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왕 9년 法弘山 白蓮庵에서 조성된 『妙法蓮華經』의 역사·문화적인 성격 (A study on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Saddharma-pundari-ka-Sutra(妙法蓮華經) that the Baenglyeon-temple(白蓮庵) was created in the 9th year of King-Wu(禑王)'s reig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11
23P 미리보기
우왕 9년 法弘山 白蓮庵에서 조성된 『妙法蓮華經』의 역사·문화적인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8호 / 207 ~ 229페이지
    · 저자명 : 최영호

    초록

    이 글에서는 우왕 9년(1383) 법홍산 백련암에서 조성된 『묘법연화경』 목판의 판본과 정종 1(1399) 중각된 『묘법연화경』 목판의 판본에 표기된 기본정보를 정리한 다음, 이들 불교 기록유산에 담긴 역사·문화적인 실체와 성격을 진단하였다.
    두 판본은 기본정보 가운데 광곽·계선·판심 및 행자수, 권수제·권미제·판심제의 구성형태, 서문·본문·저술정보의 구성체계 및 개별 권의 장차 등이 일치하고 있다. 그러면서 간행정보의 내용과 저술 주체, 각수명의 유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서문 공란 부분의 계선유무, 권1 제1장의 광곽형태, 권3의 권미제 가운데 三자의 아래 부분 형태, 일부의 서체 등에서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비교지표를 활용하여 24字本의 『묘법연화경』 목판은 우왕 9년 법홍산 백련암에서 처음 간행된 이후, 정종 1년 다시 판각되는 등 2종류로 확인하였다.
    우왕 8~9년 법홍산 백련암에서 간행된 『묘법연화경』 목판은 승려 志祥이 조성불사를 주도하였다. 그는 조성불사 과정에서 고려 종실 및 고위관료 출신과 인적 연계망을 맺고 그들의 지원을 끌어내었다. 이 조성불사에는 『묘법연화경』을 널리 유포하려는 불교적 목적의식과 고려 왕실의 존중·권위의식이 담겨 있으며, 명나라 중심의 대외인식과 함께 고려 왕조의 독자적인 현실의식도 반영되어 있었다.
    승려 海隣 등이 백련암 판각의 『묘법연화경』을 태조 7년(1398)~정종 1년 다시 조성하는 중각불사를 주도하였다. 이들은 불사과정에서 고위관료와 외명부의 관료 부인으로부터 일반 백성, 고위 승려와 일반 승려 및 비구니 등 다양한 출신성분의 僧俗과 인적 연계망을 확보하였다. 이 중각불사 역시 『묘법연화경』을 널리 보급하려는 의도와 함께 부처(불교)의 존엄적 가치·의식이 담겨 있었으며, 조선왕조 개창 이후 고려 왕실의 권위가 반영된 우왕 9년 백련사 조성의 『묘법연화경』 목판을 대체할 수 있는 현실적 목적도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Saddharma-pundari-ka-Sutra-woodblock that the Baenglyeon-temple was created in the 9th year(1383) of the King-Wu's reign. and it was analyzed into character of the Saddharma-pundari-ka-Sutra-woodblock that it was reprinted in the first year of King-Jeongjong's reign. in the process, the existed studies have been critically reviewed, and the original information has been newly organized the surface configuration form &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imprint(刊記) & the engravers(刻手) that these woodblocks-Printing have been existing. these woodblocks are the 24 letters(24字本) in a line.
    First, the source information can complement the historical & cultural reality of the reign of the King-Wu's reign and the King-Jeongjong(定宗)'s reign. in addition, thes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as key data to diagnose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of the two editions. hereby, the Saddharma-pundari-ka-Sutra-woodblock of 24 letter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at it was created in the 9th year of the King-Wu's reign and the first year of the King-Jeongjong's reign.
    Among these woodblocks, the Saddharma-pundari-ka-Sutra of the King- Wu's 9th year was led by a Buddhist monk named the Jisang(志祥), was a marked the postface of the Lee-Saek(李穡). the real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spread the doctrine of the Saddharma-pundari-ka-Sutra widely. this project was reflected the authority of the Goryeo(高麗) royal family.
    the Saddharma-pundari-ka-Sutra of the King-Jeongjong's the first year was led by a Buddhist monk named Haerin(海隣), was a marked the postface of the Nam-Jae(南在). this project was reflected the Buddhist auth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