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漢字音의 輕脣音化 반영여부에 관한 考察 -日本漢字音과의 比較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2.05
21P 미리보기
韓國漢字音의 輕脣音化 반영여부에 관한 考察 -日本漢字音과의 比較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36권 / 323 ~ 343페이지
    · 저자명 : 이경철

    초록

    唐代の長安音である秦音においては、それ以前の南北朝音、切韻音とはことなる色んな音韻變化が起っているが、その代表的なものとして輕脣音化が挙げられる。即ち、韻鏡の3等韻には、切韻音当時に重脣音(幇·滂·竝·明母)であったものが秦音に於いては、輕脣音(非·敷·奉·微母)に変わった韻が存在する。これは、微·廢·虞·尤·陽·東(3等)·鍾·文·元·凡韻の10カ韻において現れ、 東(3等)韻と尤韻の明母以外にはすべてが輕脣音に變化した。本稿では、韓國漢字音を輕脣音化が起る以前の字音を母胎としている吳音と唐代の輕脣音化を明瞭に反映している漢音との比較を通じて、韓國漢字音に輕脣音化が反映されているか否かを各韻別로に考察した。その結果、次のような結論に至った。1)吳音は、南北朝期の南方系字音を母胎としているので、時期上、輕脣音を反映しない。2)漢音は、日本語の音韻體系上、p系の重脣音とf系の輕脣音との區別が無いので、聲類に於ては輕脣音の反映が現れないが、韻類に於ては輕脣音を明瞭に反映している。陽韻・元韻・鍾韻・東3韻・尤韻に於ては、牙喉音字と脣音字の字音形が異なることから確認できるし、凡韻に於ては、吳音の字音形と異なることから確認できる。3)韓国漢字音は、聲類に於ては、輕脣音の反映が現れない。但し、韻類に於ては、輕脣音を反映する層と輕脣音を反映しない層が混在しているが、輕脣音を反映しない層の比率が非常に高い。輕脣音の反映は、元韻の-an/l形、文韻의 -ïn/l形、尤韻明母の-o形から確認できるし、凡韻・廢韻は輕脣音の反映が現れない。

    영어초록

    Labiodentalization occurred in Late Middle Chinese, Tang(唐)dynasty. There are many occupations on the origin of Sino-Korean after advocated Sino-Korean originated in Late Middle Chinese by Kono Rokuro(1968). Sino-Japanese Go’on(吳音) was originated in Early Middle Chinese, and Sino-Japanese Kan’on(漢音) was originated in Late Middle Chinese. because, there are no reflects of labiodentalization in Sino-Japanese Go’on and there are reflects of labiodentalization in Sino-Japanese Kan’on.
    In this research, search out reflects of labiodentalization of Sino-Korean compared with Sino-Japanese Go’on and Kan’on.
    In conclusion,1)there are no reflects of labiodentalization in Sino-Japanese Go’on.
    2)there are reflects of labiodentalization in Sino-Japanese Kan’on. It was reflected in the kana notation of Yang(陽) rhyme, Yuan(元) rhyme, Zhong(鍾) rhyme, Dong(東) rhyme, You(尤) rhyme, Fan(凡) rhyme.
    3)there are no reflects of labiodentalization in Sino-Korean without the shape of -an/l in Yuan(元) rhyme & the shape of -ïn/l in Wen(文.) rhyme.
    Consequently, I advocate Sino-Korean was not originated in Late Middle Chinese, and there is possibility originated in Early Middle Chinese as a Sino-Japanese Go’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