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佛畵 속에 표현된 湖南的 感性 -義謙 佛畵의 圖像과 樣式을 중심으로 (The Sensitivity of the Honam Area Viewed through Euigyeom's Buddhist Painting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06
42P 미리보기
佛畵 속에 표현된 湖南的 感性 -義謙 佛畵의 圖像과 樣式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49호 / 289 ~ 330페이지
    · 저자명 : 김정희

    초록

    義謙은 한국 불교회화사에서 가장 뛰어난 畵僧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그는 17세기 말에 태어나 숙종조~영조대에 걸쳐 약 50여 년간 호남과 지리산 유역을 근거지로 하여 많은 불화를 제작한 曹溪山門의 대표적 畵師로서, 통도사의 任閑과 더불어 18세기 불교화단의 양대 산맥을 형성하였다. 1710년경 화업을 시작하여 1719년경 首畵師가 되었으며, 40여 년간 수십 명의 화승들을 배출한 대규모 화사조직을 이끌며 평생 동안 수많은 불사에 참여하면서, 毫仙, 尊宿, 大正經이라는 존칭을 받을 정도로 18세기 전반 불화계를 대표하는 화승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의겸은 안정감 있는 구도와 짜임새 있는 구성, 생명력 있는 정치한 細線을 사용한 섬세한 인물묘사 등으로 격조높은 불화양식을 수립하였다.
    의겸의 불화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釋氏源流≫와 ≪三才圖會≫ 등 명대의 版本을 응용한 새로운 도상의 창출, ≪오종범음집≫ 등 불교의식집에 의거한 괘불화 도상의 수립, 그리고 불화 속에 水墨淡彩技法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眞彩 위주의 타 지역 불화와 대별되는 호남불화의 특징을 수립한 점이다. 의겸이 ≪삼재도회≫와 ≪석씨원류≫ 등 명대 판본을 응용한 불화를 그린 것은 당시 호남의 대표적 가문인 海南 尹氏一家를 통해서라고 추정되는데, 의겸의 활동연대와 관련해 볼 때 尹德熙(1685~1766)를 통해 ≪삼재도회≫를 접했을 가능성이 높다. 윤덕희는≪삼재도회≫ 人物卷의 1祖 摩訶迦葉尊者와 유사한 <老僧圖> , <松下觀水圖>(선문대박물관 소장) 등을 남겼으며,≪삼재도회≫에 수록된 18나한 중 第1羅漢尊者圖를 紙本淡彩로 모사한 제1나한존자도를 그렸던 점에서 의겸과 윤덕희와의 관련성을 생각케 한다. 또한 의겸이 수묵담채기법을 적극 불화 속에 응용한 것은 17세기후반 호남지역 불화에 보이는 담채적 경향에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즉 의겸은 당시 호남 불화에서 성행하던 담채기법을 자신의 불화에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1723년 흥국사 불화제작 때 자신의 특징적인 기법으로 삼았다. 뿐 만 아니라 學圃 梁彭孫(1488~1545)을 비롯하여 恭齋 尹斗緖, 駱西 尹德熙, 尹忄容 (1708~1740)으로 이어지는 해남윤씨 일가로 이어져 내려온 호남 수묵화의 전통 역시 의겸의 수묵담채 기법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의겸의 불화는 호남의 정서와 감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試金石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Euigyeom (義謙)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minent monk painter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paintings. Born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as a representative monk painter of the Jogye Sect, he created a large number of Buddhist paintings for around 50 years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King Yeongjo mainly based on Honam and Mt. Jiri, and formed one of the two main schools of the Buddhist painting circles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Lim Han (任閑) at the Tongdo‐sa Temple. Starting his career as a painter in around 1710, he became a chief monk painter in around 1719 and led a large monk painter organization that produced tens of monk painters for around 40 years. Through his career, he participated in numerous Buddhist projects and attained the position of a monk painter representing the circle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early 18th century as evidenced by honorific titles for him such as Hoseon (毫仙), Jonsuk (尊宿), and Daejeonggyeong (大正經). Euigyeom established an elegant Buddhist painting style characterized by stable composition, well‐organized construction, delicate portraying using vivid and fine lines, etc.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Euigyeom’s Buddhist paintings are the creation of new icons based on block‐printed books from the Ming Dynasty such as Seokssiwonryu (釋氏源流) and Samjaedohoi (三才圖會),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scroll painting icons based on Buddhist ritual manuals such as Ojongbeopeumjip (五種梵音集), and the differentiation of Honam Buddhist paintings from deep color paintings in other areas by introducing the Indian‐ink wash drawing technique to Buddhist paintings. It is believed that Euigyeom’s painting based on block‐printed books from the Ming Dynasty such as Seokssiwonryu and Samjaedohoi was through Yoon’s family (尹氏) from Haenam, which was a prestigious family in the Honam area in those days. Considering the years when Euigyeom was active, it is highly likely that he got access to Samjaedohoi through Yoon Deok‐hee (尹德熙) (1685‐1766). Yoon Deok‐hee left Noseungdo and Songhagwansudo (松下觀水圖) (Sun Moon University Museum), which are similar to Mahakassapa in the Portrait Volume of Samjaedohoi, and drew Jeilnahanjonjado using light color on paper by copying Jeilnahanjonjado (第1羅漢尊者圖) among the 18 Arahats included in Samjaedohoi. These suggest association with Yoon Deok‐hee. In addition, Euigyeom’s active application of the Indian‐ink wash drawing technique to Buddhist paintings might be the influence of the light color trend observed in Buddhist paintings in the Honam area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hat is, Euigyeom adopted the light color technique popular among Honam Buddhist paintings in those days actively for his Buddhist paintings, and used it as his characteristic style in creating Buddhist paintings at the Heungguk‐sa Temple in 1723. What is more, the tradition of Honam Indian ink paintings transmitted through Yoon’s family from Haenam from Hakpo Yang Paeng‐son (學圃 梁彭孫) (1488‐1545) to Gongjae Yoon Doo‐seo (恭齋 尹斗緖), Rakseo Yoon Deok‐hee (駱西 尹德熙), and Yoon Yong (尹忄容 ) (1708‐1740) is also believed to be linked to Euigyeom’s Indian‐ink wash drawing technique in some way. In this sense, we can say that Euigyeom’s Buddhist paintings are a touchstone showing clearly the sentiment and sensitivity of the Honam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