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화연>의 번역서 <제일기언>을 통해 본홍희복의 번역 인식 (Translator’s Perspective in Jeilgieon(第一奇諺),the Translated Work of Kyeonghwayeon(鏡花緣))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lt;경화연&gt;의 번역서 &lt;제일기언&gt;을 통해 본홍희복의 번역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32호 / 541 ~ 568페이지
    · 저자명 : 김경미

    초록

    이 글은 청의 이여진(李汝珍, 1763~1830)이 창작한 <경화연(鏡花緣)>의 한글 번역서 <제일기언(第一奇諺)>의 번역 양상 분석을 통해 번역자인 홍희복(洪羲福, 1794~1859)의 번역 인식을 살펴보고, 당시 번역자의 위치와 의미를 생각해 본 것이다. <제일기언>의 원작인 <경화연>은 형식적인 면에서 여행소설의 형태를 띠고 있고, 대화를 통해 다양한 지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양한 여성인물들을 통해 새로운 여성의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홍희복은 원작이 갖는 이러한 성격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번다한 곳은 덜어내고, 간략한 곳은 첨가하며, 풍속이 다르거나 언어가 다른 부분은 윤색해서 번역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번역 방향을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이는 홍희복이 번역자로서 타국의 언어를 번역하는 과정에 번역 불가능한 것이 있으며, 자국의 언어와 문화에 맞게 번역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인식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그는 당시 조선의 소설들이 대동소이한데다가 그 내용도 부녀자들이 익히 볼 만한 아니라고 비판한 뒤 그러한 소설들과 다른 새로운 작품으로 <경화연>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번역서를 <제일기언>이라 하여 언문소설 가운데 뛰어난 작품이라고 하였다. 홍희복은 번역소설을 통해 당시 소설 창작과 독서에 새로운 자극을 주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볼 때 홍희복은 당시 소설문화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가지고 대안이 될 만한 작품을 선택해서 번역했으며, 어떻게 번역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뚜렷한 의식을 가진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홍희복은 번역자로서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translated work, Jeilgieon(第一奇諺) in Chosun dynasty whose original book is Kyeonghwayeon(鏡花緣) and to infer the views of the translator, Hong Hui-bok(洪羲福, 1763~1830) on translation. The original book, Kyeonghwayeon is a traveling novel in its form and it presents encyclopedic knowledge through characters’ dialogues and new thoughts on women’s ability through various kinds of female characters. Compared with the original work, the translated work, Jeilgieon shows some changes. It leaves out the redundant parts, adds new sentences of explanation, and makes some adaptation where the descriptions of customs and culture are way too different from native ones. These changes are mentioned in the translator’s preface, which shows the translator Hong Hui-bok’s thought that the original work cannot be perfectly translated and some adaptations are indispensable reflecting the context of native language and culture.
    Besides this view of translation, the translator’s preface suggests his criticism on the contemporary novels in his times as well. According to him, novels of his times deal with the similar stories which are not worth reading for decent wives and daughters. Considering this, he seemed to present his translation as an alternative of novels in his times. That’s why he entitled his translation as “Jeilgieon” which means the best work among literary works. Clearly he seemed to give new stimulation for both writers and reading audiences of novels of tho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