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系 高麗鏡의 제작과 유통 (A Study on the Productoin and Distribution of Goryeo Bronze Mirror in the Jin Styl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3.12
26P 미리보기
金系 高麗鏡의 제작과 유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9280권 / 279280호 / 67 ~ 92페이지
    · 저자명 : 박진경

    초록

    高麗鏡은 수입된 외래경과 고려 자체 제작경을 통칭하는 개념으로서 근대기 산발적인 발굴과 극심한 도굴로 그간 편년과 제작지를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개성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된 金鏡이 고려경의 제작과 연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어 주목된다. 金鏡에는 자체에 銘文이 있어 고려 중기 金과의 교역을 반영할 뿐 아니라 고려시대 제작된 외래경의 성격과 제작 양상을 분석해볼 수 있으나 아직까지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다.이에 따라 金鏡을 중심으로 고려 미술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12~13세기 고려경의 제작 양상과 유통 상황을 살펴보았다.
    먼저, 金鏡의 銘文을 통해 12세기 전반부터 양국의 교역이 서서히 시작되었으나 12세기 중반~13세기 초를 중심으로 金鏡이 유입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당시 문화의 중심지로 볼 수 있는 여러 지역을 통해 金鏡이 들어왔으며, 특히 지리적으로 가까운 동북지역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지역은 高麗 銅器, 銅鏡이 출토되는 곳으로 당시 발달했던 교통로를 이용할 경우, 사무역이 활발했던 압록강, 동해안 인근과 쉽게 연결되어 교역했던 상황을 보여주었다.
    둘째, 金鏡의 대표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는 人物故事文鏡이 고려에서 특히 성행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인물고사문경의 신선 및 도가적인 주제는 12~13세기 고려의 시대미감으로 金鏡을 수입해 모방하거나 방제한 金系 高麗鏡들이 활발히 제작될 수 있었다. 이러한 금계 고려경은 전각, 나무, 암석 등을 이용한 회화적인 의장으로 제작된다는 특징이 있다. 일부의 高麗 金屬器에서도 이와 유사한 표현 및 주제를 볼 수 있어 영향관계를 살필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龍樹殿閣文鏡, 日月煌丕昌天銘鏡이 외래경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창안한 고려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金의 銅禁政策은 양국의 동경 생산과 유통을 활발히 해준 원동력이었다. 동금정책으로 인해 倣古鏡을 비롯한 다양한 私鑄鏡이 성행했는데 이는 양국의 동일한 경향으로 확인되었다. 銅이 부족했던 당시의 상황은 高麗 銅器를 일찍부터 수출해왔던 고려에게 영향을 미쳤고, 金과의 교역에서 고부가가치를 낼 수 있었던 銅鏡을 銅器와 함께 고려가 교역대상으로 삼아 유통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Bronze mirrors of the Jin Dynasty excavated in Gaeseong now in North Korea contain inscriptions which provide information about trade between Jin (or Geum in Korean, 1115- 1234) and Goryeo (918-1392) and clu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s and aspects of production although few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m so far.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oryeo mirrors in connection with the Jin mirrors in the period between 12th and 13th century.
    Firstly, the inscriptions reveal that Jin mirrors were imported to Goryeo from the regional cultural hubs, particularly those in today's northeast China, between the mid 12th and early 13th century. Bronze artifacts of Goryeo, including mirrors, excavated in the area reveal a vigorous trade between it and the Amnokgang River and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Secondly, the use of motifs conceived from famous historical episodes characterized Jin bronze mirrors and, under their influence, Goryeo mirrors as well. Goryeo artisans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eagerly imported and copied Jin mirrors decorated with Daoist motifs, Daoist immortals in particular. These Jin-style Goryeo mirrors are characterized by representational imagery exploiting palatial buildings, trees and rocks, exerting an influence upon other metal artifacts of Goryeo.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rtifacts such as the Mirror of the Dragon, Tree and Pavilion (龍樹殿閣文鏡) and the Mirror of the Sun, Moon and Superbly Dazzling and Flourishing Sky (日月煌丕昌天銘鏡) were newly created by Goryeo artisans during the process of adopting the foreign cultural achievement.
    Thirdly, the Jin's policy to prohibit the production of copper artifacts boosted the production and trading of bronze mirrors. A serious lack of copper in this country resulted in the trading of copper artifacts, including bronze mirrors and copper artifact at high prices, turning Goryeo bronze mirrors into a lucrative export i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