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격군심(格君心)”과 조선의 문치 (Humanistic Politics of Joseon in Rectifying the King’s Mi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12
29P 미리보기
“격군심(格君心)”과 조선의 문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93호 / 29 ~ 57페이지
    · 저자명 : 이봉규

    초록

    맹자의 격군심(格君心)론을 이론화하고 실제 정치제도에 활용한 것은 송대부터다. 그러나 이학의 격군심론은 이론적으로 두 가지 치명적인 한계가 있었다. 첫째, 국왕이 이학의 수행방법을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수행하지 않으면 효력이 없었다. 둘째, 이학의 수행 방법을 군주가 수행하는 것이 정사의 성공 여부와 필연적 인과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인륜의 마음을 견지하는 것과 사공의 성취 사이에 가로놓인 비필연성을 해소하는 것은 큰 숙제가 되었다.
    조선에서는 자국의 역사적 경험을 활용하는 것,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이학의 수행법을 보정하는 것 양방향으로 격군론을 보완해갔다. 『치평요람(治平要覽)』과 『대학연의집략(大學衍義輯略)』, 『성학십도(聖學十圖)』와 『성학집요(聖學輯要)』는 그 대표적 성과였다. 또한 조선 후기에 격군의 방법으로 『심경』이 널리 활용되었다. 교민(敎民)에 중점이 있는 『효경』이 중국과 일본에서 중시되었던 것에 비교해 볼 때, 조선에서 격군(格君)의 정치가 더 활발하였음을 말해준다. 이황과 이이는 성학에 대한 군주의 적극적 의지를 돕기 위해 입지(立志)를 강조하였다. 이이는 특히 입지(立志) → 수렴(收斂: 본원 함양의 소학 공부) → 교기질(矯氣質)의 순서로 수행 과정을 재구성하였는데, 군주가 자신의 기질을 통어해갈 수 있게 이학의 수행 방법을 구체화한 것이다. 군주의 수신과 선정의 성취 사이의 비필연성을 해소하기 위해 이이는 용현(用賢)을 중시하였고, 그 가운데에서도 재상의 임용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정약용 역시 「고요모」의 지인(知人)을 육경의 취지로 재해석하면서 재상의 임용을 중시하였다. 군주의 수신과 선정의 성취 사이 간극을 해소하는 것은 이학과 실학에 관통하는 조선 유학의 주요 관심사였다고 할 수 있다.
    금욕이 아닌 절욕의 차원에서 신체적 욕구를 조절해가도록 군주를 유도하는 격군심론이 조선 후기에 널리 활용되었던 것, 내수사 전토의 장리 제도를 폐지시킨 것, 궁중의 사치를 억제시킨 것, 권건(權健)이 유배되었다가 재기용된 것, 그리고 궁중의 사안을 공적인 절차를 거쳐 처리하게 한 것 등은 격군 정치가 조선에서는 시종 활발하게 작동하였음을 말해주며, 동아시아 다른 왕조국가들에서 볼 수 없었던 현상이었다.

    영어초록

    It was from the Song Dynasty that the idea of rectifying the king's mind was theorized and used in the actual political system. The key method was to ensure that the king always maintains the heart of humanity through ‘prewarning’, ‘being careful of one's own mind not exposed to others’, and ‘grasping of the opening point’. However, there were two fatal limitations to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for rectifying king’s mind. First, the method of NeoConfucianism was ineffective if the king did not carry out it with an active will. Second, even if the king carried out the teachings of NeoConfucianism, there was no inevitable causal relationship with its good governance of the country. The Confucian intellectuals of Joseon supplemented the theory of rectifying king’s mind in two aspects, such as using their own historical experience and revising the method to be suitable for practicing. ZhipingYaolan, DaxueYanyuJilue, ShengxueShitu, and ShengxueJiyao were their representative achieveme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Xinjing was used as a major textbook for the lecture to the king, which was not found in other East Asian regions such as China and Japan. Compared to the fact that Xiaojing, which focuses on the reformation of the people, was emphasized in China and Japan, the widespread use of Xinjing in Joseon suggests that the politics of correcting the mind of the king was more a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