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마경의 격발성 언어 기교와 침묵의 대화법 (Inspirational Language Skills and the Method of Silent Dialogue in the Vimalakirti Nirdesa Sutr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10
29P 미리보기
유마경의 격발성 언어 기교와 침묵의 대화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9호 / 3 ~ 31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유마경』은 대표적인 대승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많은 대승경전이 철학적이거나 종교적인 색채가 농후한 데 비해 『유마경』은 에피소드(episode)로 가득하다. 『유마경』은 고대 중국에서 수 차례 번역되었고, 이후 그것은 중국불교뿐만 아니라 중국문화 일반에까지 크게 영향을 끼쳤다. 그것은 거사불교를 견인했고, 중국 문학에도 깊이 관여했다. 특히 『유마경』의 주인공 유마힐이 성문 제자나 보살과 나눈 대화의 방식은 수행의 한 방법으로 선종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본고는 대화법이라는 관점에서 유마힐의 언어 사용을 분석하여 세 가지 특징을 추출했다. 첫째는 유마힐이 행한 ‘상황 설정의 희극성(戱劇性)’이다. 바로 이점 때문에 『유마경』의 서사 방식이 중국문학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둘째는 대화의 주도자인 유마힐이 발휘한 ‘격발성의 언어 기교’이다. 이는 선종에서 말하는 기변(機辯)과 유사한데, 선문답의 한 연원으로 간주된다. 셋째는 유마힐이 시도한 ‘침묵의 대화법’이다. 유마힐의 침묵은 불이법문을 논하는 과정에서 등장하는데, 그의 침묵은 ‘불이’도 가명이고 결국 그와 관련한 언설은 극복해야 할 것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그리고 본고에서 필자는 『중론』의 논리를 동원하여 불이(不二) 개념의 이론 배경을 분석했다.

    영어초록

    The Vimalakirti Nirdesa Sutra, a prominent Mahayana scripture, distinguishes itself among its peers by its narrative richness, diverging from the prevalent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emes found in other Mahayana sutras. Having undergone multiple translations in ancient China, it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not only on Chinese Buddhism but also on the broader cultural landscape. Moreover, it played a pivotal role in inspiring the emergence of laymen Buddhism and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Chinese literature.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conversational style of Vimalakirti, the central character, which greatly impacted the development of Chinese Zen Buddhism. This paper conducts a linguistic analysis of Vimalakirti, referred to as Vimalakirti, focusing on three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ly, the performance of setting the situation orchestrated by Vimalakirti, contributing to the diverse utilization of the narrative style in Chinese literature; secondly, the demonstration of inspirational language skills by Vimalakirti, akin to the concept of Jibian(機辯) in Zen Buddhism, considered an origin of Zen's question-and-answer practices; and thirdly, the silent conversation method attempted by Vimalakirti. His ultimate silence, when questioned about realizing the advaya, signifies that advaya, the core concept of the Vimalakirti Nirdesa Sutra, is fundamentally a upādāyaprajñapti, highlighting the limitation of linguistic expression. This paper employs the logic of Mūlamadhyamakakārikā to analyze the concept of advaya in the Vimalakirti Nirdesa Sutra and Vimalakirti's sil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