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하대 景文王系 왕실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 (Choi Chi-won's Perceptions of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during the Latter Period of Sill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08
42P 미리보기
신라 하대 景文王系 왕실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2호 / 373 ~ 414페이지
    · 저자명 : 송은일

    초록

    이 글은 신라 하대 경문왕계에 왕실의 왕위계승・왕의 자질・정국운영에 대해 최치원의 인식은 물론이고 그 자신은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떠한 생각을 지니고 있었던 것인가를 살펴본 것이다.
    우선 경문왕계 왕들의 왕위계승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과 그가 생각했었던 이상적인 왕위계승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는데, 경문왕, 헌강왕, 정강왕, 진성왕의 왕위계승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생각했었다. 최치원이 이같이 생각했었던 이유는 경문왕과 진성왕은 능력과 재능을 갖추었기 때문이었고, 헌강왕의 경우 태자로서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정상적인 왕위계승이라고 여겼으며, 헌강왕의 동생된 자격으로 왕위에 오른 정강왕의 경우도 당시 정치적 상황 하에서는 정상적인 왕위계승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다음으로 경문왕계 왕들의 자질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과 함께 그가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했었던 왕의 자질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경문왕은 검박하면서 겸양의 미덕을 지닌 군주로, 헌강왕에 대해서는 문인풍으로 충간을 잘 들어주면서 백성들을 위호할 줄 알기는 하였으되 유약한 군주로, 진성왕은 聖德을 체득하고 사욕은 없으나 병약한 군주로 인식하였다. 최치원이 생각한 군주의 자질은 仁으로 정치를 펼쳐야 하며 백성들의 교화는 효로서 삼아야 한다는 것인데 왕도정치의 실현이 바로 이곳에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문왕계 왕들의 정국운영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과 함께 그가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했었던 정국운영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경문왕에 대해서는 유교적 정치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중국의 제도를 수용하여 관부의 개편과 인재등용 정책을 적극 시행했던 결과 덕화정치를 펼 수 있었던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헌강왕은 중국의 문화와 제도를 잘 수용하여 개혁정치를 펼쳤었고 인재를 중시하였으며, 간언을 잘 받아 들여 나라가 화평했었던 것으로 인식했었다. 마지막으로 진성왕대에는 모든 환란이 한꺼번에 밀려와 나라가 존망의 위기에 놓여 있었던 시기였는데, 진성왕은 이러한 환란에 대해 적극 대처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한편으로 진성왕은 최치원이 생각했었던 정국운영에 대한 구상을 그대로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군주로 보기도 하였다. 최치원은 정국운영과 관련하여 군주는 인으로 정치를 펼쳐야 하며, 백성의 교화는 효로서 그 근본을 삼아야만 왕도정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소양을 갖춘 인재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최치원은 경문왕계 왕실이 자신이 이상적으로 생각했었던 왕위계승・왕의 자질・정국운영 등과 매우 부합한다고 보았던 것 같은데, 그가 경문왕계 왕실과 정치적 생명을 다했었던 것은 대개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hoi Chi-won's perceptions of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during the latter period of Silla in term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qualities of the king, and operation of the political situations, as well as his own ideas of those aspects.
    First examined were his perception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by the kings from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and his ideas of ideal succession to the throne. He had an overall positive perception of succession to the throne by King Gyeongmun, Heongang, Jeonggang, and Jinseong on the grounds that King Gyeongmun and Jinseong had the abilities and talents required from a king, that King Heongang ascended to the throne in a legitimate way as the Crown Prince, and that King Jeonggang succeeded to the throne as the younger brother of King Heongang, which was deemed to be legitimate under the political conditions at that time by Choi.
    Then his perceptions of the qualities of the kings from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were examined along with his ideas of the most ideal qualities of a king. He thought that King Gyeongmun was a monarch with such virtues as frugality and humbleness, that King Heongang was a literary man and weak monarch that listened carefully to loyal remonstrances and cared for the people, and that King Jinseong was an invalid monarch that obtained royal virtues and had no personal greed. Choi believed that an ideal monarch would rule the nation with perfect virtue and educate the people through filial piety, which embodies the idea of benevolent royal government.
    Finally, his perceptions of the ways the kings from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ran the political situations were examined along with his ideas of the most ideal ways. He perceived that King Gyeongmun actively introduced the Chinese systems to implement the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and worked hard on the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offices and the policy of recruiting talents, thus doing virtue-based politics. He believed that the entire nation enjoyed peace under the rule of King Heongang, who reformed politics by carefully introducing the Chinese culture and systems, placed importance on talents, and accepted admonitions well. Silla was in the face of all kinds of hardship and disaster at the same time during the reign of King Jinseong, being driven to the verge of collapse. Choi saw that King Jinseong actively dealt with the hardships and disasters and did his best to overcome them. Choi regarded King Jinseong as a monarch who had the abilities to carry out his ideas about the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s. Choi also believed that a monarch should base his politics on perfect virtue and find the essence of the tenets for the people in filial piety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s, thus implementing benevolent royal government based on the support of talents with academic qualities.
    In short, Choi perceived that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much corresponded with his ideals in succession to the throne, qualities of the king, and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s, which explains why his political life was ended with the fall of King Gyeongmun's royal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