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번뇌,어떻게 사라지는가? -초기불교의 번뇌론- (H o w to re s tra in and ab an d o n th e tain ts : T eaching o f defilem ents in the early B u d d h is t text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번뇌,어떻게 사라지는가? -초기불교의 번뇌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4권 / 51 ~ 78페이지
    · 저자명 : 미산(김완두)

    초록

    이 논 문 에 서 는 초 기 경 전 에 나 타 난 번 뇌 대 치 수 행 법 을 살 펴 보 았 다 . 특 히 , 『맛 지 마 니 까 야 』의 •■모든 번 뇌 경 j 을 중 심 으 로 7 가 지 번 뇌 대 치 법 을 계 • 정 • 혜 로 분 류 하 여 정 리 하 였 다 . 대 부 분 의 현 대 인 들 은 탐 • 진 • 치 번 뇌 의독 가 스 에 중 독 되 어 몸 과 음이 병 들 어 가 고 있 지 만 이 사 실 을 알 아 차 리 지못 한 채 살 아 가 고 있 다 . 붓 다 는 번 뇌 로 중 독 된 삶 의 실 상 을 있 는 그 대 로보 고 중 독 으 로 부 터 벗 어 나 는 길 을 제 시 했 다 . 붓 다 가 제 시 한 번 뇌 로 부 터벗 어 나 는 현 명 한 태 도 란 “ 요 니 소 마나시刀ᅡ라(yo n is o m anasik합a) ” 이 다 . 『맛지마니까야』의 「모든 번뇌경」에서도 “지혜로운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에아직 생겨나지 않은 번뇌들은 생겨나지 않고 이미 생 겨 난 번뇌들은 버려진다 .” 라 고 했 다 . 이 처 럼 지 혜 로 운 주 의 는 연 기 • 중 도 법 에 대 한 깊 이 있 는성 찰 을 통해 정견을 확립하여 번뇌를 여의고 해탈 열반을 증득하게 하는단 초 를 제 공 해 준 다 고 볼 수 있 다 . 특 히 , 지 혜 로 운 주 의 는 의 근 (意 根 m ano- in d riy a )〇 l 선 법 이 나 불 선 법 이 일 어 나 는 찰 나 에 어 떤 것 에 접 속 하 느냐 를 결 정 하 는 중 요 한 방 향 키 이 며 수 행 의 핵 심 열 쇠 이 다 . 이 논 문 은 지 혜 로운 주 의 야 말 로 번 뇌 를 대 치 하 는 수 행 을 하 는 데 출 발 점 임 을 강 조 하 고 있 다 .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번뇌들을 성격에 따라 사라지게 해야 하 는 데 「모든번 뇌 경 」은 상황과 조건에 따른 번뇌의 대치법을 잘 설명해주고 있음을알 수 있 다 . 이 경 에 나 타 난 7 가 지 번 뇌 대 치 법 을 겨卜 정 • 혜 로 분 류 하 여 보 면 감 각 의 단 속 , 의 식 주 의 충 족 , 열 악 한 환 경 의 감 내 , 위 험 한 상 황 의피 함 은 계 행 , 홀 려 버 림 은 정 행 , 바 라 봄 은 혜 행 , 그 리 고 수 행 은 정 행 과 혜 행을 함 께 닦 음 과 관 련 이 있 다 . 초 기 경 전 에 서 제 시 한 번 뇌 대 치 법 의 핵 심 은지 혜 로 운 주 의 로 지 금 여 기 에 깨 어 있 어 “ 오 는 번 뇌 막 지 않 고 , 가 는 번 뇌잡 지 않 으 며 , 가 만 히 있 는 번 뇌 건 드 리 지 않 는 것 ” 이 라 고 볼 수 있 다 .

    영어초록

    T he a im o f this pape r is p rim arily to illu m in a te h o w to restrain and a b a n d o n the taints presented in the early B u d d h is t texts. There is a text that discusses in detail ho w to abandon all taints. I t is called the Sabbasava Sutta in the M ^jh b m -nika) ]a. The text deals with seven methods o f restraining taints. T h e key to this is ‘yon iso m anasikara, 5 'wise a tte n tio n .’ T he ro o t taints, craving, aversion and ignorance w ill be subsided by ‘yoniso m anasikara/ and new taints w ill n o t arise. H ow ever, there are taints that sh o u ld be a b an d o n e d by seeing ( dassana) w h at is u n fit fo r a tte n tio n , or w hat is fit for attention, others by restraining (samvara) the six senses, and b y u sin g (patisevana) robes, alm s- fo o d , lo d g in g , and by still others by e n d u r in g (adhivasana) c o ld , heat, hu nger. Som e taints s h o u ld be ab a n d o n e d by a v o id in g (parivajjana) certain anim als, places, people, and some b y re m ov ing (vinodana) thoughts o f sensuality, ill w ill. A n d some taints s h o u ld be aban d o n e d by dev elopin g (bhavana) the co nce ntratio n an d in s ig h t practice o n the basis o f the seven factors fo r A w ak e n in g .
    A m o n g the seven m e thods o f restraining taints m e n tio n e d abov e, ' re strain in g / ‘ u sing ,’ ‘ e n d u rin g ,’ ‘ a v o id in g ’ b e lo n g to sila ( precept) , ‘rem oving’ is related w ith samadhi (concentration) , and ‘ seeing’ is concerned w ith p a n n a (w isdom ) , and ‘ developing’ includes b o th concentration and insight practices. That is to say, they can be arranged by the three learnings, slla- sam ad h i- p a n n a . T his paper discusses specific m ethods o f elim inatin g taints classified by the three learnings. In short, the key attitude to restraining taints is that one sh o u ld always be awakened here and n o w , allow ing in - flow and out-flow taints as they 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