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胡亂 被擄人과 두 딜레마 (Two Dilemmas in Coping with Captive Affairs of the Manchu Invasions in the Joseon Dynasty: Conflicts between Jing(經) and Quan(權))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12
33P 미리보기
조선시대 胡亂 被擄人과 두 딜레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0권 / 309 ~ 341페이지
    · 저자명 : 이상익

    초록

    본고에서는 17세기 조선왕조가 직면한 두 딜레마와 그에 대한 대처를 검토했다. 만주족(滿洲族, 淸)의 침공으로 인하여 주회인(走回人) 문제와 환향녀(還鄕女) 문제가 떠올랐는데, 이 두 문제는 너무나 예외적인 상황이어서 유교 사회의 정치 전반을 규율하는 일반 원칙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웠다.
    ‘주회인’이란 호란의 와중에 淸에 잡혀갔다가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고 도망쳐서 조선으로 돌아온 사람들을 말한다. 淸에서는 조선에 ‘주회인들을 쇄환(刷還)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조정에서 주회인을 쇄환한다는 것은 그 자체 도리에 어긋나는 일이었다. 더군다나 주회인을 쇄환하면 백성들의 원성이 하늘을 찌를 것이었다. 그러나 淸의 요구를 무시하면 가혹하게 보복할 것임은 뻔한 일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회인 문제는 조선에 매우 난처한 문제였다.
    ‘환향녀’란 역시 호란의 와중에 淸에 잡혀갔다가 속환된 여인들을 말한다. 그런데 이들이 고향에 돌아오자, 주위에서는 이들을 ‘오랑캐에게 정절을 잃은 여인[失節女]’이라 하여 멸시하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특히 사대부가(士大夫家)에서는 환향한 여인을 아내(며느리)로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조정에서 이혼을 허락해줄 것을 요구하는 사례가 많았다. 환향녀들의 딱한 사정에 대해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조정으로서는 쉽게 이혼을 허락할 수 없는 처지였으나, 가문의 혈통을 순수하게 보존하겠다는 사대부들의 요구를 무시하기도 어려웠다. 이러한 맥락에서 환향녀 문제 역시 조선 조정에 매우 난처한 문제였다.
    극히 예외적인 상황을 마주할 때 유교윤리는 권도(權道)를 사용하도록 지침을 준다. 그러나 권도의 사용은 신중해야만 하며, 권도로서도 정당화되기 어려울 경우 조치는 단순한 권모술수(權謀術數)에 지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권도를 사용하는 과정은 권도를 사용할 상황인지, 어떤 권도가 가능할지를 둘러싼 열렬한 논쟁의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주회인 문제와 환향녀 문제에 대하여 조선 조정이 각 문제를 어떻게 인식했으며, 어떤 권도를 제시하고 또 그것을 어떻게 정당화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wo dilemmas that the Joseon Dynasty faced at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and how it responded to them. The issues of the fugitive captives and the repatriated ladies respectively arose as a result of the Manchu Invasion. These issues were so exceptional that they could not be handled with ordinary principles which regulate the Confucian society and politics.
    The fugitive captives were the military or civil prisoners during the invasions who made a furtive escape by themselves from Manchu then returned to Joseon. Manchu was so indignant that they insisted Joseon should extradite the fugitives to Manchu again or pay the ransom. If Joseon returns the fugitives to Manchu, the people of Joseon would be so upset that they betray or further abandon the country. In addition, it is also an unacceptable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righteousness, nevertheless, another harsh invasion seems inevitable if the demand dismissed. In this context the court of Joseon was driven into a quagmire.
    The repatriated ladies were also female war prisoners who were repatriated to their own country, Joseon. However, they were scorned by the society of Joseon, with being suspected that they had lost their fidelity to their husband and family. Houses of the ruling literati class in particular, asked royal permission for divorce against their daughters-in-law. Considering the miserable circumstances that the repatriated had endured, the court could not allow itself to permit divorces, on the one hand, the strong-headed claim, in an effort to guarantee their blood purity among the ruling class, on the other hand, was also never easy to dismiss at once. In this regard, the issue of repatriated ladies also pushed the court of Joseon into a tight corner.
    When facing an extraordinary situation, the Confucian ethics instructs to use Quan(權) rather than Jing(經). Practicing Quan, however, ought to be prudent and cautious, otherwise, it merely becomes a ruse in that the action has failed to be justified as a Quan. Thus, the whole process of Quan application is a series of controversies over if it is a due situation which necessitates Quan or what sort of Quan can be taken advantage of here.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court of Joseon understood the situations of the issues, what kind of Quan they considered and how they justified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