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5~16세기 정업원의 운영실태-새롭게 발견된 端宗妃 定順王后의 고문서를 중심으로- (Management of Jungupwon(淨業院)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Focusing on the Newly Found Old Document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9
32P 미리보기
15~16세기 정업원의 운영실태-새롭게 발견된 端宗妃 定順王后의 고문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2호 / 37 ~ 68페이지
    · 저자명 : 탁효정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해주정씨 고문서 속에서 발견된 정업원 관련 문서를 검토하고, 문서가 작성된 15세기말~16세기 초의 정업원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해주정씨 고문서에서 정업원 관련 문서는 총 5점으로, 정순왕후 송씨가 단종의 조카인 정미수에게 단종의 사당 관리와 제사 봉행을 부탁하면서 준 분재기와 관련 문서들이다. 정순왕후는 말년에 살던 동부 인창방의 가옥과 토지를 정미수에게 상속하였는데, 이곳에는 훗날 영조가 왕후를 기리기 위해 세운 淨業院舊基碑가 들어섰다.
    정순왕후가 살던 인창방의 家舍田畓은 정순왕후의 스승인 전 정업원 주지 이씨가 제자인 정업원 주지 윤씨에게 사실 구씨의 제사비용 명목으로 물려준 것이었다. 이후 윤씨가 師弟인 정순왕후에게 인창방의 집을 전해주면서 이곳은 정순왕후의 소유가 되었다.
    얼마 뒤 연산군에 의해 도성 내의 정업원이 철폐되고 비구니들이 도성 밖으로 쫓겨나면서 인창방 일대는 정업원 비구니들의 새로운 터전이 되었다. 도성 밖으로 쫓겨난 비구니들이 인창방에서 집을 짓고 살아갈 당시 정업원의 주지는 정순왕후였다. 해주정씨 고문서의 기록들은 정순왕후가 도성내 정업원에서 출가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16세기초 정업원의 주지를 역임하였음을 확인시켜 준다.
    이들 고문서에는 정순왕후의 은사의 은사[師祖], 은사, 사형, 제자의 이름이 나열돼 있다. 정순왕후의 스승은 정업원 주지를 역임한 이씨였고, 이씨의 스승은 사실 구씨라는 비구니였다. 정순왕후의 사형인 정업원 주지 윤씨는 유자환의 부인이었고, 제자인 희안과 지심, 계지는 왕후가 궁을 나올 때 데리고 나온 궁인들이었다.
    정순왕후는 사형 윤씨로부터 인창방의 가옥을 전해얻은 뒤 조정으로부터 하사받은 목재로 새로이 집을 조성했다. 이곳의 일부는 단종의 사당으로 조성되었으며, 일부는 제자들이 살아갈 거처로 마련되었다.
    정순왕후가 남긴 고문서들은 정순왕후와 정업원의 관계를 확인시켜줄 뿐만 아니라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던 16세기초 정업원의 운영실태와 비구니들의 생활상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15세기말 도성내 정업원이 철폐된 이후에도 정업원의 승가공동체는 계속 명맥을 이어갔음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documents related to Jungupwon found in Haeju jeong family’s archives and analyzed the management system of Jungupwon in the late 15th and early 16th century.
    Five documents related to Jungupwon in Haeju jeong family’s archives. They are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inheritance document where Queen Jungsoon asked her nephew Jung Misoo for the management and the sacrifice of the Danjong monastery. Queen Jungsoon inherited the house and land of the eastern Inchangbang, which she lived at the end of his life, to Jung Misoo. In the future, here Youngjo set up the old stone monument of Jungupwon to honor Queen Jungsoon.
    The house of Inchangbang, where Queen Jungsoon lived, was handed down to nun Yoon, a disciple of nun Lee, the former chief of Jungupwon for the pay for sacrifices. After that, nun Yoon gave his house to Inchangbang to Queen Jungsoon.
    After that, the Buddhist nuns in the province were abolished by the yeonsangun and the nuns of the Jungupwon were driven out of the city. Inchangband area was a new home for Jungupwon nuns. At the time when the nuns who were driven out of the city built a house in Inchangbang, the chief Buddhist nun of Jungupwon was Queen Jungsoon. The records of Haeju Jung family’s archives confirm that Queen Jungsoon became not only nun in the Jungupwon in the city but also served as the chief of the Jungupwon in the early 16th century.
    In these documents, the names of the teachers and disciples of Queen Jungsoon are listed. The teacher of Queen Jungsoon was nun Lee who served as the chief of the Jungupwon, and the teacher of nun Lee was actually a nun called Goo. Disciples, Jian, Jisim, and gyeji were maid of palace who came with the Queen out of the palace.
    After receiving the house of Inchangbang from nun Yoon, Queen Jungsoon built a new house with wood received from the palace. Some of these were built as shrines for Danjong, and some were made available for disciples to live in.
    The ancient documents left by Queen Jungsoon have great significance not only in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een Jungsoon and the Jungupwon, but also showing the actual management of Jungupwon and the life of the nuns in the early 16th century, which had been hidden by the veil. This indicates that even after the end of the 15th century, Jungupwon in the province have been abolished, the Buddhist community has been continu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