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의경(意境)’ 미학 기반 공간디자인 사고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Thinking Mode of Space Design Based on ‘Space Artistic Conception’ Aesthetic Theory in Chin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12
16P 미리보기
중국 ‘의경(意境)’ 미학 기반 공간디자인 사고 방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8호 / 325 ~ 340페이지
    · 저자명 : 학춘우, 이선정

    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의경(意境)’ 이론은 중국 고전 미학의 범주에 속하며 역사적 가치와 미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고 중국 전통 예술에서 최고로 추구하는 목표다. 하지만, 현대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는 전통적인 중국 미학을 활용한 공간디자인 방식을 찾기 힘들고 방법론에 관한 연구도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전통 미학을 바탕으로 한 동양적인 공간디자인 방식에 대한 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위 배경을 바탕으로 이에 본 연구는 전통 미학인‘의경’을 기반으로 한 ‘건축 공간 의경’으로 적용하여 세 가지 종류의 공간디자인 사고방식과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 디자이너가 창작과정에서 특유의 동양적인 사고방식을 활용해 공간의 예술적 디자인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우선 ‘건축 공간 의경’ 미학 사상에 대한 전반적인 논설이론을 다루고, ‘의상’ 개념에서부터 ‘의경’ 미학으로 이어지며, ‘건축 공간 의경’ 미학 사상이 건축 예술 분야에서 확립되는 과정을 정리한다. 둘째, 시기별 의경 이론을 선택하여 ‘의(意)’,‘상(象)’,‘형(形)’, 설계 사고방식과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비교를 통해 ‘의’·‘상’·‘형’ 사고방식의 내재적 관계를 찾아내 도출한다. 셋째, 허우유빈 교수의 ‘건축 공간 의경’의 미학과 건축 공간의 자체 속성에 따라 ‘의(천天)’·‘상(인人)’·‘형(지地)’세 가지 측면을 삼위일체로 한 디자인 사고방식을 형성한다. 이를 배경으로 '의', '상', '형'을 중심으로 하는 ‘건축 공간 의경’의 동양적 공간디자인 사고방식을 도출한다. (결과) 동양인은 이미지의 감정 표현을 인식의 공간으로 사용하고 지각과 잠재의식을 위주로 하는 ‘형상 사고방식(形象思维)’(이미지, 시각적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다. 창작의 각도에서 ‘건축 공간 의경’ 미학 기반한 세 가지 종류의 창작 사고방식을 도출한다 : 1.‘형’을 기반한 공간디자인 사고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2.‘상’을 기반한 공간디자인 사고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3.‘의’을 기반한 공간디자인 사고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결론) 건축 디자인 분야에서‘건축 공간 의경’'의 활용은 건축, 환경과 사람을 일체화 시킬 수 있다. ‘건축 공간 의경’ 미학 기반 공간디자인 사고에서 ‘형'과 ‘의'는 통일되어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형'과 ‘의'를 연결하는 단계는 바로 지각적 사고의‘상'이다. ‘상'의 중간 단계의 의사소통 상태로 인해 ‘의’·‘상’·‘형’이 상호 연관되어 공간디자인 창작의 삼위일체를 이루는 동양적 ‘형상 사고방식’의 공간디자인 사고방식이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cept of Yijing (意境) belongs to classical Chinese aesthetics, possessing historical and aesthetic value and representing the ultimate goal in traditional Chinese art. However, in modern spatial design, it is challenging to find methods that incorporate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and research on methodologies is scarce.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ree types of spatial design thinking and methods based on Yijing, the traditional aesthetic. It is hoped that spatial designers will use this unique East Asian thought process to create artistically designed spaces. (Method) The paper first discusses the overall theoretical discourse on architectural space Yijing aesthetics, starting with the concept of Yisang and extending to the Yijing aesthetic. It outlines how architectural space Yijing aesthetics have become establish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art. Secondly, it selects Yijing theories from different periods to concretely analyze and compare the design thinking and processes of Yi (意), Xiang (象), and Xing (形) and uncover their intrinsic relationships. Thirdly, the study formed a trinitarian design thought process based on Professor Hou Yubin's architectural space Yijing aesthetics, considering the Yi (Heaven), Xiang (Human), and Xing (Earth) aspects with reference to the innate properties of architectural space. This formed the basis for deriving an East Asian spatial design thought process centered on Yi, Xiang, and Xing. (Results) East Asians use image emotional expression as a cognitive space and predominantly utilize the Xingxiang thinking method (image, visual thinking). From the creation perspective, three types of creative thinking based on architectural space Yijing aesthetics were derived: (1) two types based on Xing-centered spatial design thinking, that is, one where the form → image → meaning approach represents perceptual thinking and has intuitive characteristics, and the other where it is subconscious and intuitive, with abstract features; (2) two types based on Xiang-centered spatial design thinking, that is, one where the image→ form → meaning method is subconscious and intuitive and the other where it has symbolic features; and (3) two types based on Yi-centered spatial design thinking, that is, one where the meaning → form → image approach is subconscious and intuitive, with abstract characteristics, and the other where it is logical and precise. (Conclusions) Applying architectural space Yijing to architectural design can integrate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people. In spatial design thinking based on architectural space Yijing aesthetics, Xing and Yi are inseparably unified, connected by Xiang perceptual thinking. The intermediary communicative state of Xiang leads to the interconnectedness of Yi, Xiang, and Xing, culminating in an East Asian Xingxiang thinking method in spatial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