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25년 義謙畫派의 송광사 불조전 〈五十三佛圖〉 (Paintings of Fifty-three Buddhas (1725) by the Uigyeom School of Painting in the Buljojeon Hall at Songgwangsa Templ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9.06
24P 미리보기
1725년 義謙畫派의 송광사 불조전 〈五十三佛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5호 / 142 ~ 165페이지
    · 저자명 : 정명희

    초록

    본 연구는 2016년 12월 미국 포틀랜드박물관에 기탁되었다가 국내로 반환된 ‘松廣寺 五佛圖’에대해 고찰하였다. 반환 소식을 다룬 언론 보도에서 이 불화는 ‘오불도’로 명명되었으나 실은 1725년송광사 佛祖殿을 장엄하기 위해 총 7폭의 세트로 구성한 〈오십삼불도〉 중 마지막 폭에 해당한다. 송광사〈오십삼불도〉는 시·공간에 충만한 여래에 대한 사고를 보여주는 주제로, 18세기 전반 조계산, 지리산등 호남과 전라 일대에서 활약한 불화승 義謙畫派에 의해 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1969년에 실시된 국립박물관의 송광사 조사 기록을 참고해 〈오십삼불도〉의 배치와구성을 복원하고 불교회화사적 의미를 다루었다. 1969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실시된 전국 사찰소재불교회화 학술 사업의 성과는 1970년 『한국의 불교회화: 송광사』 편으로 발간되었다. 과거의 조사기록은 문화재 도난이나 전각이 변형되기 이전의 원형을 유추할 수 있는 동시에 조사 관점과 방법론의변천을 엿볼 수 있어 향후 박물관 학술 사업의 방향성을 숙고하는 데 있어서도 도움이 된다.
    송광사 불조전에는 1684년에 조성된 53불이 조성되어 있었지만, 그 41년 후 7폭으로 구성된〈오십삼불도〉를 갖추어 불상과 불화가 종합적으로 재현된 공간을 마련했다. 출입문을 제외한 불조전의벽면 전체는 하나의 화폭으로 인식되었으며 불화는 전각의 건축적 구조와 불단의 배치, 불단에 봉안되어있던 상을 고려한 기획 하에 제작되었다. 53불의 명호를 분명하게 인지하고, 53불을 시각적으로 떠올릴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매개체에 대한 수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사찰 중 전각을 53불이라는 단일한 주제로 갖추고 내부를 단청이나 벽화가 아닌 본격적인규모의 불화로 장엄한 예는 선암사와 송광사 불조전이 유일하다. 1702년에 제작된 선암사 불조전〈오십삼불도〉 역시 7폭으로 구성되었는데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과거칠불이 오십삼불의 중심축을이루는 형식이다.
    1724년과 1725년 송광사에서는 靈山殿, 應眞殿, 불조전의 불화를 새로 그리는 佛事가 있었다. 의겸은 20여 명의 화승을 이끌고, 세 전각의 불화를 갖추는 불사를 총괄했으며, 불조전 〈오십삼불도〉는그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의겸은 선암사의 구성을 따르지 않고 53불의 중앙 폭에 삼신불과 오방불을배치해 시방삼세의 부처를 아우르는 중심축을 삼았다. 또한 마지막 오불도 두 폭에는 각각 ‘과거비바시불’과 ‘당래 미래존불’을 추가함으로써 오십삼불이 과거, 현재, 미래의 부처를 뜻하는 삼천불의근원이며 佛祖에 해당한다는 점을 설명적으로 마무리하였다. 무엇보다도 53불의 명호를 화면에기입하여 예배자가 각 존상의 개별적인 명호를 분명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53불을 암송하며참회하는 의례에서 방제에 기록된 명호는 각 존명을 기억하게 하는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했을 것이다.
