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文字資料로 본 新羅王京 (Silla’s “Monarch Capital” from the Perspective of Letter Materi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08
55P 미리보기
文字資料로 본 新羅王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32권 / 71 ~ 125페이지
    · 저자명 : 이영호

    초록

    이 글은 문헌자료가 아닌 문자자료를 통해 신라 왕경의 모습을 그려본 것이다. 신라 금석문, 목간, 고문서를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고려 초의 자료도 부분적으로 이용하였다. 문자자료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같은 체계적인 자료가 아니기 때문에 일정한 한계는 있지만, 신라 당대 자료의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았다.
    먼저 신라 수도의 호칭은 20종 정도의 용례가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京’자를 사용한 것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都’ ‘城’ ‘邑’ 등의 글자를 사용하여 수도임을 나타내었다. 지명의 앞뒤에 ‘京’자나 ‘都’자를 붙이거나, ‘某城’ 또는 ‘某邑’이라 한 것이다. 따라서 京, 都, 城, 邑 4자가 수도를 나타내는 글자로서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王都와 王城, 金京과 金城처럼 ‘王’자나 ‘金’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한편, 이들 명칭이 사용된 시기별 분포를 살핀 결과, 신라만의 독특한 표기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욱이 문헌자료에 흔히 보이는 ‘京城’이나 ‘王京’ 이란 용어가 신라 당시의 자료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왕경의 행정구역에는 6部와 里, 坊이 있었다. 또한 산, 계곡, 숲과 같은 자연환경과 함께, 산성, 우물, 정자, 田莊, 금입택, 와요지 등의 인공적인 시설도 존재하였다.
    궁궐의 호칭으로 20여 종이 사용되었으나, 某宮으로 쓴 경우와 某闕로 쓴 경우가 많았다. ‘宮’ 또는 ‘闕’이 일반적인 표기였던 것이다. 주요 전각으로 蘭殿과 祕殿, 思正堂 등이 있었고, 궁문으로는 北宜門, 隅宮 北門과 西門, 東門, 開義門, 策事門, 思易門 등이 있었다. 北宜門은 思正堂의 문이었다. 사정당에는 남북 또는 동서남북의 4방에 문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큰 전각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신라의 핵심 4部인 집사부, 병부, 예부, 창부가 모두 나타났으며, 내성 및 동궁관 산하의 일부 내정관부도 확인하였다. 또한 砲石’ 명문기와를 통해서는 남산 주변 절경지에 포석정과 같은 亭子가 여럿 존재함을 밝혔다.
    사찰의 검토에서는 문헌에 없는 다수의 사찰명이 확인되었다. 특히 진흥왕대의 實際寺와 신덕왕대의 實際寺가 다르다는 사실, 鵠寺였던 崇福寺가 고려 초에 다시 鵠寺로 불렸다는 사실, 그리고 황복사 비편에서 봉덕사, 봉성사의 처음 이름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감은사나 영묘사, 흥륜사의 처음 명칭도 밝힐 수 있었다. 나아가 芬皇寺의 명칭을 ‘芬王’으로 표기한 것, 皇福寺의 명칭을 ‘王福’으로 표기한 것, 그리고 皇龍寺를 ‘[皇/王]籠寺’로 표기한 것 등의 사례에서, ‘皇’자나 ‘龍’자의 사용에 어떤 제약이 있은 것은 아닌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picts the picture of Silla’s “monarch capital” not in terms of text materials but of letter materials. It makes use of epigraphs, wooden tablets, and duplicated materials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the Silla period as the main research sources as well as some materials of the succeeding Goryeo period. Although unlike such historical texts as Samguk sagi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letter materials have significant limitations to be used, they assume importance as Silla’s contemporary source materials.
    This study gives some 20 examples as the name of the Silla capital. The name used the character “gyeong(京)” most and then characters “do(都)” “seong(城,)” and “eup(邑).” It was usual that the character “gyeong” was used as a suffix and the character “do” was added as a prefix. Otherwise, “mo-seong” and “mo-eup” were used. Also, like the names “Wangdo(王都),” “Wangseong(王城),” “Geumgyeong(金京),” and “Geumseong(金城),” characters “wang(王)” and “geum(金)” were u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iodic distribution, there is no evidence that only Silla used its own specific expressions. Furthermore., it is remarkable that the terms “Gyeongseong(京城)” and “Wangseong(王京)” that are frequently described in text materials do not appear in Silla’s contemporary source materials. The administrative precinct of the monarch capital contained six bu, ri, and bang. It also included such natural environment as mountains, valleys, forests, as well as such artificial facilities as mountain fortresses, wells, pavilions, farms, palatial mansions, and reservoirs.
    This study confirms more than 20 instances of the name of the palace in the monarch capital. Among them, “mo-gung(某宮)” and “mo-gyeol(某闕)” appear most frequently, which means that they were generally used to indicate monarch’s residence. Within the palace were lots of many-storied buildings and gates. Especially, the Sajeong-dang was a large building that had gates to the east and west or north, south, east, and west. The Jipsa-bu, Byeong-bu, Ye-bu, and Chang-bu, Silla's essential administrative agencies, were all located within or without the palace in the monarch capital. This study also identifies the existence of several pavilions, specifically the Poseokjeong (resort), in the scenic places close to Namsan (mountain).
    This study confirms the names of a lot of Buddhist temples that text materials deleted.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the Silje-sa (temple)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was different from that in the reign of King Sindeok and that the Sungbok-sa was renamed the Gok-sa in the early Goryeo period. It also confirms first names of the Bongdeok-sa and Bongseong-sa from the broken monument of the Hwangbok-sa. Finally,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Bunhwang-sa was described as Bunwang-sa, Hwangbok-sa as Wangbok-sa, and Hwangryong-sa as Hwangrong-sa or Wangrong-sa, this study conjures that the Silla kingdom might impose restrictions on the use of characters “hwang(皇)” and “ryong(龍).”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