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공간 기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GOCI-II 클로로필-a 결측 자료복원 연구 (Reconstruction of Missing Data in GOCI-II Chlorophyll-a Imagery Using Deep Learning-Based Spatio-Temporal Approache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5.02
12P 미리보기
시공간 기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GOCI-II 클로로필-a 결측 자료복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원격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41권 / 1호 / 53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채은, 지준화

    초록

    한반도 주변 해양과 연안을 상시 관측하는 해색 위성 센서인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II(GOCI-II)는 해양의 단기적 변화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해양 환경 변화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등 폭넓게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광학 위성 관측에는 구름과 같은 기상 조건으로 인한 결측값이 존재하는 한계점을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측값은 해양 환경 변화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변화를 예측하는 데 가장 큰 장애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 해역과 연안을 대상으로 GOCI-II 클로로필-a 농도 자료의 결측 영역을 복원하기 위해 강건한 결측값 복원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구름 형태를 기반으로 임의의 구름을 생성하여 결측값을 재현하였으며, 결측값 복원 과정에서는 결측이 발생한 픽셀과 시공간적으로 인접한 픽셀들의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결측값을 추정한다. 또한, GOCI-II 영상의 장점인 시공간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와 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 구조를 결합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구름의 형태와 결측값 비율 등에 따른 정확도와 복원된 결과의 안정성 비교 결과 0.90 이상의 결정계수와 약 0.25 mg/m3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결측값을 복원하여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데이터를 확보 함으로써 해양 환경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향후변화 예측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II (GOCI-II), an ocean color satellite sensor that continuouslyobserves the seas and coast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s widely used to analyze and study not onlyshort-term changes in the ocean but also mid- to long-term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However,optical satellite observation has limitations in that missing values exist due to weather conditions such asclouds. These missing values are the biggest obstacle to continuously monitoring changes in the marineenvironment and predicting future trends. In this study, a robust missing value restoration model wasdeveloped to restore the missing values of GOCI-II chlorophyll-a concentration data. To achieve this,missing values were simulated by generating random clouds based on actual cloud shapes. During therestoration process, missing value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ixels spatially adjacentto those where the missing data occurred. In addition, to effectively utilize the spatio-temporal features,which are a key advantage of GOCI-II images, a model combin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a 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 structure was proposed. The proposed model showed acoefficient of determination greater than 0.90 and a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ely 0.25 mg/m3. Theseresults were obtained by evaluating the stability and accuracy of the restored data based on cloud shapesand the ratio of missing valu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not only monitoring the marineenvironment but also predicting future changes by securing continuous spatio-temporal data throughmissing value resto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원격탐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