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험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낯설게 하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familiarization’ in Experimental Anima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9
30P 미리보기
실험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낯설게 하기’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애니메이션연구 / 20권 / 3호 / 50 ~ 79페이지
    · 저자명 : 이세정

    초록

    본 연구는 실험 애니메이션에서 ‘낯설게 하기’ 기법이 어떻게 구현되며, 이 기법이 관객의 인식과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애니메이션은 현대 예술에서 기존의 전통적 서사 구조와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예술적 표현과 서사적 다양성을 탐구하는 중요한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장르의 필요성은 관객에게 익숙한 일상적 경험을 전복하고, 새로운 감각적 및 인식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사고방식을 재고하도록 유도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대표적인 실험 애니메이션 작품인 <우울한 눈(Gloomy Eyes)>, <언어의 정원(The Garden of Words)>, <러빙 빈센트(Loving Vincent)> 를 분석하여, ‘낯설게 하기’ 기법이 각 작품에서 어떻게 독창적으로 구현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우울한 눈>은 VR 기술을 활용하여 관객에게 360도 가상 현실 속에서 몰입감과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문다. 이 작품은 관객이 이야기의 일부가 되어 사건을 직접 체험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언어의 정원>은 자연의 세밀한 묘사와 인물의 내면적 변화를 통해, 관객에게 자연과 인간 감정의 섬세한 연결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한다. <러빙 빈센트>는 유화 애니메이션으로서,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 세계를 유화의 독특한 질감과 색채를 통해 생생하게 재현하며, 그의 예술적 삶과 고통을 시각적으로 탐구한다. 본 연구는이러한 작품들이 실험 애니메이션이 가진 예술적·철학적 잠재력을 어떻게 실현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한다. 연구 결과, 실험 애니메이션은 관객에게 단순한 시각적 즐거움을 넘어서는 깊은 감정적·철학적성찰을 제공할 수 있는 강력한 매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실험적 접근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였으며, 이는 실험 애니메이션이 현대 예술에서 중요한 담론을 형성하고, 새로운 예술적 표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실험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잠재력과 향후 연구 및 창작 활동에 대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서 그 역할을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s an in-depth analysis of how the “defamiliarization” technique is implemented in experimental animation and examines its impact on the audience's perception and emotional response. Experimental anim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ignificant genre in contemporary art by transcending traditional narrative structures and technical limitations, exploring new artistic expressions and narrative diversity. The necessity of this genre lies in its ability to overturn familiar everyday experiences, providing new sensory and perceptual experiences that encourage rethinking existing thought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ee representative experimental animation works—<Gloomy Eyes>, <The Garden of Words>, and <Loving Vincent>—to explore how the “defamiliarization” technique is uniquely realized in each piece. <Gloomy Eyes> utilizes VR technology to immerse the audience in a 360-degree virtual reality, blurring the lines between reality and fantasy. This work offers an experience where the audience becomes part of the story, directly engaging with the events. <The Garden of Words> employs meticulous depictions of nature and the inner changes of characters to help the audience perceive the delicate connec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emotions anew. <Loving Vincent>, the world's first oil-painted animation, vividly recreates the artistic world of Vincent van Gogh through unique textures and colors, exploring his artistic life and suffering visually.
    This study provides a deep analysis of how these works realize the artistic and philosophical potential of experimental animation. The findings confirm that experimental animation serves as a powerful medium capable of offering profound emotional and philosophical reflections beyond mere visual pleasure. Additionally,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enriches and diversifies these experimental approaches, playing a crucial role in forming important discourses in contemporary art and exploring new possibilities for artistic expressio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al resource for future research and creative activities in the field of experimental ani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