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당초문겹보관의 제작 배경과 특징 (Production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of Goryeo-era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고려시대 당초문겹보관의 제작 배경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5호 / 95 ~ 124페이지
    · 저자명 : 윤근영

    초록

    당초문겹보관은 보살상의 보관이면서도 동시대의 회화, 공예와도 연관된 고려시대의 중요한 종합예술품이다. 건칠상이나 목조상과 같이 규모가 큰 보살상의 경우 상과는 별도로 높이 15cm 내외의 금속제 보관을 제작해 씌우게 되는데, 그 중 동판을 여러 장 겹쳐 앞면을 만들고 전면을 당초문으로 장식한 것을 ‘당초문겹보관’이라 명명할 수 있다. 당초문겹보관을 착용한 고려시대의 보살상은 여말선초를 포함하여 13점 가량이며 13세기 초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보관이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다.
    층단을 나누고 당초문을 세밀하게 새긴 高冠의 시원은 고려와 활발하게 교류하였던 중국 宋과 遼의 보살상에서 찾을 수 있다. 실제로 당초문겹보관이 전면에 당초문을 빽빽히 새긴 점이나 앞면 좌우에 꽃무늬를 대칭으로 새긴 점은 송대의 花冠과 유사하다. 또한 앞면을 여러 층으로 나눈 통형의 고관이라는 점은 요대 보살상과 상통하며, 1038년의 하화엄사 박가교장전 보살상에서는 앞을 여러 층으로 구획하고 금속끈으로 장식을 매단 보관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금속판을 여러 장 덧붙여 층을 낸 점과 감장 기법이 많이 사용된 점, 원권형 당초문을 투조로 새긴 금속제 보관이라는 점은 중국의 보관과는 구별되는 고려시대 당초문겹보관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이러한 당초문겹보관은 시대에 따라 그 구성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으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子板이 山形인 보관으로, 초기인 13세기와 14세기에 사례가 집중되어 있다. 둘째는 자판이 여의두형인 보관으로 산형 자판 보관보다는 후대에 출현한다. 산형 자판 보관은 다양한 문양과 조금 기법을 이용해 표면을 장식하는 데 집중하였는데 고려 중기에 유행했던 고육각 타출 기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에 반해 여의두형 자판 보관은 바탕의 꾸밈은 상대적으로 단순하지만, 봉황․구름․화염보주 등의 큰 장식을 붙이고 감장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특징을 보인다.
    당초문겹보관이 제작된 고려시대는 금속공예 기술의 전성기로서 왕실이나 고위층으로부터 많은 경제적 후원을 받아 수공업이 발달했던 시기였다. 또한 당초문겹보관이 등장하는 13세기는 무신집권기와 대몽항쟁기에 해당하는데, 이 시기에는 중국과의 교류가 축소되면서 중국과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기법과 문양을 사용한 작품이 많이 등장하였다. 당초문겹보관이 중국의 보관 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나 당시 자국의 회화나 공예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문양을 새기고 전통적 기법을 써서 보석을 감장한 것은 이 시기 고려 공예품의 독자적 면모를 반영한 것이다.
    고려시대 당초문겹보관의 또다른 의의는 이 보관이 조선시대의 보관 양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다. 조선 15세기의 당초문겹보관은 고려후기 당초문겹보관의 전통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나 16세기 이후가 되면 상류층의 불사가 어려워지게 되며 당초문겹보관의 제작 역시 줄어들게 된다. 이를 대신해 목제 보관이 조선시대 보관의 주류가 되는데, 이 경우에도 표면의 당초문 표현이나 두 단으로 나누어진 앞면, 앞뒤의 접합부분이 표현된 것이 확인된다. 이를 종합하면 고려시대의 당초문겹보관은 당시 금속공예 기법의 정수를 보여 주는 독창적인 예술품인 동시에 그 형태와 문양에 있어 이후의 보관 양식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were used as crowns for bodhisattva statues, but are also important Goryeo artworks in general terms thanks to their links to the period's painting and crafts.
    Metal crowns approximately 15 centimeters in height were produced separately and placed on the heads of large bodhisattva statues made of materials such as dry lacquer or wood. Among these, those with fronts made of several bronze sheets and featuring foliage scroll patterns on all sides are sometimes known as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Some 13 bodhisattva statues from the Goryeo period, including the period of transition to the subsequent Joseon dynasty, wear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the earliest of these is a wooden statue of a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at dates from the early 13th century and is now located at Bogwangsa Temple in Andong.
    The origins of tall crowns with intricately engraved foliage scroll patterns on multiple tiers lie in China's Song and Liao dynasties, both of which interacted extensively with Goryeo. Indeed, the densely engraved scroll patterns on the front of Goryeo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and the flower patterns to the left and right of them, show similarities to the flower crowns (花冠) of Song.
    And the cylindrical shape, divided into multiple tiers, is a feature shared with Liao bodhisattva statues; the Sutra Hall of the lower monastery at Huayan Temple in Datong, Shanxi Province, China, built in 1038, houses a bodhisattva statue with a crown of which the front part is divided into several layers and adorned with decorations hanging on gold thread. But adding several metal plates to create layers, extensive use of stone setting techniques and carved openwork circle-shaped scroll patterns in metal crowns are unique features of Goryeo-era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that distinguish them from Chinese crowns.
    Though these crowns show no great differences according to period,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of crown features a small plate shaped like a mountain; these crowns were produced primarily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The second type of crown features a small plate in the shape of a cloud; this type appears later than the first. The makers of crowns with mountain-shaped plates focused on surface decoration using diverse patterns and metal craft techniques; these crowns are striking for their use of highly pronounced repoussé and chasing, a technique fashionable in the mid-Goryeo period. Crowns with cloud-shaped plates, by contrast, ar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simple decoration on their bases but also by the addition of large decorative elements such as phoenixes, clouds and auspicious figures and active use of stone setting techniques.
    The Goryeo period, during which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were produced, was a golden age for metalwork. Artisans received much financial support from the royal court and the nobility, helping develop handcrafts. The 13th century, when these crowns first appeared, was a time when military officials took power in Goryeo and the country struggled to resist the Mongols. At the same time, exchange with China was reduced, leading to the emergence of many craft items featuring unique techniques and patterns, distinct from those of China.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ere influenced by Chinese crown styles, but their engravings of patterns found in Goryeo paintings and crafts, and their use of a traditional Goryeo technique for setting gemstones, reflect a unique aspect of Goryeo crafts at the time.
    Another significant aspect of Goryeo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is the strong influence they had on the crowns of the subsequent Joseon period. 15th century Joseon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faithfully followed the traditions of their late-Goryeo counterparts. But from the 16th century onwards it became more difficult for the upper classes to engage in Buddhist ceremonies, leading to reduced production of such crowns. Instead, wooden crowns became the most prevalent type in Joseon; these crowns, too, feature surface scroll patterns, front parts divided into two layers, and deliberate carving to depict the joint between front and back parts that only actually existed in earlier metal crowns. Altogether, this tells us both that Goryeo-era multi-layered scroll-patterned crowns are original artworks that show the essence of metalwork techniques at the time, and that their forms and patterns exerted strong influence on subsequent crown sty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