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경재전집』의 변辨·발跋·필기류筆記類를 통해 본 한국고대사의 신자료 발굴 (A Study on Excavation of new materials on Korean ancient history through the Byeon(辨)·Bal(跋)·Writing classification(筆記類) of 『The Complex Works of Yeongyeongjae (硏經齋全集)』)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11
40P 미리보기
『연경재전집』의 변辨·발跋·필기류筆記類를 통해 본 한국고대사의 신자료 발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52호 / 7 ~ 46페이지
    · 저자명 : 김희만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해응(1760~1839)의 문집인 연경재전집 에 보이는 변·발·필기류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와 연관된 새로운 자료를 정리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 ‘잡시·발·변·명·찬·초사담헌·사료례류· 필기류·사료지리류·동국지리변雜詩·跋·辨·銘·贊·草榭談獻·史料例類·筆記類·史料 地理類·東國地理辨’ 등에서 찾아낸 다양한 고대사 관련 자료를 분류해서 그 의미를 찾아보았다.
    먼저, 연경재전집의 변·발·필기류 등에서 한국고대사의 신자료라고 할 수 있는 내용이 어떤 형태로 수록되었는지 그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해당 내용을 전체적으로 조감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보았다. 다음으로, 이들 신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그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고려비’, ‘진흥북순비’, ‘기자후예’ 등의 항목에 집중해서 분석하고 의미를 찾아보았다.
    다음으로, 성해응의 한국고대사 자료 인식에서는, 첫째 민족의 기원 또는 고대국가의 시원에 주목한 점, 둘째 국가의 영토 문제와 관련된 강역의 변화를 언급한 점, 셋째 고대의 역사적 인물에 관심을 기울인 점, 넷째 중국 사서에 대한 깊은 관심을 두었다는 점, 다섯째 고대사 자료로서의 금석문에 집중한 점 등을 분석하여 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연경재전집의 변·발·필기류 등에는 한국고대사 관련 신자료가 다양한 방식으로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었으며,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실학자인 성해응의 한국고대사 인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new data related to Korean ancient history were organiz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The Complex Works of Yeongyeongjae (硏經齋全集) of works by Seong, Hae-eung (1760-1839),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the following points could be revealed.
    First, by examining the form in which the contents, which can be said to be new materials of Korean ancient history, were recorded in the The Complex Works of Yeongyeongjae(硏經齋全集) ,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as a whole was laid.
    Next, in order to analyze these new materials, I looked at their composition and contents in detail, and also analyzed and searched for meaning in particularly noteworthy items among them. In particular, contents such as ‘Korea monument (⾼麗碑)’, ‘Jinheung monument of commemoration (眞興北巡碑)’, and ‘Kija descendant (箕⼦後裔)’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nd they can be newly illuminated through Seong, Hae-eung.
    Next, several points could be derived from Seong, Hae-eung’s recognition of Korean ancient history materials. First, he paid attention to the origin of the nation or the origin of ancient countries, second, he mentioned changes in territory related to national territorial issues, and third, The fact that he paid attention to ancient historical figures, the fourth, deep interest in Chinese historical books, and the fifth, the focus on epigraphs as a material of ancient hist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new materials related to ancient Korean history were contained in various ways in the The Complex Works of Yeongyeongjae (硏經齋全集) . Through this, it helped to understand Seong, Hae-eung’s perception of Korean ancient history,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