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의보감』과 天台醫學의 상관성 연구 ─『동의보감』 內景編과 『마하지관』의 病患境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guibogam and Tien‐tai Medicine ─based on “the part of Naekyung(內景篇; internal part of the body)”of the Donguibogam and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病患境)”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0.12
36P 미리보기
『동의보감』과 天台醫學의 상관성 연구 ─『동의보감』 內景編과 『마하지관』의 病患境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27권 / 521 ~ 556페이지
    · 저자명 : 이기운

    초록

    『동의보감』은 조선 중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속에서 중생의 치병 구제 담당했고, 이후에는 대표적인 조선 의학서가 되었다. 『동의보감』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서는 유 불 도 삼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서는 불교사상, 특히 천태의학에서 병인과 치병사상을 『東醫寶鑑』의 그것과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의 일단을 고찰하였다. 텍스트는 허준의 『동의보감』 內景篇과 천태의 『마하지관』 病患境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의보감』에서는 신체구조를 내경과 외형으로 나누고, 내경의 오장육부와 외형의 筋骨부터 피부에 이르는 요소들이 精 氣 神과 연계되어 있어 병의 원인이나 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정 기 신은 불교의 사대와 다르지 않다고 한다. 불교의 사대는 일체를 구성하는 근본요소로 여러 경론에 설해져 있고, 인체 구성의 중요한 요소로 그 상호작용으로 인간의 病苦가 나타나는 心身의 病因이 되는 주요 문제로 보기도 한다. 天台大師(538∼597)도 인간의 心身을 구성하는 사대는 오장육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심신의 변화에 따라 병이 발생하고 병을 다스리기도 한다.
    『동의보감』 내경편에는 인체의 病因과 病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이중에 胎息法이나 氣 呼吸 五臟의 병인과 병상 등의 부문에서 천태의 지관법문인 『마하지관』 병환경의 내용이 보이고 있다. 이로써 『동의보감』이 조선후기 중기 천태의 최고 수행법인 『마하지관』의 수행법의 영향을 입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동의보감』과 『마하지관』에서 심신에 생기는 病에 관해서는 두 저서가 주로 『황제내경』을 전거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동의보감』에서는 心身養生을 위한 심신의 병을 치료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한다면, 천태는 불교 수행상에 나타나는 병환의 하나로 보아 수행을 통해 대치하여 불도를 이루는 데 나아가고 있다.

    영어초록

    The Donguibogam(東醫寶鑑) played a central role in curing people during two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and became the most representative medical book. It is said that the background ideas of the Donguibogam we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especially Tien‐tai medicine and the Donguibogam) and compares the causes of illness and the ideas of curing illness. The study mainly examines “the part of Naekyung(內景篇)” of the Donguibogam written by Heo Jun(許浚), and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病患境: one of ten objects of meditation)” of the Mohe‐Zhiguan(摩何止觀) based on Tien‐tai thought. The Donguibogam classifies the human body into the interior and outside body and describes that the internal organs are of the interior body and the bones, tendons, and skin are of the outside body are connected to the essence, energy, and mind; consequently, they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 The essence, energy and mind are to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Many Buddhist books explain that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are the fundamental elements that compose all things in the world and significant elements in the creation of the human body, so the interaction of the elements is a reason for the mental and physical illnesses that pain. According to Master Tien‐tai(537-597), the Four Elements that organize the human mind and body have a close relation with internal organs; as a result, changes of mind and body result in disease outbreaks and have an effect on the treatment of illness.
    Regard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uses and conditions of diseases, “the part of Naekyung(內景篇)” of the Donguibogam explains Taesikbup(胎息法: a breathing method like a fetus in a womb), “Energy Breathing(氣呼吸)” and the causes and conditions of Diseases of the Five Internal Organs, citing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病患境)” of the Mohe‐Zhiguan, a book about samatha‐vipasyana of Tien‐tai. In terms of mental and physical illness, both the Donguibogam and the Mohe‐Zhiguan refer to particular contents of 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黄帝内经), a book of Chinese medicine. Tien‐tai considers mental and physical illness as one of illness incurred during the practice of Buddhism and cures them through practice; meanwhile, the Donguibogam aims to cure mental and physical illness through health c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