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30년대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의 한국·일본 유입과 분화․변용 (The Inflow and Differentiation of Danish Folkehøjskole in Korea and Japan from 1920s to 1930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11
31P 미리보기
1920-30년대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의 한국·일본 유입과 분화․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75호 / 47 ~ 77페이지
    · 저자명 : 김이경

    초록

    본 논문은 20세기 초 한․일에 소개된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의 수용 과정에서 나타난 분화와 변용을 살펴본다. 농촌문제 해결을 위해 두 국가에서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와 협동조합 개념을 도입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을 넘어, 한국과 일본의 각기 다른 주체들이 대응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포착한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시민 배움터인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는 1910년대 초 일본에서 국민고등학교(國民高等學校)로 번역되어 한국에 유입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농업으로 국가 재건에 성공한 덴마크는 농촌 빈곤문제를 모색하는 여러 국가들에게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해주었다. 일본의 경우 소작쟁의 및 산업화에 따른 도시․농촌 불균형의 해법을 찾고자 독일 협동조합법 등을 도입했고, 덴마크 협동조합 모델에도 관심을 가지는 가운데 폴케호이스콜레 개념이 소개되었다.
    폴케호이스콜레는 도쿄제국대 농학부 연구자들에 의해 소개된 후 일본과 한국의 농촌 청년들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설립․활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천황제 중심인 신도를 강조한 그룹에서 폴케호이스콜레를 농촌에 적용하기 위해 1925년 일본국민고등학교협회를 설립한 후 국민고등학교가 전국에 확산되었다. 일제강점기 한국에서는 ‘농민의 낙원’으로 덴마크가 알려지게 되었고, 지식인들은 1920년 전후로 식민지배 극복에 대한 방안으로 덴마크 농촌 재건 모델에 관심을 가졌다. 한국의 기독교 활동가들은 1920년대 중반부터 덴마크 농촌을 직접 답사한 후 농촌에 일본 국민고등학교 모델과 유사한 덴마크식 농민수양소를 설립했다. 반면 한국과 일본의 무교회주의 그룹은 폴케호이스콜레의 기능보다 배움터의 설립 바탕이 된 그룬트비의 기독교 사상 및 자국어와 역사․문화를 강조한 이념에 주목했다.
    본 논문은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의 유입과 분화․변용을 농민학교 모델과 소국․자립모델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서구의 새로운 개념이 유입된 20세기 초, 개념을 번역하는 일본과 이를 수용하는 한국은 국가라는 공간적 개념의 차이를 넘어서 조직별로 적용과 분화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농본주의와 한국 기독교 계열, 그리고 한․일 무교회주의 계열의 활동을 분석하여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 개념 유입과 분화를 살펴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acceptance of Korea and Japan by folkehøjskole in Danish early 20th century. Danish folkehøjskole is currently translated into ‘Folk High School’, which was translated into ‘國民高等學校 (National high school)’ in Japan in the early 1910s and flowed into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Denmark succeeded in rebuilding the country as an agricultural country, providing a solution to each country seeking industrialization and rural issues. In order to find out the solution of the urban and rural imbalance caused by the agrarian disputes and industrialization in Japan, Folkehøjskole concept was introduced with the interest of the Danish cooperative model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the German industrial cooperative Act.
    National high school, which is a concept translated by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Tokyo, Japan, was actually established and used as a youth education institution in rural area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High School Association in Japan in 1925, schools were founded nationwide and Korean intellectuals also visited Japan to study this model.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ere interested in the rural reconstruction model of Denmark around 1920, and Denmark was introduced as an image of ‘a paradise for farmers’. In addition, after the mid-1920s, intellectuals and Christian activists visited Denmark, and Danish style farmer school and a cooperative were established in Korean rural areas. On the other hand, the nonchurch movement from Korea and Japan focused on the idea that Grundtvig, the Christian thought and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folkehøjskole, rather than the function of the folkehøjskole.
    This study analyzed the inflow and differentiation of Danish folkehøjskole introduced through Japan, divided into peasant school models, small and independent country models. In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translates the new concept of the Western world, and they was introduced the concept in Korea. It has a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application and interprets from organizations and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analyzed the activities of Japanese agriculture-first principle group, Korean Christian group, and Korean – Japanese nonchurch movement group, and examined the influx and differentiation of the Danish folkehøjskole concep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