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효/불효’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의 문학적 상상과 문화 문법에 관한 비판적 독해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431-1)’ 유형을 중심으로- (Critical Analysis on the Literary Imagination andthe Cultural Grammar regardingthe ‘Filial Piety/Impiety’ Type Oral Folklore - focusing on the folklore type No. 431-1;‘making his wife do filial piety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0.12
41P 미리보기
‘효/불효’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의 문학적 상상과 문화 문법에 관한 비판적 독해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431-1)’ 유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1호 / 115 ~ 155페이지
    · 저자명 : 최기숙

    초록

    이 논문에서는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431-1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 유형 총 48편을 대상으로 효 설화를 가족관계 담론과 가족 윤리 및 공동체 윤리 담론으로 재성찰하는 작업의 단초로 삼고자 했다. 해당 유형은 궁극적인 효의 실천을 위해 아내에게 불효한 마음으로 물질적 봉향을 하게 하는 가족 딜레마를 통해 효의 문제를 역설적으로 제기했다.
    먼저, 해당 설화를 시부모-며느리 관계 갈등의 측면에서 보면, 며느리의 태도 변화에 따라 네 가지 세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시부모의 며느리에 대한 칭찬으로 불효를 포기하는 인정욕구(need for recognition) 충족형(11편), 둘째, 며느리의 봉양으로 건강을 회복해 육아와 가사를 돕는 살림분담형(27편), 셋째, 시부모와 며느리 사이에 인정이 교환되는 교감형(7편), 넷째, 여러 요소가 혼합된 복합형(3편)이다. 설화 향유층들은 며느리와 시부모의 관계를 단순히 윤리적 차원이 아니라 ‘호혜적인 계약관계’로 이해했으며, 상호 교감과 협력에 대한 기대, 며느리의 효행에 대한 사회적 인정 욕구에 대한 기대치를 갖고 있었다. 또한 가족관계란 가족 안의 사생활이 아니라 공적 장 안에서 관찰과 평가의 대상이 될 때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관념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해당 유형을 ‘가족관계 담론’의 차원에서 보고 인물별 입장과 주제 층위를 분석했다. 첫째, 아들/남편의 입장에서는 아내를 속여 ‘의도적 효행 조작’을 이끌어내는 ‘가족 딜레마’가 발생했으나, 이는 궁극적으로 시부모-며느리 간의 화해적 관계를 도출하는 ‘거짓말의 역설적 효과’로 귀결되었다. 둘째, 며느리/아내의 입장에서는 남편이 아내를 일방적으로 속이는 과정에서 아내의 무지와 불안한 지위가 문제적으로 폭로되었으며, 불평등한 부부 관계가 드러났다. 셋째, (시)부/모의 입장에서는 아들의 효심에 전적으로 기대는 의존적 노인의 입지가 드러났다. 이는 비경제 활동인으로서 재산이 없는 노인의 무력감과 위기감을 반영했다. 시부모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식 세대의 물질적 봉양이며, 이는 가족관계 갈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결정적 요소로 전제되었다.
    해당 설화는 가족 관계란 일방적이고 당위론적인 윤리의 강요만으로는 개선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가족 간의 상호 부조, 교감, 탈권위화와 협력, 타인 가족에 대한 관심의 적정선에 대한 사유 등의 문제를 성찰적으로 요청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folklore type No. 431-1;‘making his wife do filial piety toward his parents with the impiety mind’(total 48 pieces) in a viewpoint of family relationships narratives, family ethics and community moral narratives. Such type brought up some important questions;what is the sincere filial piety? Is it permissible for the husband to deceive his wife with a good motivation of letting her do a filial piety?First of all, this paper divided the type 431-1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conflict between parents-in-law and daughter-in-law;the first, satisfying need for recognition type, a daughter-in-law change her attitude because of words of praise by her parents-in-law. The second, helping housekeeping type, parents-in-law begin to help their daughter-in-law after recovering their health owing to their daughter-in-law's material supporting. The third, intimacy type, sharing sympathetic mind between parents-in-law and a daughter-in-law. The forth, complex type, mixed with the other three types. The audience and speakers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in-law and a daughter-in-law as a reciprocal contraction, and they had some expectation on their collaboration, sympathy, and social concern on a daughter-in-law's filial piety toward her parents-in-law. And they showed that the family relationship should be gather some social consideration as a form of observing and estimating by the public sphere.
    In a viewpoint of family relationship narrative, such type can be approached in 3 facades. The first, in a position of ‘son/husband’, he evoked some problematic family dilemma through deceiving his wife for the purpose of making her do filial piety toward his parents. However, eventually such a fraudulent suggestion led to an unexpected result;reconciliation between wife and parents could be called a ‘paradoxical effect of lie.’ The second, in a position of ‘daughter-in-law/wife’, some stories revealed the wife's weak social position and unfair couple relationship through the husband's attitude;it was premised that the husband's lie could be rationalized because he lied for parents with a good motivation. The third, in a position of ‘parents/parent-in-law’, some stories showed the aged persons' dependant position;economical poverty and physical weakness. It was urgent need for the aged persons of material support from their son and daughter-in-law to keep their survival and such thing could unexpectedly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parents/parent-in-law’ and ‘son/daughter-in-law’.
    In conclusion, the type 431-1 suggested some questions problematically;the family relationship couldn't be improved only depending on the obligatory demand for ethics. It was need that mutual aid between family members, breaking the parent's unilateral authoritarianism and keeping the manners of appropriative consideration toward the other family as a neighbor.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