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소장 능엄경(楞嚴經) 권9, 10 기입 묵서 연구 (A study on written characters of the Materials of Neungeomgyeong(楞嚴經) volume 9, 10 kept in Bibliotheque Nationale de France(BnF))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11
42P 미리보기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소장 능엄경(楞嚴經) 권9, 10 기입 묵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81권 / 81호 / 175 ~ 216페이지
    · 저자명 : 하정수

    초록

    이 연구는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소장의 『능엄경』 제5책인 권9, 권10에 기입된 묵서를 구결과 한글, 주석으로 나누어 판독하여 입력한 후, 이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묵서의 기입 양상과 그 기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해당 문헌의 특성을 서지 사항과 내용 구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10권 5책 문헌 전체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초 자료에서 판독한 제5책의 기입 묵서를 구결, 한글, 주석으로 구별하여 각각의 출현 양상을 살피고 그 기능을 밝혔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난외 주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 첫째, 경문의 오른쪽에 기입된 음독구결을 구결자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음독구결은 『능엄경언해』 목판본의 한글 구결과 거의 동일하였고, 동일 음상을 나타내는 구결자가 상이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구결자 ‘’의 ‘’과 부정 표현에 나타난 ‘’의 판독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반적으로 구결 구문에 생략 표기가 많이 나타났고, 제5책에 기입된 음독구결자는 단순화된 형태를 지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경전을 우리말로 풀어 읽는 석독을 위하여 기입된 한글은 자음 표기와 모음 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 한글 표기의 기입 시기에 대한 추정 근거로 그 표기 형태에 한정하여 음운 변화와 관련한 특성을 제시하였지만 이 연구에서는 한글 기입자의 방언적 요소 및 개인적 필기 관습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셋째, 묵서로 기입된 주석과 부호를 살펴보았다. 내용 주석 중 『장자(莊子)』,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장수 자선(長水子璿)의 『수능엄의소주경(首楞嚴義疏注經)』과 관련된 것을 『능엄경언해』의 해당 부분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경덕전등록』의 내용은 『월인석보』 권25에 공통된 부분이 있었고, 『수능엄의소주경』 관련 주석은 당시 불교사상사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는 주석 기입자가 이 문헌의 해석을 위하여 불교 경전과 논소뿐만 아니라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저술까지 참조하였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조선 초기 『능엄경』 구결 및 『능엄경언해』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이 문헌에 기입된 묵서는 당시의 구결 및 한글과 관련한 언어 사실뿐만 아니라 주석 내용 등에 나타나는 사상사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kugyol(口訣) and Hangeul(한글) and annotations(註釋) of “the Materials of Neungeomgyeong(楞嚴經, Śūraṅgama-sutra) vol 9, 10 kept in Biblitheque Nationale de France(BnF)”. It has many informations about Korean linguistic history at early Choseon dynasty. Some materials of Neungeomgyeong(楞嚴經) have a kind of hand writing letters written by character borrow system(借字表記法) of Koryeo dynasty. Translation of Neungeomkyeong(楞嚴經, Śūraṅgama-sutra) was an important work of king Sejo(世祖). This BnF Neungeomgyeong(楞嚴經) documents enables understanding of that work compared Neungeomgyeongeonhae(楞嚴經諺解) as first Eonhae(諺解) translation of Buddhism sutra.
    In chapter 2, We concentrated on the basic bibliography and the written characteristics in the this documents. And we focused on simple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es. In chapter 3, The Eumdok-kugyol(音讀口訣) characters written in this document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form and usage. And we describe the basic work for contrasting this documents with Neungeomgyeongeonhae(楞嚴經諺解) documents printed at 1462. For the Hangeul written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in this document, the morphological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geul were examined. And other signs and annotations were discussed.
    BnF Neungeomgyeong(楞嚴經, Śūraṅgama-sutra) documents has a great significance in showing the relation of the Joseon Dynasty era eonhae(諺解) as a result of the Goryeo(高麗) Dynasty era Seokdok-kugyol(釋讀口訣) in the continuity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It shows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early translations of Korean by Hangeul(한글), and shows the tradition of the Goryeo(高麗) Era translation of Buddhist Studies in its tra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