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경전의 시각적 구현: 고려 원각경변상도(圓覺經變相圖)의 도상과 연원 (The Visual Materialization of Buddhist Scriptures: The Iconography and Origin of Representations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from the Goryeo Dynas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11
32P 미리보기
불교경전의 시각적 구현: 고려 원각경변상도(圓覺經變相圖)의 도상과 연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2호 / 6 ~ 37페이지
    · 저자명 : 김자현

    초록

    본 논문에서 필자는 현존하는 고려시대 원각경변상도의 도상과 연원, 그리고 본존(本尊)과 중앙에 자리한 청문자의 문제를 경전의 내용과 불교미술사의 흐름에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원각경』은 경의 설주(說主)를 특정한 여래로 지칭하지 않고 ‘바가바’라고 한것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그 결과 중국의 『원각경』변상에서는 본존이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그중에서도 화엄과 관련된 보관형(寶冠形) 비로자나불(毗 盧遮那佛)이 주존으로 등장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다. 이는 모든 부처를 포섭하는가장 광범위한 개념인 ‘법신(法身) 비로자나’의 형상이 『원각경』에서 의미하는 바가바의 성격과 가장 부합된다고 이해되었던 것에 기인한 결과로 여겨지며, 현존하는 고려의 『원각경』변상 두 작품 또한 이에 해당한다.
    현전하는 고려의 원각경변상도는 『원각경』이 설해지는 정경을 묘사한 것으로, 세존과 12보살과의 문답 장면과 문답 이후 경전의 수호를 다짐하며 세존을 찬탄하는 성중(聖衆)들이 함께 표현되었다. 그리고 이 그림들은 화면이 세로로 긴회화와 가로로 긴 사경변상도라는 차이에 의해 성중의 배치가 달라졌을 뿐, 각 존상(尊像)들의 형상과 구성이 대부분 일치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려의 원각경변상도는 안악석굴(安岳石窟) 화엄동(華嚴洞) 과 대족석굴(大足石窟) 원각동(圓覺洞)과 같이 중국 사천(四川)지역에서 송대(宋 代)부터 형성된 원각경변상에 그 연원을 두고 있었다. 또한 이 석굴들과 함께 중국의 관련도상, 그리고 고려의 원각경변상도를 함께 비교, 분석한 결과, 고려의원각경변상도는 앞서 언급한 석굴들의 원각경변상이 남송(南宋) 이래로 화면에옮겨진 형태, 즉 경전변상도나 불화의 형식으로 제작된 남송(南宋)∼원대(元代) 의 중국본을 모본(模本)으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원각경변상 중앙에 뒷모습으로 표현된 인물에 대해서는 『원각경』의 12 보살과 선재동자(善財童子)의 구법장면, 그리고 이 조상을 예배자와 감상자의 관계를 중재하는 경계적인 조상으로 인식하는 세 가지 의견이 공존한다. 전자의 두견해는 이 인물을 결국 부처에게 法을 구하는 청문자로 인식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이 도상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대족석굴 원각동에서부터 머리에 화려한영락장식을 하고 있는 보살형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이 도상을 측벽에 어린동자의 모습으로 표현된 선재동자와 동일한 인물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측벽에 선재동자의 구법도상이 있는 2개의 석굴, 즉 안악석굴의 화엄동과대족석굴의 원각동 중 안악석굴에는 이 청문자가 표현되지 않았고, 이후 선재동자구법도상이 사라진 고려의 원각경변상에서도 청문자도상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 인물이 감상자와 예배자의 관계를 중재하는 경계적인 조상으로서 제작되었다는 의견은 원각경변상이 처음 조성되었던 중국석굴의 구조나 당시 불교미술의 경향에서는 납득할 수 있지만, 고려의 불교미술에는 이와 같은 인물들이화면 내에 묘사된 사례가 거의 알려진 바 없으므로 재고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원각경변상의 청문자는 『원각경』의 12보살이 부처의 앞에 나아가 가르침을 구하는 장면을 시각화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paintings illustrating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from the Goryeo dynasty, with a focus on the origin and details of its iconography as well as the identity of the main Buddha at the center and the listener before him, based on the content of the scriptu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Buddhist art.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is noteworthy that the text refers to the preacher as Bhagavat, rather than a specific Buddha. Consequently, the main Buddha of China appears in diverse forms. Above all, most representations of this sutra feature Vairocana with a crown as the principal object of worship.
    The “Dharma-body Vairocana Buddha” covered the most extensive images of Buddha at that time. Therefore, it conforms with the notion of Bhagavat in the scripture. And this is the case with the two surviving Goryeo examples.
    The two Goryeo paintings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portraying the main Buddha teaching and discussing with the Twelve Eminent Bodhisattvas. The painting also features the devotees vowing to preserve the scripture and praising the main Buddha after the discussion. And these paintings present the figures in almost the same manner and include identical numbers of figures. The only difference is how the attendants are arranged, which results from the difference in the painting format.
    The Goryeo tradition of visually describing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has its origin in the Song dynasty (960-1279) representations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at the Huayan Cave of the Anyue Grottoes and those at the Yuanjue Cave of the Dazu Grottoes from the Sichuan region. And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Chinese iconography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found in these Caves and the Goryeo paintings of the same sutra are as follows: the latter is modeled after the painting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made between the Song and Yuan dynasty (1279- 1368) which had been visualized from the images of Sichuan Caves since the period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In addition, three different interpretations exist regarding the figure who is sitting at the center with his back to the viewer in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The first point of view is that the figure represents one of the Twelve Eminent Bodhisattvas from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The second point of view is that the figure refers to Sudhana. Two different opinions exist regarding the identity of the listener but both see the figure as a person who listens to the Buddha’s preaching and asks questions. However, the figure that first appeared in the Yuanjue Cave of the Dazu Grottoes seemed to be a bodhisattva with highly decorative pendants on his head. Interestingly, this figure did not appear in the Anyue Grottos. However, this figure is shown in Goryeo paintings illustrating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The last point of view is that this figure acts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viewer and the worshipper’s relationship.
    This opinion can be understood in the structure of the Chinese caves with representations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which was first and within the context of Buddhist art at that time in China. However, this opinion should be reexamined given that there are few cases in Goryeo Buddhist paintings where the worshippers are directly drawn in the composition. Therefore, of the three interpretations, the first point of view seems more persuas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