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태수 문학과 동토의 이데올로기, 그리고 실존적 고뇌: 자기서사 『소련 아르한겔스끄 수용소에서』를 중심으로 (Kang Tae-soo's Literature, Ideology of the East, and Existential Anguish: Based on his self-narrative, At the Arkhangelsk Concentration Camp in the Soviet Un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10
28P 미리보기
강태수 문학과 동토의 이데올로기, 그리고 실존적 고뇌: 자기서사 『소련 아르한겔스끄 수용소에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88호 / 235 ~ 262페이지
    · 저자명 : 김환기

    초록

    강태수의 삶은 소비에트러시아의 정치이데올로기, 조명희와의 만남, ‘1937년 강제이주’, 강제수용소, 소련 공민으로 복권,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로의 복귀로 이어지는 과정과 맞물린다. 그러한 작가적 삶은 시작품 「밭 갈던 아씨에게」를 비롯해 「조명희 선생께 삼가 드림」, 자기서사 『소련 아르한겔스끄 수용소에서』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난다. 특히 조명희와의 만남과 「밭 갈던 아씨」에서 시작된 굴절된 작가적 삶은 디아스포라적 세계관과 연동되는 실존적 고뇌와 함께 문학적 서정성으로 표상된다.
    작가는 말년에 유일한 자기서사 『소련 아르한겔스끄 수용소에서』를 집필하고 지인에게 책 출간을 부탁하고 세상을 떠났는데, 이 작품은 매우 담담하고 진솔한 형태의 작가적 시선을 담아낸다. 한평생을 “자신의 의사에 관계없이 남의 말에 절대 복종하며 남의 눈치만 살피며 살아온 것이 대단히 저주스럽다. 이제는 벌써 늦은 감이 들긴 하지만, 나는 단 하루라도 내 운명의 참된 주인이 되어 나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제 눈으로사물을 판단하며 살아보고 싶다. 무릇 종노릇은 천하다. 하물며 사상이나 이념의 종노릇은 그보다도 더 천한 것”이라고 했다. 단 하루라도 자신의 생각과 사상을 펼칠 수 있는 자유로운 세상에서 인간답게 살고 싶다는 실존적 고뇌를 피력했다. 지나간 삶의 시공간을 되돌리지 못하지만 원동에서 조명희를 만나 문학을 논하고, 마지막까지 조명희를 의식하며 “짓밟힌 우리의 포부”를 되뇌였던 작가정신은 여전히 강렬했다. ‘밭 갈던 아씨’로 상징되는 작가정신은 삶의 끝자락에서 역설적이지만 “서정성 회복”과 함께 자연의 향연으로 승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Kang Tae-soo's life coincides with the process of Soviet Russia's political ideology, his encounter with Cho Myoung-hee, ‘forced migration in 1937’, the concentration camp, reinstatement as a Soviet citizen, and return to Khzlorda in Kazakhstan. His life as a writer is revealed symbolically in his poetic works, 「To the Lady Plowing the Field」 and 「Giving My Condolences to Sir Cho Myoung-hee」 and his self-narrative, At the Arkhangelsk Concentration Camp in the Soviet Union. Particularly, his encounter with Cho Myoung-hee and life as an author starting to be distorted from 「To the Lady Plowing the Field」 are represented as literary lyricism as well as existential anguish associated with his diasporic worldview.
    He wrote his only self-narrative, At the Arkhangelsk Concentration Camp in the Soviet Union, in his later years and then asked an acquaintance to publish it before he died. The work depicts the writer's gaze in such plain and genuine ways. He says, “It is very loathsome that I have lived my entire life obeying what others say absolutely regardless of my own will and trying to read how others think. Now I feel it's already quite late, but I want to be the true owner of my destiny even for a single day and live by having my own ideas and judging things through my own eyes. The way that all servants live is mean. Yet, being a servant about ideas or ideologies is even meaner than that.” He expressed his existential agony towards his will to live as a human being in a free world where he can unfold his ideas and thoughts even for a single day. Although he could not get back the time and space of his past life, his spirit as an author still remained intense when he discussed literature meeting Cho Myoung-hee in Wondong and repeated “our ambition that was trampled on” until the end thinking of Cho Myoung-hee. His writer's spirit symbolized as ‘a lady plowing the field’ can be said to have been sublimated into a feast of nature along with "the restoration of lyricism” at the end of his life paradox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