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페미니즘 SF가 모색하는 다르게-인간-되기와다른 세계의 가능성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를 중심으로- (Becoming-Otherwise-Human and the Possibility of Other Worlds in Feminist SF: Focusing on Kim Bo-Young's How Similar Are W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5.02
30P 미리보기
페미니즘 SF가 모색하는 다르게-인간-되기와다른 세계의 가능성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100호 / 97 ~ 126페이지
    · 저자명 : 곽은희

    초록

    이 글은 SF가 미래를 예언하기보다는 동시대 삶을 관측하고 묘사하는 장르라는 점에 주목하여 페미니즘 SF의 사고실험이 지금 여기의 세계를 낯설게 바라볼 수 있는 단절과 비판적 거리를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촉발되는 포스트휴먼 기획, 즉 다르게-인간-되기와 다른 세계의 가능성을 추적한다.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는 재난 상황에 작동되었던 안전권력이라는 현재적 문제를 미래의 우주 재난이라는 극한의 환경에서 은유적으로 재구성한 페미니즘 SF이다. 서사의 중요한 형식으로 들어온 ‘낯설게하기’는 지배적인 사회적 위치에서 시작되는 ‘자연발생적 의식’에 일격을 가하여 새로운 인식 영역으로 옮기는 제반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는 현실세계에서는 너무나 익숙하게 일상화되어 있어 마치 ‘지워진 것’처럼 보이지 않는 젠더 억압 구조를 인식가능하도록 가시화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얼마나 닮았는가」에서 그것은 우주 재난에서 안전권력이 작동하는 방식을 드러내는 과정과 중첩되어 있다. 「얼마나 닮았는가」가 젠더 인식의 사고실험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결정적으로 중대한 변화는 이 소설의 배경인 우주 재난과 관련이 있다. 타이탄 주민들이 놓여 있는 생존의 위기 상황과 이들의 구조를 둘러싼 인간 승무원들 간의 갈등은 현재의 안전권력이 어떻게 재난 속에 놓인 이들의 생존을 보장하지 않는 방임적 시스템으로 작동하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이때 위험 지위(risk positon)의 불평등 구조를 넘어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은 인간 중심주의를 탈구시키는 포스트휴먼 기획을 수반한다. 여성 선장 이진서와 여성 AI HUN은 종-횡단적 연대를 통해 타이탄 재난민들의 구조를 수행한다. 이들은 공통의 취약성을 기반으로 연민과 윤리적 책임을 확장하고 포스트휴머니즘이 제안하는 공존의 가능성을 향해 나아간다. 연민의 정동이 비인간 물질 속에서 그 힘을 발휘하여 구조가능성을 구현하는 마지막 장면은, 다른 세계의 가능성을 은유하며 우리에게 지금은 아닌, 그리고 반드시 도래할 희망의 지평을 염원하게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idea that SF is not a genre that predicts the future but rather one that one that observes and portrays contemporary life. It examines how thought experiments in feminist SF generate moments of rupture and critical distance that allow for a defamiliarized view of the present world. Through this lens, the study traces the posthuman project that emerges from this process —namely, becoming-otherwise-human and the possibility of other worlds. Kim Bo-young’s How Similar Are We is a feminist SF work that metaphorically reconstructs the contemporary issue of security power, which has operated in disaster situations, within the extreme environment of a future space catastrophe. The narrative technique of "defamiliarization," which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narrative form, disrupts the "spontaneous consciousness" that originates from a dominant social position, thereby facilitating a transition into a new realm of perception. This process includes making visible and perceptible the structures of gender oppression, which have become so normalized in everyday life that they appears almost "erased" and invisible. In How Similar Are We, this defamiliarization overlaps with the process of revealing how security power operates in a space disaster. The critical and decisive transformation that How Similar Are We aims to achieve through its thought experiment on gender consciousness is closely tied to the space disaster that serves as the novel’s backdrop. The survival crisis faced by the inhabitants of Titan and the conflicts among the human crew members regarding their rescue vividly illustrate how contemporary security power functions as a neglectful system, failing to guarantee the survival of those in disaster situations. The process of seeking alternatives beyond the unequal structures of risk positions involves a posthuman project that dislocates anthropocentrism. The female captain, Lee Jin-seo, and the female AI, HUN, carry out the rescue of Titan’s disaster survivors through interspecies and cross-boundary solidarity. Based on shared vulnerability, they expand compassion and ethical responsibility, moving toward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proposed by posthumanism. In the final scene, the affect of compassion is no longer confined to the human body but exerts its force through non-human materials, realizing the possibility of rescue. The narrative metaphoricall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other worlds, evoking our yearning for a horizon of hope that is not yet here but inevitably approac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