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적 존재 이해 안에서 인간 자유를 불가결한 물음으로 되돌리기 (Restoring Human Freedom as an Indispensable Question within the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Be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4.11
29P 미리보기
현대적 존재 이해 안에서 인간 자유를 불가결한 물음으로 되돌리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72권 / 59 ~ 87페이지
    · 저자명 : 박현정

    초록

    현대적 사유는 존재를 완전하고 불변적인 원인으로 놓지 않고, 그 자체 철저히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인간을 절대적 자기원인성을 일부 나누어 갖는 특권적인 존재자로서 다른 존재자들과 달리 ‘자유롭다’고 이해하는 방식도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이런 맥락에서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존재론인 신유물론이 인간의 자유를 물질 자체에 속하는 생성의 힘으로 환원시킬 뿐 별개의 물음으로는 취하지 않는 것도 자연스럽다. 하지만 신유물론의 함의와는 별개로, 인간 자유의 가능성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 우리는 생성하는 존재 이해가 허용하는 한계 내에서, 인간 사유의 자유의 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본 논문은 생성하는 존재를 숙고하는 현대적 존재론 속에서도 여전히 ‘자유’를 논의할 수 있음을 논증하고, 자유를 불가결한 물음으로 되돌리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하이데거를 끌어들인다. 하이데거는 전통 형이상학에 맞서 존재의 생성을 숙고할 뿐만 아니라, 신유물론적 계열과는 달리 생성하는 존재와 공속하는 인간 ‘사유’의 역할을 진지하게 물음거리로 삼고, 이를 ‘자유’라는 이름 아래 이해한 사상가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먼저 하이데거가 형상화한 사유의 자유가 의미하는 바를 밝힌다. 사유는 그 자유에서 우선 실존적인 동시에 탈존적이어서, 제한되는 동시에 그 제한을 넘어서 가는 자기의 시간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시간성에서 현존재는 그때마다 자기가 이해하는 존재에다 다름 아닌 ‘무’를 도입한다. 그런데, 자유란 실은 사유가 존재와 공속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사유는 자유를 통해 존재와 공속한다. 그래서 항상 사유와 공속하는 존재 역시 사유의 자유를 통해 무와 공속한다. 사유가 그때마다 수호하는 무를 통해 존재는 비로소 진리인 동시에 비-진리일 수 있으며 생성하기를 그치지 않는다.
    이렇게 볼 때, 존재의 생성을 숙고하는 현대적 존재론은 반드시 자유 논의를 포기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반대로 자유 물음이야말로 생성하는 존재와 공속하는 사유의 본질 현성으로서 가장 적극적으로 숙고되어야 할 물음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영어초록

    Contemporary thought no longer views Being as a complete and unchanging cause; instead, it understands it as fundamentally generative itself. Consequently,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as privileged beings who uniquely share in absolute self-causality and possess freedom, unlike other beings, is increasingly challenged. In this context, the influential ontology of new materialism reduces human freedom to the generative power inherent in matter itself and does not consider it as a separate issue. Regardless of the implications of new materialism, the question of human freedom remains significant. We must explore the possibility of human thought's freedom within the parameters established by the understanding of generative Being.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still possible to discuss ‘freedom’ within contemporary ontology to restore freedom as an indispensable question. To support this argument, the paper references the work of Heidegger. Unlike the new materialist tradition, Heidegger examines the generation of Being in contrast to traditional metaphysics and seriously interrogates the role of human thought in relation to generative Being. He is a philosopher who recognizes the co-belongingness of finite thought with finite Being under the concept of ‘freedom.’ The paper begins by clarifying the meaning of freedom of thought as articulated by Heidegger. Within its freedom, thought is both existent and ek-sistent, signifying its own temporality, which is both limited and transcends those limitations. Since freedom refers to the manner in which thought enters into a co-belonging relationship with Being, through this temporality, Dasein introduces ‘notness’ into the Being it comprehends at each moment. The Being that continuously co-belongs with thought also co-belongs with notness through the freedom of thought. Here, through the notness that thought preserves at each moment, Being can embody both truth and non-truth, continuously generating without end.
    From this perspective, contemporary ontology that considers the generation of Being does not have to abandon the discussion of freedom. On the contrary, freedom can be justified as a question that should be actively contemplated, representing the essential manifestation of thought's co-belongingness with generative 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