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지역 3~5세기대 묘제환경의 검토 (Tombs and their development in the Gyeonggi Province between 3rd and 5th centuries)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10
53P 미리보기
경기지역 3~5세기대 묘제환경의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문화유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중앙고고연구 / 21호 / 1 ~ 53페이지
    · 저자명 : 이남석

    초록

    이 글은 3~5세기대의 경기지역 분묘현황을 살펴 그 전개상을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분묘의 개념과 동시기 시대상에 대한 이해를 전제한 다음에, 57개 유적에서 확인된 분묘자료를 종합하여 검토하고, 그 묘제유형과 존재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분묘의 자료적 가치와 묘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마한과 그 묘제, 백제묘제 인식을 전제한 다음에 경기지역 3~5세기대 분묘자료의 대부분인 토광묘제와 분구묘를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의 전제를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경기지역 3~5세기대의 분묘자료는 토광묘로서 봉토묘, 주구토광묘, 분구묘, 관곽토광묘가 있고 석축묘로서 적석묘, 석실묘, 석곽묘와 함께 옹관묘의 자료를 확인하였다. 이들 각각의 묘제는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갖춘 것으로 3세기 즈음부터 주구토광묘와 분구묘 자료가 증가하여 4세기대에 이르면 중심묘제로 자리하고 이어 관곽토광묘와 석실묘, 석곽묘 등의 묘제가 더해져 다양성이 강화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각의 묘제는 지역 간 차별적으로 분포하는데, 백제의 도읍지였던 한성지역, 즉 경기 중심권에 해당되는 지역은 봉토묘 중심의 전통묘제가 오랫동안 존속되고 이어 석실묘의 주 분포권을 이룬다. 그리고 남부권은 주구토광묘, 서부권은 분구묘가 분포권역을 이루는데, 시대의 진전에 따라 관곽토광묘와 석실묘의 확대도 살펴진다. 경기지역 3~5세기의 묘제환경은 1~3세기대 삼한시대에 마한 봉토묘가 사용되던 환경에 3세기 즈음 주구토광묘가 등장하고, 주구토광묘의 고총고분적 전통의 영향으로 분구묘가 발생하여 각각의 지역에 고유묘제로 자리한다. 더불어 4세기대에 관곽토광묘나 석축묘가 등장하나 이들은 중심권과 남부권에 산발적 분포상을 갖추고 있음도 확인된다. 물론 4세기 중후반에 이르면 마한전통묘제의 환경에 머물던 백제의 도읍지 한성에 석실묘가 등장하여 주묘제로 정착하지만 그것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정황은 당시 정치, 사회상의 변화와 짝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ombs and their development in the Gyeonggi Province between 3rd and 5th centuries. After an overview of the concept of tombs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burial data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rom 57 sites to underst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urial customs. First, the importance of burial systems wer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burial systems of Mahan and Baekje. Then, attention was paid to understand the predominant form of tombs in the Gyeonggi Province between 3rd and 5th centuries: Togwangmyo (wooden coffin tomb) and Bungumyo (tomb with tumulus). Togwangmyo (wooden coffin tomb) was further classified into Bongtomyo (tomb covered with mound), Jugu–togwangmyo (pit tomb with an encircling ditch), Bungumyo (tomb with tumulus), and Gwangwak–togwangmyo (coffin pit tomb). Seokchukmyo (stone tomb) was further classified into Jeokseokmyo (stone-pile tomb), Seoksilmyo (stone-chamber tomb), and Seokgwakmyo (stone-lined tomb). Additionally, there is Onggwanmyo (jar burial). Data show that each burial custom is associated with a uniqu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Jugu–togwangmyo and Bungumyo increased since approximately the 3rd century, becoming the main burial custom by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Afterwards, there is an increasing diversification of burial customs such as Gwangwak–togwangmyo, Seoksilmyo, and Seokgwakmyo. Each burial custom has a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 in the Hansung prefecture, the then capital of Baekje and hence the center of the Gyeonggi Province, the traditional burial custom is Bongtomyo which continues to be so for a very long time, before getting replaced by Seoksilmyo customs. The southern regions practiced the customs of Jugu-togwangmyo and the western regions Bungumyo. It was also found that Gwangwak–togwangmyo and Seoksilmyo customs spread with the progress of time. The burial traditions between the 3rd and 5th centuries in the Gyeonggi Province developed as follows: from the 1st to the 3rd century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Han states, Bongtomyo was practiced in Mahan; around the 3rd century, Jugu-togwangmyo appears, an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Jugu–togwangmyo’s Gochong-gobun (ancient mounds and tumuli) traditions, Bungumyo developed, situating itself as the indigenous burial custom in each region. Gwangwak–togwangmyo and Seokchukmyo appeared in the 4th century, but these customs were sporadically distribute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In the mid to late 4th century, Seoksilmyo customs emerged in Hansung, the capital of Baekje, which had originally retained the traditional Mahan burial customs as the region’s main burial custom. However, the spread of Seoksilmyo customs to surrounding regions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on resulting from the political and societal changes of that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