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달전>의 인물 서사문법 -겉/속, 밝음/어둠, 몰라봄/알아봄을 중심으로- (Character-narrative grammar of Ondal-je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0.10
25P 미리보기
&lt;온달전&gt;의 인물 서사문법 -겉/속, 밝음/어둠, 몰라봄/알아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주어문 / 46권 / 81 ~ 105페이지
    · 저자명 : 허원기

    초록

    이 논문은 인물 서사문법의 측면에서 <온달전>의 문학적 성취를 전반적으로 구명해본 것이다. 중심인물들의 개별적 성격과 인물 구성의 전체적 관계 양상을 꼼꼼하게 분석해보고, 이러한 인물서사문법의 문학사적 위상과 의미를 함께 검토해 보았다. 인물의 서사문법을 분석하면서 중요한 분석틀로 사용한 개념은 겉/속, 밝음/어둠[잘남/못남], 몰라봄/알아봄의 3가지 대립항이다. 이를 통해 인물서사분석의 한 모형을제시하였다. <온달전>에서 “겉모습은 꾀죄죄하여 우스웠으나 속마음은 밝았다.[容貌龍種可笑, 中心曉然]”는 문장은, 겉과 속으로 인물의 성격을 구성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겉’ 과 ‘속’을 기반으로 하여, ‘밝음[잘남]’과 ‘어둠[못남]’, ‘몰라봄’과 ‘알아봄’은 중요 등장인물 네 사람의 성격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온달은 겉은 어둡고못났지만 속은 밝고 잘난 사람, 평강공주는 겉과 속이 모두 밝고 잘난 사람, 평강왕은 겉은 밝고 잘나 보이지만 속은 어둡고 못난 사람, 맹인인 온달의 모친은 겉은 어둡고 못났지만 속으로는 밝은 눈을 가진 잘난 사람이다. 이러한 겉과 속의 밝음[잘남]과 어둠[못남]이 등장인물의 성격을 전체적으로 구성하는 기본 틀이며 요소이다. 서사적인 측면에서는 겉으로는 바보같이 어두워 보였던 온달이 내면의 밝음을 외면으로 온전하게 실현해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전개한다. 그리고 주제적인 측면에서는 사람이 사람을 볼 때는 모름지기, ‘겉의 어둠만 바라봄’에서 그치지 말고 ‘속의 밝음까지 알아봄’에 이르러야 한다는 주제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인물 서사문법은 비단 <온달전> 한 작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겉/속, 밝음/어둠, 몰라봄/알아봄을 기본 구조로 하는 인물의 서사문법은 그 연원이 오래 되었다. 그 이전의 모습은 『장자』의 「덕충부」, 사마천의 <평원군열전>, <소진열전>, 반고의<주매신전>, 유종원의 <종수곽탁타전> 등에 잘 나타나고, 그 이후의 모습은 『삼국유사』, 『고려사⋅열전』의 <강감찬전>, 고전소설인 <소대성전>, <장풍운전>, <박씨전>, <황씨부인전>, 연암소설, <영이록> 등에서 그러한 모습들을 다수 확인할 수 있다. 김부식의 <온달전>은 한국문학사에서 이러한 인물의 서사문법을 구현한 최초의 작품이라는 점, 그리고 그것이 네 사람을 통해서 입체적으로 구현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d the literary accomplishments of Ondal-jeon in the character narrative grammar. The three main concepts used as analysis frames are the three antagonistic terms: outside/inside, bright/dark, and know/ignore.
    The sentence in <Ondaljeon>, “The outside was funny because it was shabby, but the inside was bright," provides an important basis for the character's character both inside and outside. Based on ‘outside' and ‘inside', ‘bright[handsome]' and ‘dark[ugly]', ‘know' and ‘ignore' are important concepts to understand the personality of the four important characters. Ondal is dark and ugly on the outside, but bright on the inside and a handsome person. Princess Pyeonggang is a bright and handsome person on the outside and inside. King Pyeonggang looks bright and good on the outside, but dark and ugly on the inside. Ondal's mother, who is blind, Ondal's mother, a blind woman, is a good person with dark and ugly eyes on the outside, but bright eyes on the inside. Brightness[handsome] and darkness[ugly] on the outside and inside are the basic frame and elements of the person's character as a whole. In terms of narrative, Ondal at first looked silly dark on the outside, but eventually completes the brightness of the inside with the outside. In terms of the theme, it contains the theme that when a person looks at a person, they should be able to recognize the ‘brightness of the inside' rather than just looking at ‘the darkness of the outside'.
    Such character narrative grammar is not limited to only one work of <Ondal-jeon>. The narrative grammar of these characters has a long history. Several similar examples can be found before and after that. <Ondal-jeon> is the first work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o embody such a character's narrative grammar, and it is embodie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four people. In this respect, <Ondal-jeon>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literary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주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