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L1-중국어 학습자의 L2-한국어부사격 조사 ‘-에서’의 의미 매칭과 의미적 표상 (L1-Chinese Learners’ Semantic Mapping and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the L2-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yse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03
32P 미리보기
L1-중국어 학습자의 L2-한국어부사격 조사 ‘-에서’의 의미 매칭과 의미적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93권 / 325 ~ 356페이지
    · 저자명 : 백승현, 조재형

    초록

    이 논문에서는 L1-중국어 학습자의 L2-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서’의 의미 매칭 정확도와 의미적 표상의 발달 단계를 탐색하고 L2-한국어 능력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에서’의 의미 범주와 그 설명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고려대 한국어사전』에서 나타난 ‘-에서’의 의미를 기준으로 세종 구어·문어 말뭉치에서 나타난 상위 5가지 의미 범주(추상적 공간, 실제적 공간, 출발점, 추상적 상황/상태, 출처)에 대한 L1-중국어 학습자의 의미 매칭 정확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에서’의 의미 매칭 정확도에서 L2-한국어 수준별 집단 효과와 의미 범주 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하위 집단(기준점) 대비 상위 집단의 정확도가 1.05배 높고 ‘출처’ 의미(기준점) 대비 ‘출발점’ 의미의 정확도는 0.77배 증가하였다. 또한 5개의 모든 의미 범주에서 상·하위 집단 간의 정확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L1-중국어 학습자의 ‘-에서’의 의미적 표상은 ‘출발점, 실제적 공간’과 같은 실체적 개념에서 ‘추상적 공간/상태/상황’과 같은 추상적 개념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빈도 순위와 상관없이 ‘실제적 공간, 출발점, 출처’와 같은 실체적·중립적 개념의 의미 범주 발달이 L2-한국어 능력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원형 이론에 기반을 두어 L1-중국어 학습자의 ‘-에서’의 의미 매칭과 의미 표상에 관한 습득 양상을 논의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explore L1-Chinese learners’ semantic mapping and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the L2-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yseo,’ and examine the predicative relationship of five semantic subtypes of ‘-eyseo’ to L2-Korean proficiency. Forty-four L1-Chinese learners were recruited, split into the two groups depending on their L2 proficiency, and then asked to answer a semantic mapping test of ‘-eyseo.’ Findings showed that firstly, based on General Linear Mixed Model(GLMM) analysis, there was a group effect and a semantic type effect of ‘-eyseo’ but no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More specifically, L1-Chinese learners with high L2-Korean proficiency outperformed those in the low L2-Korean proficiency group 1.05 times in terms of accuracy. In addition, with regards the accuracy in the use of subtype of ‘-eyseo,’ its usage to mean ‘starting point’ was used .77 times more accurately than that of ‘source’ as a baseline. Secondly, according to the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s, their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eyseo’ was more likely to begin with concrete concepts such as ‘starting point’ and ‘physical space’ and gradually develop toward abstract concepts such as ‘abstract space/situation.’ Finally, on the basis of logistic regression, L2-Korean proficiency wa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by the three subtypes of ‘-eyseo,’ ‘starting point’, ‘physical space’ and ‘source.’ In conjunction with Prototype Theory, their semantic mapping and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eyseo’ are discussed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addr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