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토리의 개념과 범주 재고(再考) (Rethink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gyeong-tor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3.12
13P 미리보기
경토리의 개념과 범주 재고(再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 / 36권 / 36호 / 145 ~ 157페이지
    · 저자명 : 전지영

    초록

    경토리는 문화적 중심지의 음악양식이라고 간주된다. 통상 경토리 악곡과 경기소리는 동일한 개념범주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경기지역 향토민요가 경토리 중심의 양상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경토리의 실제 생산지가 어디인지, 혹은 과연 민요 본래의 기능적 속성을 갖는 경토리가 설정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회의도 있어왔다. 그렇다면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경토리의 개념과 범주를 다시금 생각해보아야 하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을 갖게 될 수밖에 없다.
    여러 논자들에 의해 경기지역 향토민요는 경토리 양식이 중심이 되지 않고 다양한 음악적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 알려졌다. 그리고 경토리라고 하는 용어의 의미가 서울지역 토리라고 할 때, 서울지역은 향토민요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통속민요를 중심으로 경토리의 논의가 전개되어왔다는 점도 주지의사실이다. 따라서 애초에 경토리와 경기지역 민요양식은 별개의 것일 수밖에 없으며, 통속민요 중심으로설정된 경토리 양식과 경기지역 토착음악이 동일한 선상에서 인식될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경토리와 경기소리(혹은 경기민요)는 동일한 범주에서 사고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향토민요에서 경토리 양식은 경기 서북부 지역에서 주로 나타나고, 경기남부 지역은 메나리토리가 다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경토리가 전국적으로 전파되어 영향을 끼쳤다는 주장 역시 쉽게 납득하기어렵다. 호남지역의 판소리 우조와 같은 양식을 남부경토리라는 용어로 부르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오늘날 경토리라고 부르는 양식은 서울 통속민요 양식이거나 경기 서북지역이라는 제한된 지역을 토대로하는 것이고, 향토민요의 전이 전파와 통속민요 전파는 전혀 다른 맥락을 갖고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마치 경토리 전이현상으로 호남의 기층음악을 파악하는 것은 좀 더 신중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결국 오늘날 경토리 민요와 경기소리에 대한 개념적 착오와 그에 따른 범주 설정의 잘못에 의해 민요연구에 있어 중대한 오해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시된다. 전혀 다른 개념이 동일시됨으로 인해서 한반도 전체민요의 지역구분에 대한 해석까지 오류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되는 것이다.
    그런데 통상 경기민요의 대표적인 노래들인 방아타령, 양산도, 노랫가락 등의 민요들은 1920년대까지는경성속요 경성잡가와 같은 이름으로 통칭되었다. 1930년 이전까지 신문기사에 등장하는 방송 프로그램레퍼토리들을 살펴보면 오늘날 경기민요나 경기잡가에 해당되는 악곡들은 경기민요나 경기잡가가 아니라경성속요, 경성잡가, 경성좌창 등의 용어로 불리고 있었다. 따라서 애초에 경성의 좌창 혹은 가요나 속요라고 여겨졌던 음악이 1930년대 이후 경기의 가요 속요로 여겨졌고, 경기민요라는 말은 그보다 더 후대에보편화된 용어로 보인다. 이렇게 해서 경성소리와 경기소리는 혼동되기 시작했고, 이런 용어적 혼란이 지금까지도 민요연구에 있어 ‘경(京)’과 ‘경기(京畿)’는 연구자들에게 혼동을 주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Gyeong-tori has been considered as the music style of central area of Korean culture. There alsohave been questions about the specific area borning gyeong-tori and doubts if gyeong-tori itselfmight exist indeed.
    Firstly, the substance of gyeong-tori is ambiguous. If gyeong-tori might be the style of popularfolk song of Seoul, seodo styles in japga or apsan-taryeong should be included in it. If gyeong-toriis considered as the style of northwest area of gyeong'gi province, it should be called asnorthwestern gyeong’gi-tori rather than gyeong-tori which means the music style of Seoul, becausemusic style of gyeong’gi provi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Seoul. The popular folk music likechangbu-taryeong or hangangsu-taryeong must be called Seoul folk song, which is different fromindigenous gyeong’gi folk songs, however gyeong-tori and gyeong’gi folk songs have beenconsidered as the same category.
    There also has been the term of nambu gyeong-tori which literally means gyeong-tori ofsouthern area. This means that gyeong-tori has strong power of influence and has spreaded to thewhole country, especially to the southwestern area. It is doubtful, however, why southern gyeong’giand chungcheong province are not the main area of this nambu gyeong-tori. What is more, itcannot detect that an indigenous folk song style spread to far districts.
    In conclusion, the concept and category of gyeong-tori are not clear. Gyeong-tori and songs ofgyeong'gi province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same 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