    의겸화파의 불화는 기획 단계에서부터 불화가 봉안될 불조전의 건축 구조와 공간의 쓰임을 의식하고이미 존재했던 불상, 그 뒤편에 거는 불화의 역할을 함께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되었다. 벽면에전체에 마련된 비교적 낮은 불단에 놓인 불상과 불조전 내부 벽면을 가득 메운 불화가 어우러진 공간은참배자에게 전각이 구현하는 세계로의 몰입감을 제공했을 것이다. 봉안 공간과 봉안처에서 진행된 신앙행위를 함께 다루는 통섭 연구의 맥락에서 불교미술의 기능을 다룰 때 개별 불화의 의미와 가치가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ive Buddhas painting from Songgwangsa Temple that had been entrusted to the Portland Art Museum and recently repatriated in December 2016. The press release on the return of this painting named it “Five Buddhas.” However, this painting in fact belongs to a set of seven hanging paintings known collectively as Fifty-three Buddhas that was produced in 1725 to adorn the Buljojeon Hall (Hall of the Founder of Buddhism) at Songgwangsa Temple. The Fiftythree Buddhas at Songgwangsa Temple embodies contemplation of the Buddha’s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and was produced by the school of Uigyeom, a monk-painter active in the Jeolla-do region near Jogyesan and Jirisan Mountains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Based o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survey reports on Songgwangsa Temple in 1969,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original formation and placement of the Fifty-three Buddhas paintings and assess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t painting. As the result of a nationwide five-year research project on Buddhist paintings at temples that began in 1969, Korean Buddhist Painting: Songgwangsa Temple was published in 1970. These research reports are useful for restoring stolen cultural artifacts or altered buildings to their original forms and assisting the museum in developing future research projects. They also, show the changes in survey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The Buljojeon Hall at Songgwangsa Temple enshrined Fifty-three Buddha sculptures produced in 1684. Forty-one years later, the seven hanging paintings of Fifty-three Buddhas were added to create a complex space featuring Buddhist sculpture and paintings. Excluding the entrance, the entire surface of the walls of Buljojeon Hall was regarded as one great canvas. The Fifty-three Buddhas paintings were produced by taking account of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the hall, the disposition of the Buddhist altars, and the sculptures placed over them. This indicates that there was a demand for a specific medium to observe and visualize the names of the Fifty-three Buddhas.
    The Buljojeon Halls at Seonamsa and Songgwangsa Temples are the sole examples of structures adorned inside with full-scale hanging scrolls on the single theme of the Fifty-three Buddhas, while the interiors of Korean Buddhist temples are commonly adorned with murals or dancheong (traditional decorative coloring). In particular, the Buljojeon Hall at Seonamsa Temple enshrines a seven-paintings set on the Fifty-three Buddhas from 1702, which centers on the Seven Buddhas of the past with Vairocana Buddha in the middle.
    In 1724 and 1725, paintings were newly produced for the Yeongsanjeon Hall (Vulture Peak Hall), Eungjinjeon Hall (Hall of Arhats), and Buljojeon Hall (Hall of the Founder of Buddhism) at Songgwangsa Temple. Uigyeom led a team of roughly twenty monk-painters as he supervised the production of the paintings for these three halls. A set of Fifty-three Buddhas paintings in the Buljojeon Hall was created as a part of this project. In the Songgwangsa set, Uigyeom placed the Buddhas of the Three Bodies and Five Dhyāni Buddhas in the central scroll of the Fifty-three Buddhas, encompassing all of the Buddhas in the ten directions and throughou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is formation differed from that of the Seonamsa, set as Uigyeom intended. Moreover, with the addition of Vipaśyin Buddha of the past and a future Buddha to its two scrolls of the Five Buddhas, the Songgwangsa set related how the Fifty-three Buddhas were not only the origins of the Three Thousand Buddhas from the past, present, and future, but also the founder of Buddhism (buljo). The names of the Fifty-three Buddhas were included in the paintings to encourage devotees to recognize the name of each deity. These inscribed names are presumed to have served a practical role in the memorization of the name of each Buddha during the ritual of reciting the names of the Fifty-three Buddhas and repenting of wrongdoing in their presence.
    In their production of several Buddhist paintings for enshrinement in Buljojeon Halls, Uigyeom and his assistants appear to have take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usage of the halls into account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and analyzed the roles of the paintings hanging behind existing Buddhist sculptures. With sculptural Buddhas seated on low altars and painted Buddhas covering the full surfaces of the walls, the fullness in the hearts of devotees entering in the Buljojeon Hall can only be imagined. The meanings and significance of such Buddhist artworks can be elucidated by studying them within the comprehensive context of Buddhist rituals performed in the space of their enshrin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