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제클릭석굴 18굴 <消除災難經變相圖> 연구 (A Study of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the Xiaochu zainan jing from Cave 18, Bezeklik Cav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09
26P 미리보기
베제클릭석굴 18굴 &lt;消除災難經變相圖&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0291권 / 290291호 / 175 ~ 200페이지
    · 저자명 : 조성금

    초록

    본 연구의 대상인 투르판 베제클릭 18굴 출토의 벽화는 현재까지도 <약사설법도>, <약사정토변상도>, <치성광여래도> 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림과 이 그림의 도상학적 배경으로 짐작되는 『消除災難經』 을 면밀히 비교 검토한 결과, 별에 의한 환난과 재앙 그리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도해한 <消除災難經變相圖>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림의 본존은 淨居天宮에서 文殊菩薩과 九執, 七曜, 十二宮神, 二十八星, 日月 등의 여러 星神들에게 전생에 사라수왕부처님께 배웠다는 다라니를 전하는 석가모니여래이며, 여래 좌우의 보살, 비구, 구요, 십일요는 설법을 경청하는 하늘의 星辰에 해당된다.
    현존하는 치성광여래관련 불화를 통해서 볼 때, 10~11세기 중앙아시아지역에서는 법륜을 지물로 지닌 치성광여래가 널리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베제클릭 18굴 출토의 <消除災難經變相圖>의 본존은 전통의 도상 그대로 경전에 충실히 석가모니의 도상으로 표현되어 있어, 敦煌 및 서하지역에서 제작된 <치성광여래도>와는 도상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天山 위구르왕국 시기 경변상도의 특징은 경전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서 독자적인 도상을 창작하였는데, 그 표현이 매우 자세하고 구체적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룬 베제클릭 18굴 <消除災難經變相圖> 역시 이러한 위구르불화의 특징을 잘 대변해주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본 작품이 현존하지는 않지만, 『消除災難經』 을 완벽하게 형상으로 변화시킨 유일한 사례라는 점과 치성광여래관련 불화에서 주존이 석가여래에서 법륜을 든 치성광여래의 도상으로 변화되어가는 흐름의 한 부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된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wall painting from Cave 18, Bezeklik Caves in Turfan, is known by several titles, including “Preaching Bhai ajyaguru,” “Pure Land of Bhai ajyaguru,” and “Tejaprabha Buddha.” However, after comparing the painting to the text of the Xiaochu zainan jing (Dhāra ī Sutra of the Magnificent and Virtuous Golden Wheel Buddha-head, Tejaprabha Tathāgata, Who Dispels All Disasters and Calamities),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is in fact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the Xiaochu zainan jing, which describes disasters and calamities caused by stars and their resolutions.
    Therefore, the central figure of the painting should be identified as Śākyamuni, who preaches the dhāra ī that he learned from Śālendra-rāja Buddha during his previous life to Manjuśrī and celestial deities such as the Nine Luminaries, the Seven Planets, the Twelve Zodiac Animals, the Twenty-Eight Mansions, the Sun and the Moon. Thus, the bodhisattvas, the monks, the Nine Upholders, and the Eleven Luminaries, all of whom stand beside the Buddha, are celestial deities who carefully listen to the teaching.
    Based on the extant paintings of Tejaprabha Buddha, the figure of Buddha with a dharma wheel was popular from the 10th to the 11th century in the Central Asian region. However, the main figure of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the Xiaochu zainan jing from Cave 18 is Śākyamuni based on the traditional iconography that the sutra describes. This representation is different from the other paintings of Tejaprabha Buddha that were produced in the Dunhuang or Xixia regions.
    The main stylistic characteristic of a transformation tableaux in the Tianshan Uighur Kingdom period is that the Uighur created their own iconography for a sutra painting based on a thorough understanding on the sutra, and thus their paintings have very specific and detailed pictorial representations. I believe that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the Xiaochu zainan jing from Cave 18 surely demonstrates this characteristic of the Uighur painting style.
    Even though this painting no longer exists, it still serves as an important reference not only because it is the only example that perfectly depicts the content of the Xiaochu zainan jing but also because it shows the transitional phase of the Tejaprabha Buddha painting in terms of the iconography of the central figure: from Śākyamuni to Tejaprabha Buddha holding a dharma-whe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