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한 경동맥 협착증 환자에서 경동맥 스텐트 시술 전, 후의 인지기능 변화: 전향적 관찰 연구 (Changes on Cognitive Function after Carotid Artery Stenting in Patients with Severe Carotid Artery Stenosis: A Prospective, 3 Months Follow-up Study)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2.03
9P 미리보기
심한 경동맥 협착증 환자에서 경동맥 스텐트 시술 전, 후의 인지기능 변화: 전향적 관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노인병학회
    · 수록지 정보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16권 / 1호 / 12 ~ 20페이지
    · 저자명 : 강지윤, 김혜숙, 강명진, 김대현, 차재관, 허재택, 김재우, 박경원

    초록

    연구배경: 경동맥 협착증은 뇌졸중의 중요한 위험 인자중 하나이며, 경동맥 협착증에 의한 허혈성 뇌경색과 더불어뇌피질 부위의 관류 저하와 연관되어 발생하는 인지기능 저하가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심한 경동맥 협착증 환자에서 스텐트 시술을 시행하여 협착 부위를 넓혀주면 뇌관류를증가시켜 인지기능 저하를 회복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혈관성 인지 장애나 혈관성치매 발생을 줄여줄 수 있다. 그러나경동맥 스텐트 시술 전, 후로 자세한 신경심리 검사를 이용한인지기능의 변화를 전향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국내에 없기에본 연구에서는 증상성 혹은 무증상성 중등도 이상의 경동맥협착(70% 이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경동맥 스텐트 시술 전, 후로 인지기능 및 임상 양상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2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경동맥의 협착정도가 70% 이상인 경동맥 스텐트 시술 적응증이 되는 28명의환자를 대상으로 12주, 단일기관, 전향적 연구로서 진행되었다. 전반적인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 K-MMSE)와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sum of box, CDR-SB)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세부적인 신경 인지기능은 서울신경심리검사총집(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Dementia version, SNSB-D)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대상 환자 총 28명 중에서 22명의 환자가24주 추적 검사를 모두 완료하였다. 기저 대상 환자의 특징으로는 남자가 23명으로 82%를 차지하였고, 평균 연령은 69세, 평균 8년 교육연수를 보였다. 증상성 경동맥 협착증 환자와무증상성 경동맥 협착증 환자는 각각 19명과 9명이었고, 협착증 정도에 따른 분포를 보면 70-80% 사이가 17명, 80% 이상이11명을 차지하였다. 대상 환자군의 MMSE 평균값은 24.7점, CDR-SB 평균값은 1.3점, SNSB-D 평균값은 148.4점이었다.
    경동맥 스텐트 시술 후 3개월 후에 측정한 신경심리 검사 SNSBD 총점은 시술 전 기준 측정값에 비해 평균 18.1점 향상되었고통계적으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p<0.05). 신경심리 검사의 각 인지영역별로 나누어서 분석 시 이름대기 항목, 전체적인 기억력 항목 점수, 시각 기억력 및 CDR-SB 항목 점수에서시술 전, 후로 의미있는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70%이상의 증상성 경동맥 협착증 환자와무증상성 경동맥 협착증 환자에서 경동맥 협착증 스텐트 시술전, 후로 인지기능의 변화를 전향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심한 경동맥 협착증이 있는 환자에서 경동맥 스텐트 시술이 인지기능의 호전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고, 특히 언어 및 시각적 기억력, 그리고 전반적 인지기능의 호전이 관찰되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Carotid artery stenting (CAS)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carotid endarterectomy for the treatment of carotid stenosis. The effects of CAS on cognitive function have not been fully address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carotid stenting on cognitive function from baseline to 3 months in patients with severe carotid artery stenosis through the use of a detailed neuropsychological test.
    Methods: We recruited 28 patients with carotid artery stenosis (≥70%) at baseline on a consecutive basis between February, 2009 and December, 2010. Twenty-two patients out of 28 cases, who had undergone CAS and follow-up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after 3 months, were included in our analysis. Main cognitive outcome measures were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Dementia version (SNSB-D), which containing detailed cognitive tasks. We evaluated the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ognitive outcome measures using SNSB-D in our cases from baseline to 3 months follow-up period, respectively.
    Results: After a 3 month follow-up period, patients that underwent CA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in total SNSB-D score compared to the baseline state of 18.1 points at 3 months (p<0.05). The other cognitive outcome measur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p<0.05) in the task of confrontational naming, visual memory, and the scale of clinical dementia rating sum of box.
    Conclusion: We found that there might be a positive effect of carotid artery stenting on cognitive function from baseline to 3 months in patients with severe carotid artery steno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