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煌丕昌天銘鏡의 도상과 불교적 해석 (The Iconography and Significance of Motifs on Goryeo Bronze Mirrors with the Inscription of Hwangbichangche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06
27P 미리보기
고려 煌丕昌天銘鏡의 도상과 불교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6권 / 286호 / 59 ~ 85페이지
    · 저자명 : 정수희

    초록

    황비창천명경이란 거울 뒷면에 ‘煌丕昌天’ 명문과 함께 ‘많은 사람을 태운 큰 배가 용·마카라· 대어 등이 출몰하는 거친 바다를 항해하는’ 모습을 새긴 동경을 말한다. 고려 황비창천명경은 현재71점이 전하며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동경을 다시 되부어내는 방법으로주조한 바다·배·물고기·용이 등장하는 해박어룡문경, 여기에 일상과 월상이 추가된 일월해박어룡문경, 그리고 문양이 없는 소문경이 있다.
    이 동경들은 출토품의 공반 유물 분석, 동시기 다른 공예품의 문양과의 비교를 통해 대략 11 세기 후반~12세기경에 제작되고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황비창천명경의 도상은 다양한 불교경전에서 확인되는 ‘商人入海採寶’ 고사를 도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상인이 바다에 보물을 캐러나갔다가 고난을 겪게 되지만 부처님의 도움으로 벗어나는 이야기’이다. 특히 『大隨求陀羅尼經』은海難을 일으키는 수중짐승과 그 구제 장면이 매우 구체적으로 서술된 것이 중요한데, 황비창천명경의 각 도상과 정확하게 부합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예를 들어 황비창천명경의 주요 도상인 바다와 배라든가 용·마카라·대어 등의 수중짐승의 모습은 경전의 내용과 그대로 부합한다. 이는 ‘바다의 액난’을 상징하는 것이며 ‘황비창천’ 명문은 ‘대수구다라니를 베껴 돛대 위에 달았을 때 다라니의 위력으로 광명이 빛나면서 모든 재난이 사라지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황비창천명경이 제작된 11~12세기는 사신이나 경제 교류, 조세 운송 등에 선박이 크게이용되면서 海運과 水運 활동이 활발했으며 이로 인한 바다로부터의 위험도 많았던 시기였다. 당시의 문헌 기록에는 항해 도중 위험에 처했을 때 배 위에서 간단한 소재의식을 치른 내용이 확인되며, 불경을 외우거나 불경 또는 동경을 바다에 던져 넣는 행위 등 안전 항해를 기원하는 불교 의식이 치러진 기록도 전한다.
    황비창천명경은 활발했던 해상활동을 상징하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 추정된다. 안전항해를 기원하며 배의 돛대에 걸어두거나, 환난에 빠졌을 때 부처님과 바다의 신께 올리는 제사에서 바다에 던져졌을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특히 일월상이 있는 황비창천명경은 크기가 24cm가 넘는 대형에 문양이 섬세하고 조형성이 매우 뛰어난 고려시대 동경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시왕’이라는명문도 확인된다. 아마도 안전 항해를 기원하고 바다에 빠져 죽은 영혼들을 구제하기 위한 불교 의식을 위해 고려에서 새롭게 창안된 유물이 아닌가 한다.

    영어초록

    The Hwangbichangcheon mirror refers to a type of bronze mirrors inscribed with the phrase(煌丕昌天, “superbly dazzling and flourishing sky”) and a motif of a large vessel with people sailing through the rough sea full of creatures like a dragon, makara, and large fish. Seventy-one mirrors of this type are extant,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1) mirrors featuring the sea, a vessel, fish, and dragon, which were made by melting bronze mirrors from China and molding them; 2) those adorned with the sun, moon, sea, a vessel, fish, and dragon; and 3) those with only the inscription but no design.
    An analysis of associated relics and comparisons with the design of other contemporary artefacts indicate that these bronze mirrors were produced and gained popularity during the late 11th and 12th centuries. The motifs on hwangbichangcheon mirrors presumably depict the ancient story of a merchant who bravely went to the sea in search of treasures. He came across obstacles in the process, yet he was able to overcome them with the aid of Buddha, a story found in a variety of Buddhist scriptures. Especially, the Mahāpratisara Vidyā Dhāraṇī (大隨求陀羅尼經) gives a detailed description of sea monsters that caused perils of the sea as well as describes a scene of overcoming the perils and being saved from them. It is significant that the hwangbichangcheon mirror motif and the story match exactly. For example, the sea and a vessel-the main motifs on the mirrors-or sea monsters such as a dragon, makara, and a large fish exactly coincide with the content of the scripture. These symbolize calamity on the sea, and the inscription of hwangbichangcheon is presumed to represent the moment when all the calamities disappear as the image of the Mahāpratisara Vidyā Dhāraṇī hangs high above the mast and sheds light around the world thanks to the power of the dhāraṇī.
    During the 11th and 12th centuries, when hwangbichangcheon mirrors were produced, sea vessels were widely used for foreign envoy travel, economic exchange, and transportation of taxes, which led to more frequent maritime and river transportation with high risk of dangerous accidents. Relevant records have confirmed that simple ceremonies were held in order to drive away bad luck that might befall a vessel that was in danger during its journey. There are also records of Buddhist rituals and events in which people read Buddhist scriptures or threw bronze mirrors or scriptures into the sea as a wish for safe sailing.
    Hwangbichangcheon mirrors are representative Goryeo artefacts that are presumed to symbolize the kingdom’s vigorous maritime activities. As a wish for safe sailing, the mirrors may have been hung on a mast or thrown into the sea at a ceremony for Buddha and the sea god in times of hardship. In particular, the mirror with the sun and moon motifs,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Goryeo bronze mirror, is large, exceeding 24 centimeters in diameter, and highly prominent with its delicate design. This mirror also has the inscription si-wang.
    Perhaps this is a new kind of mirror produced in Goryeo for a Buddhist ritual wishing for safe sailing and salvation for the souls who died at s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