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경』에서의 삼매와 깨달음 (Samādhi and Enlightenment in the Avataṃsaka Sūt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12
33P 미리보기
『화엄경』에서의 삼매와 깨달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3권 / 73 ~ 105페이지
    · 저자명 : 본각(진영유)

    초록

    본 논문의 주제는 『화엄경』에서의 삼매와 깨달음이다. 화엄에 있어서 삼매와 깨달음의 관계를 논하기 위하여 먼저 각 삼매를 살폈고, 이어서 화엄교학에서의 성불론과 경전에서의 깨달음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삼매는 적멸도량회의 일체제불비로자나여래장신삼매를 시작으로 각 회의 근본 삼매와각 품에서의 부수적인 삼매를 모두 검토했다. 화엄의 십불의 자경계를성취하기 위해서는 보현행원의 수행력을 완성해야 하는데 삼매의 경지는행원을 성취시키는 근본 토대가 됨을 보았다. 그 이유는 여래의 본원력과위신력에 의해서 삼매에 들어가고, 보살은 삼매를 통하여 여래와 교감을갖는다. 삼매력 속에 보살과 여래가 동일한 경지에 있게 되고, 불가사의한세계가 전개되며 보살은 마정수기를 얻고 여래를 대신해서 법을 설하는능력을 얻는다. 곧 삼매 속에서 여래의 경지를 경험하고 佛果를 향하여나아가는 확고한 믿음을 성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삼매를 경험한 다음에는 다시 현상으로 돌아와서 여래와 같은깨달음을 얻기 위한 실천이 필요하다. 그 실천의 과정이 항포문, 또는 원융문으로 전개되는 것이 화엄의 깨달음의 과정이다. 이에 信滿成佛을 시작으로 一念成佛, 疾得成佛, 舊來成佛, 本來成佛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성불론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화엄경』에서 여래의 위신력과 가피력, 확고한 신심의 중요성, 신구의 3업을 맑힘, 수행자의 해행구족등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화엄의 온전한 깨달음은바로 법계연기를 정확히 깨닫는 것임을 밝혔다. 법계연기의 깨달음은 눈앞에 펼쳐지는 현상을 그대로 차별 없이 진리로서 받아들이고 자신의 행위그대로를 진리로서 완성해 가는 보살도를 의미한다. 이 법계연기의 깨달음은 시작도 끝도 없으며 너와 나의 경지로 나누어지는 것도 아니다. 서로일체를 공유하면서 함께 진리를 구현하고 구체화시켜 가는 과정에서 모두가 여래의 경지에 들어가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하여 마침내 선재동자가보현의 몸속에 있음을 발견하고 보현과 동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theme of this paper is samādhi and enlightenment in the Avataṃsaka Sūtra. First of all, I examined each samādhi to explore its relationship with enlightenment in the Huayan school. In addition, I also looked into the doctrine of attaining Buddhahood in the theory of the Huayan school and the matter of enlightenment in the Buddhist scriptures. As for samādhi, I studied both the foundational samādhi in each assembly (hoe 會) and the supplemental samādhi in each chapter, starting from the samādhi of all Buddha, Variocana and, Tatagatha in the assembly place where a Buddha attains the truth of nirvāṇa (寂滅道場會). I revealed that the vow and practice of Samantabhadra must be completed to reach self-awakening in Ten Buddha of the Huayan school. The state of samādhi is the foundation for fulfilling the vow and practice. That is because the state of samādhi can be achieved with the dignity and insights of Buddha and a Bodhisattva can be in communion with Buddha through samādhi. In other words, under the state of samādhi, a Bodhisattva can experience the spiritual realm of the Buddha and establish a firm belief toward the Buddhist world.
    Once experiencing such a state of samādhi, a Bodhisattva needs to get back to the real world and practice for the awakening like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The process of practice means the awakening process in the Hayan theory, such as the perfect intercommunion gate.
    With regard to this, I examined the theories of attaining Buddhahood in the Huayan school, starting from Shin-man-seong-bul (信滿成佛) and followed by Il-nyeom-seong-bul (一念成佛), Jil-deuk-seong-bul (疾得成佛), and to Gu-rae-seong-bul (舊來成佛). In addition, through these theories of becoming the Buddha, I point out the importance that the practitioner needs to be satisfied with Tatagatha’s vow and practice in the Avataṃsaka Sūtra, firm belief, the illumination of three karmas of body, and harmonization of wisdom and practice for awakening. Consequently, the perfect awakening in the Huayan school is nothing but Dharmadhatu Pratityasamutpada. The awakening through Dharmadhatu Pratityasamut- pada means that the practitioner can accept all phenomena as suchness without discrimination, which is the bodhisattva’s path for the practitioner to act on his own way. The awakening of Dharmadhatu Pratityasamutpada is neither staring nor ending, nor distinction between you and me. It is the process of realization that everyone can share everything and pursue the truth and finally be awakened to the fact that everyone is in the spiritual stages of the Tatagatha. As a result, every practitioner can realize that Sudhana (善財) is within the body of Samantabhadra (普賢) and accompanies Samantabhad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