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리학 격국용신론의 근원적 고찰 (A fundamental study on Gyeokgukyongsin theory of Myeongriha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05
32P 미리보기
명리학 격국용신론의 근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52권 / 219 ~ 250페이지
    · 저자명 : 이수동

    초록

    이 논문은 명리학 격국용신론의 근원을 고찰한 글이다. 4세기경 동진(317∼419)에서 명리학이 발생한 이후로 명리학에 두 차례의 큰 변혁이 있었다. 첫째는 사주의 연주를 위주로 간명(看命)하는 체계에서 사주의 일간을 위주로 간명하는 체계로 바뀐 것이고, 둘째는 월령사상이 반영된 격국용신론의 등장과 발전이다. 두 가지 모두 서자평의『명통부』에서 시작, 송대의『자평삼명통변연원』과 명대의『연해자평』을 거쳐서 청대의 심효첨에 의해 정립되었다. 이후 두 이론체계는 현대명리학의 기준이 되었다.
    격국용신론에서는 월지에서 사주의 천원에 투출한 십간으로써 격국과 용신을 정하거나 혹은 월지로써 격국과 용신을 정하는데, 이 월지에 고대로부터 전승되어 온 시령사상이 수용됨으로써 격국용신론의 의미가 매우 분명해짐과 동시에 거의 완성된 이론체계를 갖추게 된다.
    본고에서 명리학 격국용신론의 근원적 고찰을 위해, 시령사상의 연원을 간략하게 고찰한 뒤에 이 사상이 반영되어 있는 ‘월률분야지도’와 월지 곧 월령·제강의 의미를 고찰하였고, 또한 청대 심효첨 용신론에서의 순용(順用)과 역용(逆用)의 이치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명리학 격국용신론은 사시의 명령이자 하늘[天]의 명령을 수용한 이론이라는 것과, 또한『자평진전』격국용신론의 순용과 역용에는 음양오행설의 생극(生剋) 이치가 적용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here have been two huge revolutions in Myeongrihak since it was created in the East Qin Dynasty (317-419) around the 3rd century. First, it was changed from the system to predict and diagnose the present and future (看命) by focusing on years of four pillars of destiny to the system to do them by focusing on their days. Second, it's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Gyeokgukyonsin theory which reflected ruling with times-theory. Both of them were begun from 『Myeongtongbu』 by Seojapyeong and was established by Simhyocheom in the Qing Dynasty through 『Japyeongsammyeongtongbyeonyeonwon』 in the Song Dynasty and 『Yeonhaejapyeong』 in the Ming Dynasty. After that, these two theory systems became the standard of modern Myeongrihak.
    In Gyeokgukyonsin theory, Gyeokguk and Yongsin were decided with ten celestial stems output from celestial origin algebra of four pillars of destiny in Wolji or they were done with Wolji. As ruling with times-theory which had been inherited from ancient times was integrated into this Wolji, the meaning of Gyeokgukyonsin theory got to be very clear and at the same time, have the nearly complete theory system. Nevertheless, some scholars of Myeongrihak have decided and used Gyeokguk and Yongsin which have nothing to do with ruling with times-theory.
    This article briefly studied the origin of ruling with times-theory and then the meanings of ‘Wolyulbunyajido’ which reflected this idea and Wolji which is Wolryeong·Jegang for a fundamental study on Gyeokgukyongsin theory of Myeongrihak. And logic of Sunyong(順用) and Yeokyong (逆用) was studied in Yongsin theory by Simhyocheom in the Qing Dynasty. As the result, it drew the conclusions that Gyeokgukyongsin theory of Myeongrihak accepted orders of four seasons and the heavens[天] and logic of mutual production and destruction(生剋) in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was applied to Sunyong and Yeokyong of Gyeokgukyongsin theory in ‘Japyeongjinj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