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교의 효제윤리와 경로사상, 그리고 노인복지 (Confucian Ethics of HyoJe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Idea of Respect for the Elderly and Welfare of the Age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11
24P 미리보기
유교의 효제윤리와 경로사상, 그리고 노인복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37권 / 169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이 논문은 유교의 효제(孝悌)의 개념과 경로효친(敬老孝親)에 보이는 노인복지를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효제는 효⋅제⋅충⋅신(孝悌忠信)으로 유교 윤리의 출발은 ‘효제(孝悌)’에 비롯된다.
    흔히 효가 친친(親親)의 근원적 연속성을 의미한다면, 제(悌)는 종형(從兄)의 연대성으로 모든 인간관계를 망라하는 도덕 원리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자는 효와 제를 실천하는 것이 바로 인(仁)을 실천하는 근본이라고 하였다. 그만큼 효제는 유교에 있어서 도덕의 근원으로서, 가족은 물론 이웃, 사회, 국가에 이르기까지 확장되어 인간 도리에 관한 질서와 연관되어 있다.
    특히 효는 일방적인 절대복종이나 성대한 물질 봉양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연스러운 정서에서 우러나오는 충심(衷心)과 성심(誠心)으로, 순수한 감정과 정서에 근본 하되 생명을 사랑하고 인류애로 나아가는 진리(道理)에 근거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효제의 윤리는 우리나라의 경우 상고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조선조 개국과 더불어 효제의 윤리는 효친과 경로사상으로 발전하여 조선조 윤리의 근간으로, 역대 임금들은 경로사상을 몸소 실천하였으며, 경로사상이 구체적으로 들어난 것이 노인들에게 잔치[耆宴]를 베풀고 양로(養老), 기영회(耆英會), 기로회(耆老會), 기로소(耆老所) 등을 설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자제(加資制)를 설치하여 벼슬이 없는 80세 이상의 양인에게 종 8품에 제수하였으며, 100세 이상인 자에게는 정 6품에 제수하기도 했다. 아울러 노비에게도 시정제(侍丁制)를 두어 연로한 부모를 봉양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조선조에서는 유교의 효제윤리가 경로사상으로 확대되어 실질적인 혜택을 부여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inquiry into welfare of the aged shown on the Confucian concepts of HyoJe and GyeongRoHyoChin (敬老孝親: respect for the elderly and good to parents). As many know, HyoJe comes from the words HyoJeChungShin (孝悌忠信: filial piety, brotherly love, loyal to king and faithful to friends), which are the root for practice of Rén (仁: benevolence). That is, Confucian ethics is thought to start with HyoJe.
    It is often said that Hyo means the underlying continuity of ChinChin (親親: close and friendly in relation), whereas Je (悌: polite) is a moral principle that covers every human relationship through the solidarity of JongHyeong (從兄: cousins and brothers). Therefore, Confucius said that practice of Hyo and Je was the base to go for Rén. That is, HyoJe is the moral source of Confucianism, which covers not only family but also neighbors, society and nation in relation with the order for duties of human.
    Especially Hyo is not based on one-sided absolute obedience or magnificent materialistic devotion. It is based on the truth where you go toward love for mankind with pure emotion and sense.
    This kind of HyoJe ethics is originated from the ancient period in Korea. Since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the ethics of HyoJe had evolved up to the ideas of HyoChin and GyeongRo, which played the moral root of Joseon dynasty and was practiced by every king by themselves. In particular, such idea of GyeongRo was realized into such systems as GiYeon (耆宴: party for the elderly), YangRo (養老: serving the aged with food and by appointing the elderly to government official positions), GiYeongHoi (耆英會: party for the elderly retired as high government officials), GiRoHoi (耆老會: group of retired elderly Confucian scholars), GiRoSo (耆老所: office serving for elderly government officials) and etc. Especially through GaJaJe (加資制), ordinary class people who were 80 years old or older were appointed to the officials of the semi 8th class, and 100 years old or older to the officials of the 6th class. For the slaves, furthermore, SiJeongje (侍丁制) was established so that they could serve their parents. As indicated above, in Joseon dynasty, the Confucian ethics of HyoJe was extended to the idea of GyeongRo to give practical benefits to the a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