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甄萱 自署의 변화 과정과 그 의미 (The process of GyeonHwon’s Self-proclaimed Change and its Mea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12
32P 미리보기
甄萱 自署의 변화 과정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50호 / 41 ~ 72페이지
    · 저자명 : 박수정

    초록

    견훤이 무진주에 근거하고 自王·自署한 것은 892년부터였다. 이 자서는 크게 ① 신라서면도통 지휘병마제치, ② 지절 도독전무공등주군사 행전주자사 겸어사중승, ③ 상주국 한남군개국공 식읍이천호 등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①은 892년당시 첫 번째로 칭한 관함으로, 견훤은 신라서면과 연칭한 도통·지휘·병마·제치를 맨앞에 내세움으로써 그가 반역자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그 역할이 지역의 혼란을제압하고 민심을 수습하는 것이라는 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반면 ②는 892년 당시에그대로 사용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行守의 유래가 임시직을 가리키는 것이라 해도 항상실직 앞에 붙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견훤이 실제로 전주에 도읍하여 이를 중심지로삼고 있다는 의미와 다르지 않다. 행전주자사를 포함한 이 관함은 견훤이 900년 완산주에 도읍하였을 당시의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③의 한남군개국공은 한강 남쪽 백제 영역을 영유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군공호로, 892년 당시 신라서면도통과 함께 자서된 관명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기존에 잘 사용하지 않던 새로운 관명과두루뭉술한 영역을 가리키는 용어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라서면도통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견훤은 900년 후백제왕을 지칭하면서 이전의 자서에 변화를 주었으며, 925년 후당으로부터 인정받은 관함은 900년 당시 자서를 변화시킨 결과로 보인다. 견훤은 이후 이 자서를 꾸준히 유지하면서 중국으로부터 받은 검교태보, 검교태부, 검교태위 겸시중 판백제군사 등을 겸하여 후백제왕으로서의 대외적인 위상을 지속적으로 인정받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rocess of GyeonHwon’s (甄萱) self-proclaimed change and its significance. It appears that around 892, GyeonHwon began using an extensive self-proclaimed title when he was based in Mujinju (武 珍州). The titl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Shilla Seomyeondotong (新羅西面都統), was the initial title he adopted at that time. With this title, GyeonHwon emphasized his role in suppressing regional chaos and restoring public sentiment. The middle part of the title, particularly Hang Jeonjujasa (行全州刺史),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used as it was in 892. When referring to the name JeonjuJasa with the term “haeng (行),” it should be considered as reflecting the situation when GyeonHwon established the Later Backje (後百濟) in Wansanju (完山州) in 900. The last part, Hannamgungong (漢南郡開國公), is a title that indicates GyeonHwon’s intent to occupy the territory of Baekje (百濟) south of the Han River (漢江). This title is believed to have been a self-proclaimed official name along with the front part in 892. Both titles are aligned in that they include new official names not previously used and terms referring to ambiguous territories. GyeonHwon changed his previous self-proclamation by referring to himself as King Baekje (後百濟王) in the year 900. The name recognized by Later Tang (後唐) in 925 appears to be the result of this change. Since then, GyeonHwon has consistently maintained this selfdesignation and continued to be recognized for his external status as King Baekje by holding an official position received from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