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정치 어떻게 할 것인가? ‘현재’ 기반의 ‘역사의식’에 근거한 ‘역사정치’의 매카니즘: 다원화된 사회에서의 역사정치에 대한 베아트릭스 부비어, 미카엘 슈나이더, 에드가 볼프룸, 하랄드 슈미트의 이론을 중심으로 (Theory of Historical Politics (Geschichtspolitik) in a Pluralized Socie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10
26P 미리보기
역사정치 어떻게 할 것인가? ‘현재’ 기반의 ‘역사의식’에 근거한 ‘역사정치’의 매카니즘: 다원화된 사회에서의 역사정치에 대한 베아트릭스 부비어, 미카엘 슈나이더, 에드가 볼프룸, 하랄드 슈미트의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89권 / 235 ~ 260페이지
    · 저자명 : 박상욱, 곽차섭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원화된 민주사회에서 발생하는 ‘역사 갈등과 분쟁’을 ‘역사정치(Geschichtspolitik)’ 이론의 차원에서 다시 정의하고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냉전이 종식된 이후의 시대, 소위 체제 전환의 시대 이후, 자본주의권의 승리가 공식화된 것처럼 보이던 시기에 과거 공산주의체제의 폐쇄적인 역사서술의 관행을 파악하고, 동시에 다원화된 사회 내의 역사 인식의 차이를 정치적 다원성이라는 특징에 근거하여 분석한다.
    이 역사인식의 차이는 역사적 과거에 대한 갈등과 분쟁처럼 보이지만,실상 다양함이며, 그런 다양함은 역사정치라는 개념의 이론과 담론으로서술이 가능하다.
    역사정치는 ‘과거’를 기억하는 ‘현재’가 어떤 모습인가에 근거하여 과거사실에 대하여 특수한 이념이나 또는 방향성을 가진 역사 재현의 정당함을 주장하고, 동시에 이를 의도적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면 몰락했던 사회주의 국가들의 일부 편향적 역사재현(예를 들어 구동독)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또한 다원성의 이름으로 미화하는 서구의 역사서술 역시 역사정치의관점에서는 현재의 이해관계에 따라 재현되는 역사해석과 그 의도적 이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과거 사실에 대한 역사해석이 역사갈등과 분쟁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그 동기와 과정 그리고 지향점을 베아트릭스 부비어(Beatrix Bouvier), 미카엘 슈나이더(Michael Schneider), 에드가볼프룸(Edgar Wolfrum), 하랄드 슈미트(Harald Schmid)의 역사정치 (연구)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분석하였던 역사정치 이론들에 대한 다음과 같은문제 제기가 가능하다. 첫 번째, 다원화된 민주사회에서의 올바른 역사정치는 과거의 역사 문제와 갈등에 대한 외면이나 거부가 아니라, 인정과 수용 그리고 사과와 화해가 ‘올바른 역사정치’라고 보는 이론적 관점(베아트릭스 부비어, 미카엘 슈나이더)이 있다. 여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다원화된 민주사회에서는 특정한 ‘과거’ 또는 ‘역사’가보다 다양한 집단이나 개인에 의하여, 그리고 각각의 환경과 이해관계,이념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재현(Repräsentation)되기 때문이다.
    즉 다원화된 사회에서는 역사 문제의 해결 방안이 특정한 하나의 방향으로만 갈 수 없고,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올바른 역사정치’가 굳이 하나의지향점으로만 주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소위 ‘올바른 과거’는 과연 현재의 체제에서 어느 정도로 가치 독립적인가 또는 체제에서자유로운가의 문제 역시 검토해야만 한다. 특히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다원화된 민주주의 체제에서 나타나듯이, 현실정치에서 일부 주도집단의 공공연한 ‘역사 왜곡’이 올바른 과거로 지향되고 있을 개연성을 과연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가는 숙고의 대상이다.
    다원화된 민주사회의 역사정치에서 더 본질적이고 중요한 것은 현실정치가 이루어지는 ‘현재’에 대한 분석적인 이해가 형성되어야 한다는점이다. 이러한 현재의 기반에서 ‘전통’과 ‘집단 정체성’ 그리고 ‘정치 및역사적 정당성’이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역사정치 이론은 ‘과거 그 자체’가 아닌 ‘현재의 현실적 이해관계를 위한 과거의 이용’이라는 차별화된분석의 틀과 방법론을 보여준다는 특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defined and analyzed ‘historical conflicts and disputes’ in the dimension of‘historical policy (Geschichtspolitik)’ in the pluralistic democratic society. Especially, it analyzesthe motive, process and intention of history policy in historical and democratic society.
    First, there is a view that correct historical policies in a pluralistic democratic society arepolitically approaching and attempting recognition, acceptance, apology and reconciliation.
    Critical reflection on this is needed. Secondly, the so-called ‘right past’ formed in this way isa matter of how independent of the current system is or is free from the system. Thirdly, it isimpossible to completely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historical policy’, which is open to‘historical distortions’ in the pluralistic democracy, is going to be done.
    What is more essential and important is that ‘correct reflection’ of ‘past’ should be givenpriority. Since then, the foundation of ‘present’ which is reflected through communicationwith this ‘past’ should be formed, and on this basis, ‘tradition’, ‘group identity’ and ‘politicaland historical legitimacy’ should be directed. Despite these problems, this approach to historicalconflict and conflict in the democratic society, which has been diversified from theviewpoint of historical policy, shows another viewpoint to resolve historical conflicts andconfli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전