 역설적 인식은 우리에게 자기희생적인 태도를 갖게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좋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낙관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혔다. 한용운이 역설적 세계인식을 하게 된 것은 바로 불교의 교리 중에서도 유식학(唯識學)과 관계있다. 유식학은 오로지 식(識)만 있고 경(境)은 없다는 유식무경(唯識無境)을 내세운다. 경은 나의 신체를 포함한 물리적 세계를 의미하고, 식은 인생과 우주 전반에 관해 사유하는 정신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유식무경이라고 해서 결코 세계에 존재하는 물상들을 부정하는것은 아니다. 식과 경을 완전히 분리된 둘로 간주하는 이원론이나, 정신과 무관한 물질세계 자체를 주장하는 유물론을 비판하는 것일 뿐이다. 한용운은 유식무경을 통해서 “우주 만물은 사람(마음)이 창조하는 것”이라는 낙관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언어층위에서 이루어지는 역설은 어법적으로 모순된 진술을 하는 경우이다. 그중에서‘A는 A가 아니다. 그러므로 A라고 할 수 있다’와 그 변형인 ‘A는 A가 아니다.’라는 기법은, 『금강경』의 진술을 분석하여, 불교의 오랜 전통이었음을 밝혔다. 이는 초(超)논리로서 논리가 어느 하나로 고착되거나 협애해지는 것을 넘어서기 위한 것임을 보였다.

    영어초록

    Paradox is a statement which contradicts itself but hides the truth in it.
    In this paper we suggest that, the paradox in composition of Han-Yongwun’s poem take places mostly in both linguistic level and cognitive level.
    First, we clarify that the paradox existed on cognitive level let us take an attitude of self-sacrifice, but it eventually is based on the optimistic view that could lead to a better world. The source of Han-Yongwun’s paradoxical view of the world is Buddhism vijñaptimātra theory(唯識學).
    Vijñaptimātra theory claims vijnapti-matrata(唯識無境), which states there is only vijñāna(識) but viṣaya(境). Viṣaya defines the physical world containing myself, vijñāna means the mental activity of meditation on life and universe on the whole. Vijnapti-matrata does not deny the existence of objects, but only criticises the dualism which separate vijñāna(識) from viṣaya(境) and materialism which claims the only thing that exists is matter irrelevant to spirit. Han-Yongwun conclusively reached the optimistic view which describes “universe is the consequence of human(mind).”Secondly, considering the paradox on linguistic level, we show that the origin of the paradoxical statement ‘What is called A is not A. Therefore it is A.’ or another version ‘What is called A is not A.’ is The Diamond Sūtra. What is known as the super-logic has been adopted by him to avoid either being fixed to a single logic or being too specif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