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五洲 李圭景(1788~1860)의 학문과 지성사적 위치 (The Scholarship of Oju Lee Gyugyeong(五洲 李圭景 1788~1860) and His Status in Intellectual Hist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8
28P 미리보기
五洲 李圭景(1788~1860)의 학문과 지성사적 위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21호 / 55 ~ 82페이지
    · 저자명 : 노대환

    초록

    李圭景(1788~1856)은 곤궁한 삶을 영위하면서도 평생 저술 작업에 매달렸던 재야 지식인이다. 본고에서는 그의 대표적인 저술 『五洲衍文長箋散稿』를 중심으로 이규경의 학문 성향을 검토하고 그의 학문이 지니는 지성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규경의 학문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박물학이다. 그의 박물학은 기존의 심성 내지 가치 중심의 성리학적 사유 방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다양한 주제를 섭렵했던 점에 특징이 있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는 성리학도 여러 소재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그의 박물학은 성리학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다분하였다.
    이규경의 학문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다른 하나는 경세학이었다. 재야 지식인으로 생활하면서 현실을 확인할 수 있었던 그는 변통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여러 가지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그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것은 해외교역론이었다. 이는 북학론자들의 강남통상론을 계승한 것으로 세도정권의 폐쇄적 대외정책에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한 것이었다.
    한편 이규경은 道器의 논리를 통해 서양 과학기술의 적극적인 수용을 주장하였다. 이 역시 북학론자들의 논리를 받아들인 것인데 동도서기론의 원형을 이루는 것이었다. 18세기 후반의 북학론이 19세기에 들어 어떻게 계승되는가는 궁금한 문제인데 이규경의 경세론은 그 계승의 한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규경은 방대한 저서를 남겼고 저서에서는 많은 책을 인용했지만 정작 그 자신의 이름이나 그가 쓴 책은 다른 이의 글에서 찾아볼 수 없다. 때문에 그의 학문이 후대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하는 점은 섣불리 언급하기는 어렵다. 이규경은 당대에는 존재감이 없던 재야 지식인에 지나지 않았지만 자신이 해야 할 역할 그 이상을 했던 것만은 분명하다.

    영어초록

    Lee Gyugyeong(李圭景 1788~1860) was an intellectual outside government who devoted his whole life for the academic pursuit and writings in a chronic poverty. He wrote numbers of books with diverse topics, but, unfortunatly, there are only few books remaining today. Therefore, it is a great fortune that his work Ojuyeonmunjangjeonsango still exist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features of his scholarship and its significance by analyzing Ojuyeonmunjangjeonsango.
    The encyclopedic resear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his scholarship. It is an interesting feature that his study concerned with various topics outside the Neo-Confucian perspective. He considered the teachings of Chu-tzu only as a part of many other topics he dealt with. When one considers his attitude toward Neo-Confucianism, it is possible to say that his study had a possibility of weakening the influence of the mainstream scholarship at the time.
    Another important issue that he concerned with was the statecraft. Since he stayed outside the government for his whole life, he could see the reality and problems more clearly. He suggested diverse plans of social reformation and the suggestion of overseas commerce was the most remarkable one among his proposal. This idea was derived from the discussion of Bukhak scholars about opening commercial relations with Jiangnan (江南) region of Qing China and it can be regarded that he directly posed a question on the closed foreign policy of the In-Law Government of Joseon Korea at the time.
    On the other hand, Lee Gyugyeong asserted the needs of an active adoption of the science technology of the West via the Theory of Ways and Means (道器). This idea also was discussed by Bukhak scholars before and he adopted it. The theorem of Eastern Ways and Western Machines must have been originated from this discussion. It is an important issue that how the academic tradition of Bukhak thoughts in 18th century affected the academia in 19th century. The said suggestions of Lee Gyugyeong can be a good example of the academic inheritance.
    He wrote numbers of books and quoted many other writings in his works. But none of other books from the time are referring his name or books. There is not even one ciritical review on his works and suggestions and this makes it harder to elucidate how his study affected the following generations of the academia. He was not a renowned intellectual at his time but his influence was much bigger than his f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