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조~순조대 惠慶宮의 위상 변화 (The changes of Hyegyonggung’s status at the time of King Yeongjo’s reign to King Sunjo’s on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09
33P 미리보기
영조~순조대 惠慶宮의 위상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4호 / 75 ~ 107페이지
    · 저자명 : 임혜련

    초록

    조선 22대 정조의 어머니이며,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의 빈이었던 惠慶宮 홍씨는 영조~순조대 정치적 상황 속에서 그 지위와 위상 변화가 있었다. 영조대 혜경궁은 사도세자와 가례를 치르고 세자빈이 되었다. 세자빈에게는 세자를 내조하고, 왕실 어른들을 잘 모시고, 왕실을 화평하게 하며, 후사를 낳아 왕위를 계승할 수 있도록 하는 임무가 주어졌다. 혜경궁은 구성원이 다양하였던 왕실을 편안하게 했으며, 의소세손이 비록 사망하였지만 정조를 출산하여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였다. 영조대 혜경궁은 앞서 사망한 효장세자의 빈 현빈 보다 높은 위치에 있었다. 이는 사도세자가 차기 왕위계승자였기 때문에 그와 짝하여 손위 동서 현빈보다 높은 위상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영조 38년 ‘임오화변’으로 사도세자가 폐세자가 되자 혜경궁도 폐세자빈이 되었고, 세자가 훙서 후 세자의 지위를 회복하자 ‘惠嬪’의 호를 받았다. 그러나 그 위상은 현빈과 같이 사망한 세자의 빈이었을 뿐이다. 혜경궁은 아들 정조를 보존하면서, 그가 즉위한 후 사도세자가 왕으로 추숭되면 왕대비의 지위에 오를 수 있는 희망을 가졌었다. 그러나 영조는 정조를 효장세자의 아들로 하여 종통을 계승하게 하는 ‘갑신처분’을 단행하였다. 이로 인해 혜경궁은 종통상 정조와 숙질간이 되어 그 관계가 희석되었다. 정조가 즉위한 후 사친 혜경궁에 대한 존숭이 이어졌다. ‘혜빈’의 칭호 대신 ‘혜경궁’이라 명호를 정하였고, 이에 맞는 여러 격식을 갖추어서 어머니의 위상을 높여주었다. 특히 정조는 4차례의 존호 가상을 통해 혜경궁의 위상을 강화하였고, 신하들의 충성을 이끌어내었다. 정조 19년 사도세자와 혜경궁의 회갑을 기념하여 혜경궁을 모시고 화성에 행차하여 현륭원을 참배하고 봉수당에서 회갑연을 개최하였다. 이렇게 위상이 강화된 혜경궁은 어머니로서 정조의 건강을 걱정하는 언문 교서를 하교하였고, 신하들 역시 정조의 건강이 염려될 때 정청을 하여 혜경궁의 도움을 청하였다. 당대에는 이러한 혜경궁을 왕대비와 같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순조가 11세에 즉위하고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면서 정국이 급변하게 되자 혜경궁의 친정 풍산 홍문은 다시 공격의 대상이 되어 동생 홍낙임이 사사당하였다. 혜경궁은 왕실 내명부의 위차에서 며느리인 왕대비 효의왕후보다 뒤에 있게 되었다. 이후 친정을 하게 된 순조는 아버지의 외가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혜경궁에 대한 정조대와 같은 존숭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는 결국 혜경궁이 존숭을 통해 위상은 높아졌으나, 세자빈이라는 지위가 변하지 못한 한계로 인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Hyegyonggung Hong is King Jeongjo’s mother, the 22nd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also Princess Sado’s w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sue the changes of Hyegyonggung Hong’s status at the heart of dynamic political changes from the time of King Yeongjo’s reign to King Sunjo’s one. Through a marriage with Princess Sado, Hyegyonggung was proclaimed to the Crown Princess, and she fully performed her role as a Crown Princess. There was an elder sister-in-law, Hyunbin Cho, a wife of Prince Hyojang, who was already passed away. In spite of her hierarchical order according to her husband’s side, Hyegyonggung was higher in rank than Hyunbin Cho as her husband, a Prince Sado, was expected to be installed to a king at the time. However, due to ‘Imo Incident’ in King Yeongjo’s 38th year of ruling, Princess Sado passed away. Therefore, Hyegyonggung was once expelled from the position of Crown Princess and later she was recovered as a ‘Hyebin’, which was, however, lower than Hyunbin in political hierarchy. As she had a son who had a possibility of becoming a king, she expected to be the Queen Mother. Unexpectedly, King Yeongjo adopted her son, a Princess Hyojang and she lost her son.
    Hyegyonggung’s son became a king, King Jeongjo. Even though King Jeongjo succeeded Princess Hyojang according to royal system, he proclaimed himself as a son of Princess Sado and Hyegyonggung. He also chose and addressed his mother as ‘Hyegyonggung’ in stead of ‘Hyebin’ and became to create and develop systems to meet his mother’s position, as a mother of a king, in a royal court system including 4 times of upgrading honorific names and titles to call his mother. As a result of King Jeongjo’s these efforts, the courtiers respected her as a mother of a king and her status became to be elevated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However, after King Sunjo’s accession, Hyegyonggung’s status was dropped as regency by Queen Jeongsun, whose family was on poor terms with Hyegyonggung’s one, was chosen. To make matters worse, Hyegyonggung’s brother, Nagim Hong, was killed after being applied guilt, which lowered her status even more. She received a bow later than her daughter-in-law, Queen Hyoui as her husband passed away without being able to be installed as a king even though she was Queen Hyoui’s mother-in-law. Her grandson, King Sunjo, was tried to recover Hyegyonggung’s family after Queen Jeongsun’s death; however, Hyegyonggung’s status was not allowed to be higher than the Crown Prin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