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쌍계사(雙磎寺) 팔상도(八相圖)의 도상 특징과 의겸파(義謙派) 팔상도 (The Icon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Palsangdo at Ssanggyesa temple and Palsangdo of Uigyeom Sec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06
34P 미리보기
쌍계사(雙磎寺) 팔상도(八相圖)의 도상 특징과 의겸파(義謙派) 팔상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8호 / 59 ~ 92페이지
    · 저자명 : 김정희

    초록

    쌍계사 팔상도는 1728년 일선과 7명의 화승들이 함께 조성하였다. 이 불화는 조선 전기에 확립된 팔상도의 도상에 『석씨원류응화사적』의 도상이 더해져 각 상마다 풍부한 내용을 보여주며, 운흥사 팔상도(1719년) 및 송광사 팔상도(1725년) 등 18세기 초기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팔상도의 도상을 따르고 있다. 쌍계사와 운흥사, 송광사는 인접해 있을 뿐 아니라 세 작품 모두 18세기 전반 팔상도 제작을 주관했던 의겸 파에 의해 조성되었기 때문에 도상이 유사하다. 즉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에 『석씨원류응화사적』 도상을 차용하여 한 相에 4~9장면을 규칙적으로 배치한 점, 전각과 나무[雙松], 구름 등을 이용하여 장면을 구분하는 방법, 황색과 붉은색, 녹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한 점 이 유사하다. 그렇지만 사문유관상의 동문, 서문, 남문, 북문의 배치가 다른 점, 설산수도상에서 雪山을 강조하기 위해 침엽수와 함께 산의 능선을 따라 흰색의 호분을 칠하고 산의 모양도 뾰족하게 묘사한 점, 인물들이 작게 표현되어 여백이 많아 보이는 점, 부드러운 황토색을 배경색으로 사용한 점, 날카롭게 묘사한 산과 표면의 짧고 구불구불한 먹선, 옅게 채색한 구름 둘레를 흰색 호분으로 칠하고 불·보살의 녹색 두광 둘레를 하얀색 호분으로 두르는 채색기법 등은 운흥사, 송광사 팔상도와는 다른 쌍계사 팔상도 만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것은 쌍계사 팔상도의 화원들이 두 작품의 도상을 계승하면서도 나름대로의 화풍을 이루었음을 말해주며, 의겸 또는 의겸의 직제자가 주도적으로 제작한 운흥사, 송광사 팔상도와 달리 쌍계사 팔상도는 화맥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一禪이 수화승이 되어 송광사 팔상도의 조성에 참여했던 最祐 등과 함께 작업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쌍계사 팔상도는 현존하는 조선 후기의 팔상도 50여 점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제작된 팔상도 중 하나이자 조선 후기 최고의 화승 의겸의 화풍을 이어받은 화승들이 제작한 작품으로, 송광사 팔상도와 함께 조선 후기 팔상도의 도상을 확립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런 점에서 쌍계사 팔상도는 18세기 전반 팔상도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영어초록

    Palsangdo at Ssanggyesa temple was built in 1728 by Ilseon (一禪) and seven painter monks. This Buddhist painting shows the rich content of each image by adding the iconography of ‘Seokssiwonryueunghwasajeok’ to Palsangdo’s iconography establish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 follows the iconography of Palsangdo in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in the early 18th century, such as the Palsangdo at Yunheongsa temple (1719) and the Palsangdo at Songgwangsa temple (1725). Ssanggyesa temple, Yunheongsa temple, and Songgwangsa temple were not only adjacent but also had similar iconography because all three works were created by the Uigyeom sect, who supervised the production of Palsangdo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In other words, it is similar in that there are the point that it regularly arranges 4 to 9 scenes in one phase (相) by borrowing the iconography of ‘’Seokssiwonryueunghwasajeok’’ on a screen that is close to a square, the way of separating scenes using palatial residence, trees (雙松), and clouds, etc., and the fact that yellow, red, and green are used as the main colors. However, the point that the layout of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gates of Samunyeolbansang is different, the point that in Seolsansudosang, to emphasize a snow mountain (雪山), white ash was painted along the ridge of the mountain with conifers, and the shape of the mountain was also sharply depicted, the point that the characters are expressed small, so there is a lot of blank space, the point that it uses a soft ocher color as the background color, the sharply delineated mountains and short, serpentine ink lines on the surface, and the coloring technique that paints the perimeter of the lightly colored cloud with white foil, and wraps the green head of Buddha‐Bodhisattva with whitening show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alsangdo at Ssanggyesa temple that are different from that of Yunheongsa temple and that of Songgwangsa temple. This shows that the painters of the Palsangdo at Ssanggyesa temple achieved their own style of painting while inheriting the iconography of the two works, and unlike the Palsangdo of Yunheongsa temple and that of Songgwangsa temple, which were led by Uigyeom or Uigyeom's direct pupils, it is thought that this is because the Palsangdo at Ssanggyesa temple was created by Ilseon, of whom little is known about the painting style connection, working with Choi Woo(最祐) as a head painter monk and 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Palsangdo at Songgwangsa temple.
    The Palsangdo at Ssanggyesa temple is one of the Palsangdos made relatively early among the 50 existing Palsangdo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s a work created by painter monks who inherited the style of monk Uigyeom, the best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gether with Songgwangsa temple Palsangdo, it had a great influence on establishing the iconography of Palsa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respect, the Palsangdo at Ssanggyesa temple is a representative work of Palsangdo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