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가의 관계 자아에서 타자와의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 - 유가적 가족의 재구조화를 위하여 -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o the Others for the Relational Self of Confucianism —Reconstructing the Confucian Famil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5.05
34P 미리보기
유가의 관계 자아에서 타자와의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 - 유가적 가족의 재구조화를 위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자학회
    · 수록지 정보 : 孔子學 / 28호 / 2 ~ 35페이지
    · 저자명 : 박연규

    초록

    유가 전통에서의 관계 자아는 개인 자아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개인이 관계적이고 상황에 따라 이해되는 자아이다. 이는 한 개인의 윤리의식이 개인이 아닌 개인들의 관계의 합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하기도 한다. 관계 자아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철학적 난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며 윤리적 행위가 어디에서 발생하는가에 대해서도 해결책을 제시하는 장점이 있다.
    이 글에서는 관계 자아의 특성을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나는 이 두 개념을 유가와 신유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중요 개념어인 경(敬)에서 가져왔다. 경은 흔히 존경, 공경 또는 집중이라는 말로 이해되어 왔는데 여기서는 앞의 존경이나 공경의 의미를 선택한다. 이것이 사람들 사이의 윤리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더 유효하기 때문이다.
    유가적 관계 자아를 논의할 때는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의 의미를 고려해야 한다. 유가에서는 전통적으로 관계 맺음에 대한 논의를 위해 인이나 예를 강조했지만 이 글에서는 경(敬)의 특성을 제일 원리로 두었다. 관계의 문제를 경으로 접근할 때 관계 자아와 관련된 논의도 쉽게 풀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가 실현될 경우 그것은 사람들 사이에서의 존경이나 공경의 상황을 적절하고 올바르게 기술할 수 있다고 본다. 물론 친한 사람에게 거리를 두고 그를 의도적으로 낯설게 해서 윤리적이 된다는 것이 모순처럼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윤리는 친함에서 만들어진다기보다는 일정 정도의 거리감이나 익숙함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실제적으로 작동된다. 즉 신중하고 의식적인 관계의식이 윤리를 생성한다는 것이다. 유가의 경 사상을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로 이해할 때 말 그대로 유가적 가족의 관계로부터 만들어지는 다양한 덕목의 의미도 파악할 수 있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가족 구성원의 관계 설정도 가능하리라 본다.

    영어초록

    In the classic tradition of Confucianism the relational self as being against the individual self is to conceive an individual relationally and situationally, namely, to do him as the totality of roles and as the co-author of his action. The concept of the relational self has surely received the philosophical merits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 of what the subject is, and to extend the domain of the ethical activities of the individual without much conflict.
    In order to specify the meaning of the relational self with others, we need the conceptions of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o them. There is a limit only with the Chinese meanings of the ren and li which are supposed to deal nicely with such relation between people. Instead I borrow the concept of Jing(敬; mindfulness or reverence) which is needed. This approach should be positively set and managed practically and then the problem we pointed properly out can be solved.
    I here propose a new way to understand the relational self, using two concepts,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hat I extracted from the Confucian and neo-Confucian tradition of jing. In this paper I choose and use the term reverence rather than mindfulness because it better illustrates the ethical relational situation between people, Jing originally means ‘focusing on oneself’ carefully though.
    I regard the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social practices as a proper way to realize the correct reverence amongst people, and when these become succeeded, the subjective effect of self can meaningfully be decreased. It is because the right reverence to others is ironically achieved when we treat familiar people unfamiliarly; caring and anxiety are often formed in this paradoxical condition. It is better to avoid seeing others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but to leave a deliberate conscious and social distance from them.
    I will interpret the jing thought of Confucianism and apply its concepts of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o look at the family as the literal sense as well as the Confucian sense to confirm the possibility to get an appropriate re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孔子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